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s of High Turbid Water Caused by Heavy Rain of Monsoon and Typhoon in a Large Korean Reservoir (Andong Reservoir)

인공호에서 몬순과 태풍 강우에 의한 고탁수층의 이동과 소멸특성

  • Park, Jung-Won (Department of 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hin, Jae-Ki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WACO) ;
  • Lee, Hee-Moo (Department of Bi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Chung (Andong Dam Offic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WACO), Department of Bi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박정원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 신재기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이희무 (안동대학교 생물학과) ;
  • 박재충 (한국수자원공사 안동댐관리단, 안동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During the period of heavy rain from 2002 to 2004,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ow, temporal and spatial fluctuations of high turbid water according to thermal stratification were studied on the Andong Reservoir which is the largest artificial lake in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 Thermal stratification was formed in June. Its structure determined to the pathway of inflowing turbid water and has affected by the transportation of high turbid water. Regardless of the time and amount of inflow, the high turbid water showed the shape of underflow at the riverine zone, separated from the bottom at the transition zone and moved to the lacustrine zone with the shape of density current. The plunging point depended on the time and amount of inflow. The distributions of thermal stratification and DO concentrations were changed by inflowing discharge. Two thermoclines and minimum DO layers were found out existing at metalimnion in a specific time, respectively. The layer of high turbid water which formed with the thickness of 20 m at the maximum below the depth of 15 m moved toward dam. Not settled to the bottom, the newly formed layer was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outlet and dispersed into all layers by the circulation in the fall.

