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fter Formation of Turbid Water in Lake Imha

임하댐의 탁수 형성후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 Lee, Kyung-Lak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 ;
  • Choi, Jae-Si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 ;
  • Kim, Han-Soo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 ;
  • Park, Jung-Wo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
  • 이경락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최재신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김한순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박정원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fter the formatiom of turbidity was assessed at Dam barrage of Lake Imha from May 2003 to July 2004. The maximum turbidity of 1221 NTU during September and October 2003 was well correlated with heavy precipitation caused by Typoon Maemi. A total of 102 phytoplankton taxa was identified and the most abundant phytoplankton group was Bacillariophyceae with 63 taxa, followed by Chlorophyceae with 23 taxa, Cyanophyceae with 9 taxa, 3 taxa each of Synurophyceae and Cryptophyceae and Euglenophyceae with 1 taxon. The total standing crops ranged between 270 indls. $mL^{-1}$ and 4,515 indls. $mL^{-1}$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s. The three species, Cryptomonas ovata, Cyclotella sp. and Microcystis aeruginosa predominated in sequence after the decrease of turbidity.

본 연구는 임하호의 고탁수 발생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3년 5월부터 2004년7월까지 댐축 지점에서 매월 채집하였다. 2003년 9월과 10월의 가장 높은 탁도(1221 NTU) 형성은 태풍(매미)에 동반된 집중 호우 시기와 일치하였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102분류군이고, 이 중 규조강이 63증류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녹조강이 23종류. 남조강이 9종류, 시누라조강과 은편모조강이 각각 3종류 그리고 유글레나조강이 1종류가 출현하였다. 총 현존량은 270 ${\sim}$ 4,515 indls. $mL^{-1}$였고, 은편모조강의 Cryptomonas ovata, 규조강의 Cyclotella sp. 그리고 남조강의 Microcystis aeruginosa 등은 고탁수의 감소후 차례로 우점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재. 1999. 덕동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LTSI에 의한 호 소의 영양상태평가, 한국조류학회지 14: 161-167
  2. 김용재, 정 준. 1993. 임하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26: 175-196
  3. 김용재, 최재신, 김도한, 정 준. 1995. 임하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고찰, 한국육수학회지 28: 61-77
  4. 김용재, 최재신, 김한순. 1997. 임하호의 식물 플랑크톤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 307-324
  5. 김윤희, 김범철. 2004. 대형댐에서 부유물질의 중층이동과 모델링,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 대회초록집 8: 31
  6. 박재충, 박정원, 신재기, 이희무. 2005. 인공호에서 몬순과 태풍 강우에 의한 고탁수층의 이동과 소멸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8: 105-117
  7. 박정원, 신종학, 이갑숙. 1999. 하계 임하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 95-115
  8. 사승환, T. Masusa and Y. Hosoi. 2004. 농업유역으로부터 유 출되는 부유물질의 특징과 부영양화에 미치는 잠재적 영 향 평가,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초록집 8: 32
  9. 신재기, 강창근, 황순진. 2003. 팔당호에서 수중 탁도의 일 변 동과 고탁수의 입자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36: 257-268
  10. 한국수자원공사. 2004. 안동댐 비점오염물질 유입특성 및 저감 방안조사 보고서(2차년도)
  11. 허우명, 권상용, 이요상. 2004. 낙동강 상류 지역의 탁수발생 실태. 제59회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 발표대회 8: 30
  12. APHA, AWWA, WPC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PHA, Washington, DC
  13. Eloranta P. 1993. Diversity and succession of the phytoplankton in a small lake over a two-year period. Hydrobiologia 249: 25-32 https://doi.org/10.1007/BF00008840
  14. Harper, D. 1992. Eutrophication of Freshwaters. Chapman & Hall, London
  15. Hendey, N.I. 1974. The permanganate method for cleaning freshly gathered diatom. Microscopy 32: 423-426
  16. Holzmann R. 1993. Seasonal fluctuations in the diversity and compositional stability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small lakes in upper Bavaria. Hydrobiologia 249: 101-109 https://doi.org/10.1007/BF00008846
  17.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2nd ed. McGraw-Hill, Inc. New York
  18. Maitland, P.S. 1990. Biology of Fresh Waters. 2nd ed. Chapman and Hall,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