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ssociated with Renal Scarring in Children with a First Episode of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소아의 첫 발열성 요로감염에서 신 반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Jung Suk-W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Jung Kyeong-H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Kim Myu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Hong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Son, Byong-Kw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Lee Ji-E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정석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경훈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명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홍영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손병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지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4.01

Abstract

Purpose : Development of renal scarring is associated with delayed diagnosis and treatm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UTI).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how soon treatment should be started to Inhibit renal scarring after onset of UTI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nal scarring in children with a first episode of febrile UTI.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63 patients with a first episode of febrile UTI under the age of 2 years from April 2000 to Ap,il 2004. All patients had a DMSA renal scan and voiding cystourethrogram done in the diagnostic period, 6 months after which a follow-up renal scan was done. After patients wet-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fever prior to start of treatment, the duration of fever after start of treatment, and total duration of fever, initial and follow-up DMSA scan findings were analyzed among the different groups. We compar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nal scars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renal scars. Results : The initial DMSA renal scan identified abnormal finding in 23% of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leq$24 hr from the onset of disease and in 43% of those with fever more than 24 hr. Renal scars developed in 33% of patients who were treated $\leq$24 hr and 38% of those with fever >24 hr prior to treatment. Renal scars developed in 34% of patients with remission of fever $\leq$48 hr after treatment and ill 50% of those with fever >48 hr after treatment. The risk for renal sca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ho had total duration of feyer >72 hr(67%) than in those with shorter duration(19%). In children with renal scars, VUR was most high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nal scar formation. Conclusion : Although children with a first episode of febrile UTI are treated within 24 hr after onset of the fever, renal damage cannot be prevented completely and it is mainly associated with VUR.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5;9:56-63)

목 적 : 요로 감염은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적절히 하지 않으면 비 가역적인 신 손상을 초래하기 쉽다. 신 반흔을 막기 위한 요로 감염의 적절한 치료 시작 시기와 소아의 첫 발열성 요로 감염에서 신 반흔 발생과 관련한 인자를 알아보았다. 방 법 : 2000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첫번째 발열성 요로 감염으로 진단된 2세이하 환아16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요로감염 급성기에는 DMSA 신 스캔, 치료 후 VCUG을 시행하고 치료 6개월 후 추적 DMSA 신 스캔을 시행, 신 반흔 유무를 평가하였다. 치료 전 발열 기간, 치료 후의 발열 기간, 총 발열기간에 따라 각각 두 군으로 분류, 진단시와 6개월 후 추적 DMSA 신 스캔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신 반흔 유무에 따라 신 반흔 형성군과 무형성군으로 분류하여 관련된 예측 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치료 전 발열 기간이 24시간 이하 군에서 초기 DMSA 신 스캔의 이상 소견 빈도는 23%였고 이중 33%에서 신 반흔이 발생하였다. 24시간초과 그룹에서는 각각 43%, 38%였으나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료시작 후 발열기간이 48시간 이하이며서 초기 DMSA 검사에서 이상을 보인 환아 중 34%에서 신 반흔이 생겼고, 치료 후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는 50%에서 신 반흔이 형성되어 두 군간 차이는 없었다. 총 발열 기간 72시간 이하인 환아군의 45%에서 신 피질 결손, 19%에서 신 반흔이 나타났고, 72시간 초과인 환아군에서는 각각 31%, 57%로 신 반흔 형성률이 의미있게 높았다. 총 발열기간, 높은 CRP, 방광요관 역류가 신 반흔 형성과 관련 있었으며 이중 방광요관 역류가 가장 높은 연관을 보였다. 결 론 : 소아의 발열성 첫 요로 감염에서 치료 전 발열 기간이 24시간 이내라도 신 반흔을 완전히 예방할 수 없었고 이에 관여하는 주된 인자는 방광요관 역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