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 aspect of scientific literacy, which is the goal of modern sc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y gender and major. on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ere investigate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eveloped by Lee (2003)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The instrument has three sub-scales; a scientific world view, scientific inquiry, and scientific enterprise. The instrument is only expected to give, and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on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 total of 12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liberal arts, and physical exerci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cience education major students were verifi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followed by liberal arts students and then physical exercise students. Moreover, men revealed slightly more comprehension that of women. More than 80% of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answered 11 out of 23 questions, approximately 50%. In the area of scientific inquiry, both science education and liberal arts students showed more comprehension that those in physical exercise. All participants showed relatively lower comprehension of the definition of scientific contribution than other subjects, but displayed a greater comprehension of the ethics of science. On the other hand, most students have relatively low apprehension in the contribution of science, while higher apprehension in the ethics of science.

이 연구는 현대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도를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발달 평가 문항'를 사용하여 전공별, 성별, 영역별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는 남학생, 여학생 별 집단에서는 남학생이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과학교육, 외국어학, 사회체육학과의 집단으로 나누어 성향을 살펴보았을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해 가장 이해도가 높은 집단은 과학교육 학생들이었으며, 이해도가 가장 낮은 집단은 사회체육학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 외국어학과 학생들은 과학만능에 대한 기대치가 사회체육학과 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학적 공헌에 관한 부분에 대한 개념은 타 문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나, 과학적 윤리에 관한 부분에 대한 개념은 높은 이해도를 보이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중 (2002). 과학적 소양에 대한 현대적 견해. 초등교육연구, 18(1)
  2. 노태희 . 김영희 . 한수진 .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3. 서혜애 . 오필석 . 홍재식 (200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국가과학교육기준, 서울: 교육과학사
  4. 소원주 . 김범기 . 우종옥 (1998a). 과학교사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이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09-121
  5. 소원주 . 김범기 . 우종옥 (1998b).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27-136
  6. 소원주 . 김범기 . 우종옥 (1998c).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221-231
  7. 이은아 (2001).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발달 평가 문항의 개발: 미국 AAAS의 '과학적 소양을 위한 기준'에 의거하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임순영 (2004). 고등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조희형 . 박승재 (1994). 과학론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 과학사
  10. 한지숙 . 정영란 (1997).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19-125
  11. Chiappetta, E. L., Sethna, G. H., & Fillman, D. A. (1987). Curriculum balance in science textbooks. The Texas Science Teacher, 16(2), 9-12
  12. Lederman, N. G. (1986).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A reassess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6, 91-99
  13.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14. Lederman, N. G. (1999).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lassroom practice: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the relationshi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916-92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10)36:8<916::AID-TEA2>3.0.CO;2-A
  15. Lee, E. (2002).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2), 140-146
  16. Lee, E. (2003).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2), 100-107
  17. McComas, W., Clough, M. P., & Almazroa, H. (2000). The role of and character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New York: Kluwer Academic Publication
  18.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from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7
  19.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29 no.4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from curriculum development Meichtry, Y.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