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lf-Evaluation Test Items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 Professional Growth

중등 과학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and execute self-appraisal test items on secondary science teachers. Test items included 6 sub-fields-subject knowledge, teaching strategies, teaching skills, assessment, laboratory manage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and 77 items. Using these test items, science teachers were able to evaluate their ability as prescribed by a 5-point Likert scale. Furthermore, teachers were able to comprehend fields showing their highest and lowest scores among the 6 sub-fields. They could then place special attention on the lowest field insuring self-growth as a science teacher. Self-appraisal test item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related references on teacher evaluation criteria and standards. 220 subjects composed the sample on which these test items were exec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items was 80.8%. The range of sub-field reliabilities was .76 - .86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entire test was .95.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subfield was .54 - .69 and that of subfields and entire test was .54 - .79.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whole test was .79, the highest coefficient observed.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More experienced teachers had higher scores in all 6 sub-fields (p<.05).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was observed in subject knowledge and laboratory management (p<.05); male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female teachers.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experience, the higher the scores for subject knowledge (p<.05). Lastly, the teacher's major did not result in any significant differences.

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교과의 전문가일 뿐 아니라 교육활동에 있어서 특별한 노하우를 갖고 있는 전문가이며, 교사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수업이다. 그러나 교사들의 전문적 수업지도성 확보를 위한 동기유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교사평가가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과학 교사의 자기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교사 평가의 준거와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할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헌을 고찰하고, 중등 과학 교사의 업무와 과학 수업의 특징, 실험과 수행 평가가 강화된 현실을 반영하여 과학 교사 자기평가 도구의 평가 영역과 평가 요소를 결정하고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하고, 과학교육 석사 학위를 소지하고, 교직 경력이 8년 이상인 현직 중등 과학교사 10명으로부터 검사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개발된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중등 과학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신뢰도와 교사 집단별로 총점과 하위 영역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갇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 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도구는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인 여섯 가지 하위영역에서 과학 교사의 자질을 스스로 진단해 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평가 도구는 교과 지식, 교수 전략, 교수 기술, 실험실 경영, 평가, 전문성의 6개 하위영역, 총 7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의 형식으로 제작되어 점수가 높을수록 과학 교사의 자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자기평가 도구의 내용 타당도는 80.8%로서 평가목표에 문항의 내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는 하위 영역별로 .54$\sim$.69의 범위에 있었고 전체 검사의 신뢰도는 .95로 양호하다. 하위영역과 전체 검사간의 상관계수는 .54$\sim$.79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성 영역의 상관계수가 .79로서, 전문성이 교사의 자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서울과 경기지역 중학교 과학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적용해 본 결과, 성별로는 교과 지식 영역과 실험실 경영에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고(p<.05 ), 경력별로는 경력이 많은 교사집단이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p<.05). 전공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위별로는 교과 지식 영역에서만 석사 이상의 교사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p<.05)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낙원 (1993).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사 평가. 교육윌보 12(11), 49-53
  2. 권난주, 권재술 (1993). 수월성의 준거: NSTA.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13(1), 100-120
  3. 김수현(1999). 과학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계속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준거 요소.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정규, 권낙원 (1988). 교사와 교육. 서울: 형설출판사
  5. 김정환 (2000). 전문성 신장 중심의 교사평가 방안. 한국교육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33-154
  6. 김현희 (2002).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과학교사 양성 목표와 교유과정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수원 (2002).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근무평정의 특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용현 (1994). 교사 자질 평가척. 서울: 코리안테스팅센터
  9. 배호순 (1991). 수업평가. 서울: 양서원
  10. 서혜애 등 옮김 (2000). 국가과학교육 기준-미국의 과학교육 개혁. 서울: 교육과학사
  11. 성민웅 (1994). 학교과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과학교육(12), 31-52, 시청각교육사
  12. 원효헌 (1998). 교사의 교수 수행평가 영역 및 요소의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전제상 (2000). 교사평가의 준거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정영수 (1998). 교사와 교육. 서울: 문음사
  15. 정태범 (1993). 미국교육의 동향과 한국 교육의 방향, 서울: 교육과학사
  16. 주삼환 (1996). 교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사의 직무수행 모형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 중부교육청
  17. 최병순 (1994) 과학과 교육론. 경기과학 통간 제100호 특집, 경기도과학교육원, 127-130
  18. 한종하 (1990). 과학교사의 자질과 과학교육. 교육 개발, 12(5), 2-13
  19. Baird, L. S. (1977). Self and Superior Rating of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2), 291- 300 https://doi.org/10.2307/255402
  20. Barber, L. W. (1985). Improving Teachers Performance-Formative Edvaluation. Indiana: A Publication of Phi Delta Kappa's Center on Evalu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21. Beerens, Daniel, R. (2000). Evaluating Teachers for Professional Growth-Creating a Culture of Motiviation and Learning. Thousand Oaks. California: Corwin Press. Inc.
  22. Campbell, Donald, J., & Lee, Cynthia. (1998). Self-Appraisal in Performance Evaluation: Development versus Evalu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2), 302-314 https://doi.org/10.2307/258579
  23. Duke, Daniel L, & Stiggins, Richard J. (1990). Teacher Evaluation-Five Keys to Growth, Washington D.C: NEA Professional Library
  24. Jones, Jeff & Mathias, John (1995). Training for Apprais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ondon: Cassell
  25. Labosky, V. K. (1994). Development of reflective practice: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Teachers College Pr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nc.: National Academy Press
  27. Sergiovani, T. J., & Starratt, R. J. (1983). Supervision: Human Perspectives. New York: McGraw Hill Book Co.
  28. Shinkfield, A. J., & Stufflebeam, Daniel, (1995). Teacher Evaluation: Guide to Effective Practice. Boston/Dordrecht/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9.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30. Turner, T. & DiMarco, W. (1998). Learning to Teach Science in the Secondary Schcol,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31. Valentine, Jerry. W. (1992).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Effective Teacher Evaluation. futon: Allyn and Bacon
  32. Vito Germinario & Cram, Henry G. (1998). Change for Public Education-Practical Approches for the 21st Century. Lancater Basel: Technomic Publishing Co.
  33. Wenning, C. J. (1998). Knowledge base for prospective secondary level physics teacher. http://www.phy. ilstu.edu/profiles/studkb.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