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and Water Quality Patterns in Youdeung Stream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 평가 및 수질양상

  • Lee, Jae-Yon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ang, Ha-Na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Ecological stream health,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 was evaluated at five sampling locations of Youdeung Stream during August-October 2004. For the study, we also analyzed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conventional water quality over tine period of 1995 ${\sim}$ 2004, using the water chemistry dataset,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used here were conductivity, total suspended solids (TS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chemical oxygen demand $(COD_{mn})$,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The multi-metric model values averaged 27.8 in the stream and ranged 24 ${\sim}$ 32. The health condition was judged as 'Fair' to 'Poor'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ream health criteria of US EPA (1993). Longitudinal variation occurred from the upstream to downstream reach; largest differences in all water quality variables occurred between Site 5 and the other sites. This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impact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near the locations. Also, relative proportions of tolerance and omnivore species increased in downstream reaches. The model values, however, did not match the values, based on water quality parameters. We assume that this may be associated with primarily reduced water volumn during dry season in the stream along with modified physical habitat conditions.

본 연구는 2004년 8월 (8월 16 ${\sim}$ 17일)부터 10월 (10월1 ${\sim}$ 2일)까지 금강 지류중의 하나인 유등천의 5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어류군을 이용한 다변수 모델 적용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생물학적 건강성평가 모델값은 유등천의 지점별 수질변수 값 (1995 ${\sim}$ 2004년:환경부 자료)과 비교 평가하였다. 이용된 수질변수는 전기전도도 (Conductivity),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_5)$,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_{mn})$, 총인 (Total phosphorus), 총질소 (Total nitrogen) 및 총부유물 (Total suspended solids)의 6개 항목으로서 조사지점별, 계절별, 연별로 농도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안 등 (2003)에 의해 국내 특성에 맞게 개발된 다변수 메트릭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최근 미국 환경부(US EPA)의 Barbour et al. (1999)에 의한 RBP 모델을 기반으로 얻어졌다. 총체적인 건강성평가에 따르면, EPA (1993) 및 Barbour et al. (1999)의 기준에 따르면, 2차례 조사에 걸친 유등천의 생물학적 건강도는 27.8(n=10)로서, 수환경등급은 '보통상태' (Fair condition)로 나타났다. 8 ${\sim}$ 10월까지 지점별 개별적인 어류평가 모델 값은 24 ${\sim}$ 32범위로 나타났으며, 5지점에서 모델 값은 25 (Poor condition)로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 ${\sim}$ 4지점까지 모델 값은 고도 구배에 대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이화학 분석 자료에 따르며,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5지점 (S5)은 나머지 4개 지점 (S1 ${\sim}$ S4)의 수질에 비해 뚜렷한 수질악화를 보였는데, 이는 제 5지점 부근의 공단과 분뇨처리시설로부터 유입된 폐수에 의한 점 오염원의 효과로 사료되었다. 어류의 지표종 특성에 따르면,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 갈겨니 (Zacco temmincki)와 같은 수질에 대해 민감한 어종은 상류(S1 ${\sim}$ S2)에서의 출현빈도가 하류지점에의 출현빈도에 비해 뚜렷하게 높게 나타나 수질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트로픽구조 측면에서 내성종 (Tolerant species)및 잡식성종(Omnivore species)이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수. 2002. 생물학적 수질기준 설정 필요성 및 접근방안. 환경생물학회지 20: 28-49
  2. 김선경, 서동일. 1994. 대전천의 수질 오염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상하수도 학회 학술발표회 및 세미나. pp. 23-28
  3. 김익수, 강종언. 1993. 원색 한국 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 김익수, 박종영. 2002. 원색도감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5.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 부
  6. 김종선, 함순아, 나철호. 1995. 수서곤충을 이용한 탐진강 수계 의 수질평가. 환경생물학회지 13(2): 225-231
  7. 김현아, 이나나, 유춘만, 위성욱, 주현수, 이종빈, 위인선. 1995. 동복호 유입하천의 조류증식능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 13(1): 71-82
  8. 김호섭, 황순진. 2004. 얕은 부영양 저수지의 육수학적 특성- 계절에 따른 수질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7(2): 180-192
  9. 안광국, 신인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1): 54-62
  10.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김용화. 2003. 어류군 다변수 접근 방식에 의거한 생불보존지수 산정에 의한 생태학적 하천 건 강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003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 집 pp. 548-552
