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of an Electrofishing Technique for Assessments of Fish Assemblages to Korean Watersheds

우리나라의 수계에서 어류채집 효율성을 위한 전기충격기의 도입

  • Hwang, Soon-J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onkuck University) ;
  • Bae, Dae-Yeul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Yon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a-Hyun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an sampling effect of fish species and individual number on sampling techniques of electrofishing and conventional capture methods of cast net and kick net in 38 stream sites sampled during June - September, 2005. For the study, sampling gears were categorized as three types of electrofishing method (EM), conventional sampling technique (CM), and the combined technique (CT) of the electrofishing and the conventional method to compare statistical differences. Major differences of species composition between the CM and EM method were found in some benthic species of Misgurnus mizolepis and Iksookimia koreensis along with lithophilic species of Pungtungia herzi. These species were predominated in the EM rather than the CM, indicating that conventional sampling can underestimate the abundance of benthic or lithophilic species. In contrast ,individual number of typical water column species such as Zacco platypus and Zacco temmincki were more sampled by the CM, so that these fish populations were community overestimated. Also, t-tests on the types of sampling gear from various watersheds of Chogang Stream, Yugu Stream, Daejeon Stream, and Gap Stream showed that total individual numbers and species number in each stream were significantly (t values = 2.806-6.896, p values<0.05, n = 5-14) greater in the CT than the CM. Similar statistical significance (p<1.001, n = (10-24) on sampling seasons were observed during the monsoon and postmonso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electrofishing is not added to the conventional gears, the abundance of fish population and community can be underestimated and some benthic or lithophilic species may be excluded from the analysis, resulting in overall errors including sampling, fish fauna, and final judgement of community abundance. Overall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new application of electrofishing method along with the conventional sampling gears reduce sampling bias on underestimation of the real fish populations and commun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6-9월까지 38개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채집된 어류의 종 수 및 개체 수 풍부도에 대란 전통적 채집방법 (주로, 투망 및 족대 이용)및 전기충격기를 이용하는 방법의 조사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채집도구는 전기충격기를 이용하는 방법 (EM), 전통적인 조사법 (CM) 및 이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하는 기법 (CT)의 3가지로 구분하여 통계적 유의성 차이를 비교 ${\cdot}$ 검토하였다. CM기법과 EM기법사이의 어종 구성도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는 미꾸라지 및 참종개와 같은 저서어종 (Benthic species) 및 돌로 된 하상을 선호하는 꺽지와 같은 종에서 나타났다. 이런종들의 출현빈도는 CM기법 보다는 EM기법에 의해 통계적 유의성이 높게 나타나 기존의 조사기법을 그대로 이용할 경우 저서성 어류 혹은 돌을 선호하는 종 (Lithophilic species)의 풍부도 산정시 과소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피라미와 갈겨니 같은 수층종(Water column species)은 CM기법 이용 시 개체 수 증가가 뚜렷하여 이런 종류의 개체군은 과대평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강천, 유구천, 대전천 및 갑천 수계의 통계적 t-검정 결과에 따르면, 이들 모든 하천에서 종 수 및 개체 수는 CM기법보다는 CT기법에 의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 값 =2.806-6.896, p 값<0.05, n = 5-14). 마찬가지로 계절별 통계 분석에서도 두 가지 기법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크게 나타났다 (p 값< 0.001,n = 10-24).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기충격기를 이용한 어류채집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추가되지 않는다면 실제 수환경내의 어류 개체군 및 군집분석은 과소평가되며, 저서성종 혹은 돌이나 암반을 선호하는 종은 분석에서 배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궁극적으로 채집오류는 물론이고 어류상, 개체군 및 군집풍부도 산정 시 큰 오류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어류조사 시 기존의 방법과 함께 전기충격기 방법의 새로운 도입은 실제 어류개체군 및 군집에 대한 과소평가의 분석오류를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되는 바. 북미 및 유럽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전기충격 채집법은 환경부 혹은 해양수산부의 어류 현장 지침서에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