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Trophic States in Lake Daecheong

대청호의 수질 환경요인과 영양단계 평가

  • 박종근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국제수돗물종합검사센터)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Data were collected in Lake Daecheong from March 1997 to October 2002 and used to understand an annual change of 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trophic states.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d from $3.2^{\circ}C$ to $33.1^{\circ}C$ In the middle of February, water temperature was the lowest. Turbidity was ranged from 0.1 to 203.5 NTU, but the values of above 30 NTU were only measured at site 1. The total mean values of COD and Chl a were $3.6{\pm}1.4\;mg\;O_2\;L^{-1}$, $9.3{\pm}12.8\;{\mu}g\;L^{-1}$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P and TN were ranged from 0.14 to 5.09 mg N $L^{-1}$, 1 to $247\;{\mu}g\;P\;L^{-1}$ respectively. The total mean value of TN/TP ratio was $98.7{\pm}56.2$. The trophic states were ranged from mesotrophic to eutrophic in Lake Daecheong.

대청호 연중 수질 환경요인의 변화를 해석하고 영양단계를 평가하고자,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수질 환경요인과 수문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청호의 표층 수온은 3.2\;{\sim}\;33.1^{\circ}C$로 2월 중순에 가장 낮았다. 탁도는 $0.1\;{\sim}203.5\;NTU$이었지만, 정점 1에서만 30 NTU의 이상이었다. COD의 평균은 $3.6{\pm}1.4\;mg\;O_2\;L^{-1}$이었고, Chl a의 평균 농도는 $9.3{\pm}12.8\;{\mu}g\;L^{-1}$이었다. 총질소는 0.14 ${\sim}$ 5.09 mg N $L^{-1}$ 범위로 4월과 6월부터 8월에 다른 시기보다 높았다, 총인은 $1\;{\sim}\;247\;{\mu}g\;P\;L^{-1}$로, 11월부터 4월까지$10.6\;{\sim}\;18.1\;{\mu}g\;P\;L^{-1}$로 상대적으로 낮다가 5월부터 8월까지 평균 30.0 P $L^{-1}$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TN/TP비의평균은 $98.7{\pm}56.2$이었다. 대청호의 수질은 적용한 지수와 시기별로 영양단계평가 등급이 중영양단계 또는 부영양단계로 판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근, 서윤수, 송준상, 이문호, 최재덕, 박건현, 최광수. 1984. 대청호 부영양화에 관한 종합연구. 국립환경연구소, 서울
  2. 김용재, 최재신, 김한순. 1997. 임하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 307-324
  3. 김환기, 김태근. 1996. 원격탐사에 의한 대청호 수질 관리방안. 대한환경공학회지 18: 1383-1396
  4. 김호섭, 황순진. 2004. 부영양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 에 대한 제한영양염과 질소/인 비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7: 36-46
  5. 대청댐사무소댐관리단. 1997.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1997. 한 국수자원공사, 대전
  6. 대청댐관리단. 1998.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1998. 한국수자원공사, 대전
  7. 대청댐관리단. 1999.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1999. 한국수자원공사, 대전
  8. 대청댐관리단. 2000.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2000. 한국수자원 공사, 대전
  9. 대청댐관리단. 2001.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2001. 한국수자원 공사, 대전
  10. 신재기. 1999. 대청호에서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환경생물학회지 17: 529-541
  11. 오희목, 김도한. 1995.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발생에 대한 단기적 예측. 한국육수학회지 28: 127-135
  12. 이정준, 이정호, 박종근. 2003.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 발달과 환경요인 변화와의 상관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6: 269- 276
  13. 이정호. 1999. 대청호의 연중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2: 358-366
  14. 이정호, 박종근, 김은정. 2002. 국내 주요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영양단계 평가. Algae 17: 275-281 https://doi.org/10.4490/ALGAE.2002.17.4.275
  15. 이종호. 1998. GIS를 적용한 호수 수질예측-대청호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0: 151-166
  16. 정상진. 1998. 대청호의 수질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 16: 425-431
  17. 정승현, 안치용, 최애란, 장감용, 오희목. 2005. 대청호에서 강우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관계. 환경생물학회지 23: 57-63
  18. 한국수자원공사. 2002.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2002. 한국수자 원공사, 대전
  19. 한의정, 김태근, 정동환, 천세억, 김신조, 유순주, 황종연, 김태승, 김명희. 1998. Landsat TM 영상자료를 이용한 대청호의 영양상태 평가. 환경영향평가 7: 81-91
  20. 환경부. 1996.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동화기술, 서울
  21. 환경부. 2003.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18041호
  22. An, K.G. 2000a. Dynamic change of dissolved oxygen during summer monsoon. Korean J. Limnol. 33: 213- 221
  23. An, K.G. 2000b.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us. Korean J. Limnol. 33: 222-229
  24. An, K.G., J.W. Seo and S.S. Park. 2001. Influences of seasonal rainfall o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near the intake tower of taechung reservoir. Korean J. Limnol. 34: 327-336
  25.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WWA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and WEF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26.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and Oceanogr. 22: 361-36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27. Downing, J.A. and E. McCauley. 1992. The nitrogen: phosphorus relationship in lakes. Limnol. Oceanogr. 37: 936-945 https://doi.org/10.4319/lo.1992.37.5.0936
  28. Forsberg, O., S.O. Ryding, A. Forsberg and A. Claesson. 1978. Water chemical analyses and/or algal assay? Seawage effluent and polluted lake water studies. Mitt. Internat. Verein. Limnol. 21: 352-363
  29. Forsberg, O. and S.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 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9-207
  30. Havens, K.E. 2000. Using trophic state index (TSI) values to draw inferences regarding phytoplankton limiting factors and seston composition from routine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Korean J. Limnol. 33: 187- 196
  31.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 Hill Inc., New York
  32. Kim, B., J.H. Park, G. Hwang and K. Choi. 1997. Eutrophicaiton of large freshwater ecosystem in Korea. Korean J. Limnol. 30: 512-517
  33. Smith, V.H. 1982. The nitrogen and phosphorous dependence of algal biomass in lakes: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analysis. Limnol. Ocenogr. 27: 1101-1112 https://doi.org/10.4319/lo.1982.27.6.1101
  34. USEPA. 2000. Nutrient criteria technical guidance manual: Lakes and reservoirs. USEPA, EPA-822-B00-001
  35. Vollenweider, R.A. and J.J Kerekes. 1980. Background and summary results of the OECD cooperative programme on eutrophication. In: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land waters and lake restoration. USEPA, EPA 440/5-81-010
  36. Yang, J.R. and M. Dickman. 1993. Diatoms as indicators of lake trophic status in central Ontario. Can. Diatom Res. 8: 179-193 https://doi.org/10.1080/0269249X.1993.9705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