낙동강 수계의 최대 인공호인 안동댐 저수지에서 2002${\sim}$2004년 동안 홍수기의 수온성층 구조에 따른 고탁수의 유입특성과 시 ${\cdot}$ 공간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6월부터 수온성층이 형성되었으며 성층구조에 따라 유입 수괴의 이동경로가 결정되었고 고탁수의 유입에 의해 성층구조가 변하였다. 고탁수는 유입 시기와 수량에 관계없이 저수지 상류부에서는 심층류로 유입되었고 중류부에서 바닥으로부터 분리되어 중층 밀도류의 형태로 하류까지 이동하였다. 또한 중층 밀도류의 형성지점은 유입량과 시기에 따라 공간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유입량에 의해 수온성층과 DO 분포가 변하였고, 시기에 따라 변수층에는 2개의 수온 급감층과 저산소층이 각각 존재하였다. 최하류까지 이동한 홍수량의 고탁수층은 상승류를 형성하여 수심 15 m 아래에서 최대 20 m 두께로 고탁수층을 형성하였다. 고탁수층은 저수지 바닥으로 침전되지 않았고 중층의 취수구를 통해 하류로 배출되었으며 가을 순환시기 이후 완전 소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철, 김윤희. 2004. 아시아 몬순지역의 대형댐 (소양호)에서의 인순환과 2차원모델의 적용. 한국육수학회지 37: 205- 212
  2. 김범철, 조규송. 1989. 소양호의 심층무산소층과 중층 산소최저층 형성. 한국육수학회지 22: 159-166
  3. 김성수, 권은미, 방기연, 정욱석. 2002. 경안천 유역의 강우사상별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원단위 조사. 대한환경공학회 논문집, pp. 179-180
  4. 김윤희. 1998. 홍수시 소양호에서 중층탁류의 이동 및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2p
  5. 박재영, 오종민, 김영철. 2001. 삽교호 유입하천에서 강우시 주요 오염물질의 유출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4: 62-69
  6. 박재충, 박정원, 김대현, 이희무. 2004. 안동호의 수역별 영양상 태와 평가방법간 상관성 비교. 한국육수학회지(인쇄 중)
  7. 서동일. 1998. 대청호의 성층현상에 의한 부영양화 특성과 수질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9: 1219-1234
  8. 신재기, 강창근, 황순진. 2003. 팔당호에서 수중 탁도의 일 변동과 고탁수의 입자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36: 257-268
  9. 오영택, 박제철, 김동섭, 류재근. 2004. 강우시 소옥천에서의 비 점오염원 유출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0: 657-663
  10. 이현동, 안재환, 배철호, 김윤지. 2001. 강우시 유출부하량을 이 용한 팔당상수원 유역의 비점오염원 원단위와 발생량 추정. 한국물환경학회지 17: 313-326
  11. 이현동, 배철호. 2002. 비점오염원 유출특성과 저감을 위한 최적관리기법. 한국물환경학회지 18: 569-576
  12. 전홍진, 정경모, 김관휘, 이효진, 박재충. 2004. 대형댐 저수지에서의 홍수기 탁수유입 특성 및 거동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439-444
  13. 정선아, 이혜숙, 신재기, 황순진. 2004. 하천-저수지 시스템에서 탁수의 입자 분포. 대한상하수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98-404
  14. 조규송, 김범철 외 9인. 1991. 호소환경조사법. 동화기술, 365p
  15. 최중대, 권순국, 권기석. 2004. 점토질 롬 밭과 논의 비점오염 원 부하량 평가.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6: 107-114
  16. 한국수자원공사. 1992-2004. 안동다목적댐 관리연보. 30
  17. 한국수자원공사. 1994. 임하댐 저수지 탁도상승의 원인조사 보고서. 66p
  18. 한국수자원공사. 2000. 댐 저수지 탁류 및 오염물질 이송.확산 모의기술 개발. 97p
  19. 한국수자원공사. 2003. 다목적댐 운영 종합보고서. 211p
  20. 한국수자원공사. 2004a. 안동댐 비점오염물질 유입특성 및 저감방안조사 보고서(2차년도). 277p
  21. 한국수자원공사. 2004b. 안동시 용상정수장 개선방안 타당성 검토 보고서. 43p
  22. 허우명, 권상용, 김범철, 박주현. 2000. 안동호 수질의 장기적인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3: 260-266
  23. 허우명, 김범철, 김윤희, 최광순. 1998. 소양호 유역에서 비점오 염원의 홍수유출과 오염수괴의 호수내 이동. 한국육수학회지 31: 1-8
  24. 황상구, 장윤득, 이윤종. 2002. 안동저반 심성암류의 암석성인. Jour. Petrol. Soc. Korea. 3: 200-212
  25. 황순진, 안광국, 류재근. 2002. 호소생태학-인공댐호.저수지 의 육수학. 신광출판사, 373p
  26. Ahn, C.-Y., H.S. Kim, B.D. Yoon and H.M. Oh. 2003. Influence of rainfall cyanobacterial bloom in Daechung Reservoir. Koean J. Limnol. 36: 413-419
  27. An, K.-G. 2000a. Dynamic changes of dissolved oxygen during summer monsoon. Koean J. Limnol. 33: 213- 221
  28. An, K.-G. 2000b.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us. Koean J. Limnol. 33: 222-229
  29. An, Kwang-Guk. 2001. Seasonal patterns of reservoir thermal structure and water column mixis and modifications by interflow current. Koean J. Limnol. 34: 9-19
  30. An, K.-G., J.W. Seo and S.S. Park. 2001. Influences of seasonal rainfall o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near the intake tower of Taechung Reservoir. Koean J. Limnol. 34: 327-336
  31. AWWA. 1999. Water quality and treatment, A handbook of community water supplies. 5th ed.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McGraw-Hill, Inc. New York, USA
  32. Gordon, J.A. and R.M. Bekel II. 1985. Suspended sediment characteristics of Lake Cumberland, Kentucky. In Proc. N. Am. Lake Mgt. Soc. 1984. pp. 259-264
  33. Harper, D. 1992. Eutrophication of freshwaters-Principles, problems and restoration. Chapman & Hall, London, 327p
  34.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2nd ed. McGraw-Hill, Inc. 576p
  35. Kalff, J. 2002. Limnology, Prentice-Hall, Inc. 592p
  36. Shapiro, J. 1960. The cause of a metalimnetic minimum of dissolved oxygen. Limnol. Oceanogr. 5: 216-227 https://doi.org/10.4319/lo.1960.5.2.0216
  37. Shin, J.-K., S.N. Jeong, I.H. Choi and S.J. Hwang. 2004. Dynamics of turbid water in a Korean reservoir with selective withdrawal discharge. Koean J. Limnol. 37: 423-430
  38. Wotton, R.S. 1994. The biology of particles in aquatic system. 2nd ed. CRC Press, Inc. 32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