  11.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2001. 생물보전지수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 수계의 평가.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2): 261-269
  12.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 및 서식지 평가지수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4(3): 153-165
  13. 염동혁, 안광국, 홍영표, 이성규. 2000. 어류군집을 이용한 금호 강의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평 가. 환경생물학회지 18(2): 215-226
  14. 이은형, 서동일. 1994. 대전직할시 유등천의 수질현황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지 pp. 85-89
  15. 이충렬. 2001. 갑천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환경생물학회지 19(4): 292-301
  16. 이태관, 박태규. 1996. 금호강 수질환경의 계절적 변동과 관리. 환경과학논집 1(1): 155-170
  17. 이혜원, 안광국, 박석순. 2002. 소양호 수질의 시∙공간적 경향 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 2002년도 공동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69-72
  18. 임창수, 신재기, 조경제. 2000. 금강 중∙하류에서 오염양상과 수질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3: 51-60
  19. 정연태, 최민규, 김백호, 위인선, 이종빈. 1996. 수질오염 판정을 위한 기법 개발( I ) 부착조류 군체화에 미치는 기질특이성 연구. 환경생물학회지 14(1): 95-111
  20. 조현실, 김도한, 부성민. 1998. 유등천의 수환경과 부착조류의 종류상. 환경생물학회지 16(3): 273-280
  21. 최기철, 김익수, 손영목. 1985. 금강하류의 담수어자원에 관하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7: 51-64
  22.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2002. 원색 한국 담수어 도감 (개정). 향문사
  23. 최기철. 1987. 충남의자연 담수어편.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24. 최기철. 1999. 우리 민물고기 백가지. 현암사
  25. 최민규, 김백호. 1994. 상수원의 오염에 대한 식물플랑크톤의 오수생물학적 연구-만경강 상류 하천 및 저수지를 중심으로-. 환경생물학회지 12(2): 141-174
  26. 최신석, 박종성. 1979. 금강하류 수역의 수질오염과 보호어류 및 특산어류 조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 241-256
  27. 홍영표. 1994. 자연환경기본계획: 담수어류. 대전직할시
  28. 환경부. 2004.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조사연구(I). pp. 516
  29. 황금화, 전상린, 김미옥, 황종서. 1992. 금강 하류역의 어류상에 관하여. 기초과학연구 6: 53-74
  30. An, K-G., S.S. Park and J-Y. Shim. 2002. An evaluation of a river health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along with relations to chemical and habitat conditions. Environment International 28: 411-420 https://doi.org/10.1016/S0160-4120(02)00066-1
  31.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 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32. Ganasan, V. and R.M. Hughes. 1998. Application of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to fish assemblages of the river Khan and Kshipra (Madhya Pradesh), India. Freshwater Biology 40(2): 55-59
  33. Harris, J.H. 1995. The use of fish in ecological assessment. Australian Journal of Ecology 20: 65-80 https://doi.org/10.1111/j.1442-9993.1995.tb00523.x
  34. Horton, R.E. 1945. Erosional development of streams and their drainage basins: hydrophysical approach to quantitative morph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56: 275-370 https://doi.org/10.1130/0016-7606(1945)56[275:EDOSAT]2.0.CO;2
  35.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36. Karr, J.R. and M. Dionne. 1991. Designing surveys to assess biological integrity in lakes and reservoirs, in biological criteria; Research and Regulation-Proceedings of a symposium. p. 62-72. U.S. EPA, Office of Waters, Washington, D.C., EPA-440/5-91-005, U.S.A
  37. Koizumi, N. and Y. Matsumiya. 1997. Assessment of stream fish habitat based on Index of Biotic Integrity. Bull. Jap. Soc. Oceanogr. 61: 144-156
  38. Kovacs, T.G., P.H. Martel and R.H. Voss. 2002. Assessing the biological status of fish in a river receiving pulp and paper mill effluents. Environmental Pollution 118: 123- 140 https://doi.org/10.1016/S0269-7491(01)00205-6
  39.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40.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th ed.). John Wiley and Sons
  41. Oberdorrff, T. and R.M. Hughes. 1992. Modification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fish assemblages to characterize rivers of the Seine Basin, France. Hydrobiologia 228: 117-130 https://doi.org/10.1007/BF00006200
  42.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 165
  43.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44. Simpo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45.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46.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t
  47. Wayne, S.D. and T.P. Simson. 1995. Biological assessment and criteria: tools for water resource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CRC pres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