Analysis of Soil Moisture Recession Characteristics on Hillslope through the ~ntensive Monitoring Using TDR

산지사면에서의 TDR을 이용한 토양수분 집중모니터링을 통한 토양수분 감쇄특성 분석

  • Lee Ga Young (Water Resources Environment Lab.,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 Hyun (Water Resources Environment Lab.,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Ki Hoon (Water Resources Environment Lab.,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 Sun (Water Resources Environment Lab.,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가영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수자원환경실험실) ;
  • 김상현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수자원환경실험실) ;
  • 김기훈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수자원환경실험실) ;
  • 이혜선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수자원환경실험실)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was characterized from soil moisture data through the intensive monitoring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The recession of soil moisture after a rainfall event was characterized and the empirical equation was used in the recession curve analysis. Recession analysis provides features of soil moisture variation such as recharge and stability depending upon locations of monitoring. The wetness index was useful for explaining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soil moisture and recession characteristics at hillslope scale.

각 지점의 강우 발생에 따른 토양수분의 감쇄 현상을 특성화 할 수 있는 감쇄 곡선의 경험식을 도출하였다. 시간에 따른 토양수분의 감쇄 곡선은 거의 모든 지점에서 지표와 지하에 걸친 토양수분 측정 자료들과 높은 일치성을 나타내었다. 각 사면에서의 감쇄 특성 을 살펴보면 사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추정된 감쇄 곡선에 보다 더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각 지점별로 감쇄 곡선이 각 강우에 대하여 재현되는 경향을 보여 각 지점에서 포화와 감쇄가 각 지점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강우 발생에 대한 토양수분의 감쇄와 충전 등의 사면의 특성화에 기준이나 지표로서의 습윤지수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사면 유출의 명확한 기작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더 객관적인 검증을 위하여 계절별, 연별과 같은 추가적인 토양수분의 측정과 정밀도 있는 자료의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