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king Decision on Assessment Indicator of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Area Using Fuzzy Theory - Focused on Site Selection for the National Trust -

퍼지이론을 이용한 자연자원 보전지역의 평가지표 순위 결정 - 내셔널 트러스트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

  • You Ju-Han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ung-Hun (Dept. of Environment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Oh Jeong-Hak (Div.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유주한 (충청북도수목 산야초연구센터) ;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struct accurate and scientific system of assessment indicators in selection of National Trust conservation areas, which was new concept of domestic environment movement and offer the raw data of new analytic method by introducing the fuzzy theory and weight for overcoming the uncertainty of ranking decision. To transform the Likert's scale granted to assessment indicators into the type of triangular fuzzy number(a, b, c), there was conversion to each minimum(a), median(b), and maximum(c) in applying membership function, and in us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eigenvalue, there was to decide the ranking. The rankings of converted values applied a mean importance and weight were confirmed that they were generally changed. Therefore, the ranking decision was better to accomplish objective and rational ranking decision by applying weight that was calculated in grouping of indicator than to judge the singular concept and to be useful in assessment of diverse National Trust site. In the future, because AHP, which was general method of calculating weight, was lacked, there was to understand the critical point to fix a pertinent weight, and to carry out the study applying engineering concept like fuzzy integral using $\lambda-measure$.

Keywords

References

  1. 김명환(1992) 지역복지지표의 설정과 그 적용. 한국행정학보 26(2): 697-707
  2. 김세천(1996) 국립공원 개발에 따른 경관영향평가치에 관한 연구 -덕유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5(2) : 195-209
  3. 김준호(1997) 도시생태계의 정의와 범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2): 217-223
  4. 김창학, 강인석, 박서영(2002) 대형건설공사 위험인자의 중요도 판정을 위한 퍼지 평가모형 적용성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5-D): 923-933
  5. 김태일(1999) 수리적 기법에 의한 평가모형체계의 가중치 부여 방식에 관한 논의. 한국행정학보 33(4): 243-258
  6. 나정화(1999) 대곡수목원조성에 따른 비오톱 구조 분석. 한국정원학회지 17(4): 167-172
  7. 나정화, 류연수(2003) 도시 경관생태계획 지표 설정 및 중요도 평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1): 21-35
  8. 박문호(1996) 도시공원 조성의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 계층 분석과정 기법의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24(1): 42-54
  9. 박찬정(2001) 기업의 성과측정과 경쟁력 평가를 위한 퍼지 모형. 회계연구 6(2): 4-27
  10. 변우희, 노정철, 최학수(2002) 퍼지수에 의한 사이버 관광교육 이용자 가치평가. 관광학연구 26(2): 139-158
  11. 양병이, 이관규(2000)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녹지 평가모형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8(2): 97-107
  12. 엄붕훈, 우형택(1999) 한국형 전원주택단지의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1): 64-78
  13. 위인선, 백순기, 이종빈, 나철호(1991) 수환경 오염에 대한 수서곤충 지표종에 관한연구 -영산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물학회지 9(1): 42-54
  14. 유주한, 정성관(2002) 자연자원 보전지역의 평가모형 -내셔널 트러스트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2) : 39-49
  15. 이관규. 양병이(2001) 환경평가를 위한 지표의 가중치 산정 방법 결정 모형. 환경영향평가 10(1): 59-71
  16. 이기철, 김경완(2001) 미개발 근린공원의 개발 우선순위 결정. 한국조경학회지 29(1): 80-91
  17. 이석훈, 윤덕균(2004) 삼각퍼지수와 어의척도를 이용한 서비스 품질 측정. 품질경영학회지 32(3): 182-197
  18. 이재준(2001) 생태마을 사례분석과 전문가 및 거주자 의식 조사를 통한 계획방향 설정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6): 23-39
  19. 이진춘, 권중생(1993) 신경증적 성격특성치 평가에의 퍼지 적분의 응용. 경영과학연구 2: 73-94
  20. 이진춘(1999) 퍼지적분을 이용한 관능검사치의 정량화. 경일대학교 논문집 16: 1-11
  21. 임신재, 이우신(1999) 활엽수 천연림지역에서 서식지 구조에 따른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 한국임학회지 88(2) : 179-184
  22. 정성관, 유주한(2003)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통합 평가모형 - 내셔널 트러스트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12(2): 87-98
  23. 조명래(1999) 새로운 시민환경운동으로 National Trust 운동의 이해와 활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1(2): 25-39
  24. 하성규, 김태섭(2001) 주민중시형 주택재개발 요인 설정과 중요도 조사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6): 83-97
  25. 한봉호, 이경재(2001) 생태적 특성에 따른 산림녹지의 관리방안 -부천시의 사례-. 한국조경학회지 29(1): 51-66
  26. Buckley, J. J.(1985) Rarking alternatives using fuzzy numbers. Fuzzy Sets and Systems 15: 21-31 https://doi.org/10.1016/0165-0114(85)90013-2
  27. Cook, E. A. (2002) Landscape structure indices for assessing urban ecological netwo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8: 269-280 https://doi.org/10.1016/S0169-2046(01)00226-2
  28. Enea, M. and G. Salemi(2001) Fuzzy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Ecological Modelling 135: 131147
  29. Gluck, P.(2000) Policy means for ensuring the full value of forests to society. Land Use Policy 17: 177-185 https://doi.org/10.1016/S0264-8377(00)00018-1
  30. Iverson, L. R. and A. Prasad(1998) Estimating regional plant biodiversity with GIS modelling. Diversity and Distribution 4: 49-61 https://doi.org/10.1046/j.1472-4642.1998.00007.x
  31. Klijn, K.. A. Helias, and U. Haes(1994) A hierarchical approach to eco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ecological land classification. Landscape Ecology 9(2): 89-104 https://doi.org/10.1007/BF00124376
  32. Malone, C. R.(2000) Ecosystem management policies in state government of the USA. Lanscape and Urban Planning 48: 57-64 https://doi.org/10.1016/S0169-2046(00)00043-8
  33. Silvert, W.(2000) Fuzzy indic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Ecological Modelling 130: 111-119 https://doi.org/10.1016/S0304-3800(00)00204-0
  34. Tompson, S., K. McElwee, and J. T. Lee(2001) Us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for targeting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 case study of ancient semi-natural woodland in the Chiltern Hills area of outstanding natural beauty. UK. Landscape Research 26(3): 203-223 https://doi.org/10.1080/01426390125623
  35. Wu, H., B-L. Li, R. Stoker, and Y. Li(1996) A semi-arid grazing ecosystem simulation model with probabilistic and fuzzy parameters. Ecological Modelling 90: 147-160 https://doi.org/10.1016/0304-3800(95)00162-X
  36. Zadeh, L. A. (1973) Outline of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mplex systems and decision process. IEEE Trans. Systems. Man, and Cybernetics 3(1): 28-44
  37. Zimmermann, H. J. (1991) Fuzzy Set Theory and Its Applications. Massachusetts: Kluwer Academic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