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aceness of Deokjin Park in Jeonju City

전주시 덕진공원의 장소성

  • Kim Yun-Geum (The Institute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
  • Sung Jong-S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연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Deokjin Park in Jeonju City was the site of a pond during the Koryo Period. Although Jeonju City has developed rapidly in modem times, Deokjin Pond was preserved and was developed into a park It can be theorized that Deokjin Pond's latent character has made it possible for it to adapt to the changes it has undergone throgh the years. In this study, the placeness of Deokjin Park is determined by examining its role in the adaptation process. Placeness can b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objective character of a certain environment and the subjective experience related to it. For this paper, documents about the history of Deokjin Park were examined so that the facts related to it c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a number of Jeonju citizens were asked about their memories of Deokjin Park since memories reveal people's subjective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okjin Pond is an ideal space for Feng Shui. It is a holy place because the tomb of the founder of the Chosun Dynasty is close to it. In addition, it has scenic value as it is part of the Jeonju Palkyoung (eight sceneries). To this day, we can see people washing their hair in the pond, proof that Deokjin Pond is still the subject of folk beliefs. When Korea was under Japanese rule, Deokjin Pond became Deokjin Park because of its ideal location, scenic value, and grand possibilities as an amusement center. Over the years, though its scenic value decreased after the death of its pine trees. Jeonju City, however, was able to revive the park's charm though a series of renovation projects and through the addition of several facilities. Deokjin Park is now surrounded by many cultural buildings. The significance of Deokjin Park can be expected to evolve with these changes. This study helps to predict the future of Deokjin Park and to elucidate the importa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evolving place."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용(1885)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서울: 도서출판 조경
  2. 강영경(2004) 전주지역의 역사와 용왕제의 성격, 전주 용왕제의 성공을 기원하는 학술대회 자료집. pp. 71-82
  3. 김동완(2002) 20세기 서울시민의 여가생활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두규(2004) 풍수지리로 본 전주(전주역사박물관편 '지도로 찾아가는 도시의 역사'). 전주시: 전주역사박물관. pp. 299-331
  5. 김방룡(2004) 불교 속에 나타난 용왕신앙. 전주 용왕제의 성공을 기원하는 학술대회 자료집. pp. 21-35
  6. 김연금(2004) 소통적 조경계획 및 설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현숙(2004) 지도를 통해 본 전주의 근현대 공간구조 변화 (전주역사박물관편, '지도로 찾아가는 도시의 역사') 전주시: 전주역사박물관, pp. 163-200
  8. 동국여지승람(1481) 전주부 산천조
  9. 두산동아 편집부(2002) 두산동아 세계백과사전. 서울: 두산 동아
  10. 서울시(1983) 서울 六百年史 第三卷
  11. 송화섭(2004a) 전주부성과 덕진용왕제. 전주 용왕제의 성공을 기원하는 학술대회 자료집. pp. 53-69
  12. 송화섭(2004b) 천주의 단오절 성황제(전북전통문화연구소편, '전주의 역사와 문화'). 전주시 : 신아출판사, pp. 103-138
  13. 신정일(2004) 다시 쓰는 택리지 2. 서울: 휴머니스트
  14. 이규목(1988)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1): 35-45
  15. 이규목(2002) 한국의 도시 경관. 서울: 열화당
  16. 이명우(1989) 공공옥외공간의 계획 및 설계를 위한 환경조사 및 분석에 대한 기초 연구,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20: 153-169
  17. 이석환(1998) 도시가로의 장소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전주문화원(1988) 우리전주 문화유산
  19. 전주역사박물관(2004) 지도로 찾아가는 도시의 역사. 전주시: 전주역사박물관
  20. 전주시(1975) 덕진공원기본계획
  21. 전주시(1995) 도시계획재정비
  22. 전주시(1996) 덕진공원 조성기본계획
  23. 전주시(2003) 도시기본계획
  24. 전주시 편(1973) 전주시사
  25. 전주시 편(1986) 전주시사
  26. 전주시백년사편찬위원회(2001) 이야기로 듣는 전주 전주사람들. 서울: 등사기
  27. 전주시백년사편찬위원회(2001) 신문으로 본 전주 전주사람들. 서울: 등사기
  28. 정진홍(1994) 물과 한국 종교 (최정호편, '물과 한국인의 삶'). 서울: 나남출판. pp. 149-164
  29. 조선왕조실록(1541) 중종 20년 8월
  30. 최창조(1990)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서울 서해문집
  31.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4) 한국 구비문학대계 (전주시.완주군편).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2. 한국한글학회 편집부(1981) 한국지명총람. 서울: 한글학회
  33. Abrarnson, D.(1999) Make history not memory. Harvard Design Magazine 9: 78-83
  34. Berrizbeitia, A.(2001) Scales of Undecidability In J. Czeniak, ed., Downsview Park Toronto. New York PRESTEL. pp. 116-125
  35. Bogart, M. H.(1999) Public space and public memory in New York's City Hall Park. Journal of Urban History 25(2): 226-257 https://doi.org/10.1177/009614429902500203
  36. 동아일보(1939) 명승 덕진 호반에서 자전거 경기회 오는 13. 14양일 개최. 5월 5일: 3
  37. 전북일보(1954) 예전에 보지 못한 풍성, 어제 단요절의 덕진은 인산인해. 6월 6일: 2
  38. 전북일보(1954) 팽창하는 전주시. 9월 24일: 2
  39. 전북일보(1967) 취향정 송림 보호책 막연. 2월 22일: 3
  40. 전북일보(1967) 덕진 호반에 인파 5만. 6월 13일: 3
  41. 전북일보(1967) 시민의 말로 망친 관광지 취향정 송림 재생길 막연. 6월 13일: 3
  42. 전북중앙신문(2003) 덕진연못 잡초 제거 논란. 7월 4일: 9
  43. 전주면 작성 덕진공원과 운동장사무처리 서류(1929). 9월 27일
  44. 전주시(1938) 1938년 전주시가지 계획 평면도
  45. 한국국립지리원(1964) 1964년 촬영 항공사진
  46. 한국국립지리원(1975) 1754년 촬영 항공사진
  47. 한국국립지리원(1985) 1985년 촬영 항공사진
  48. 한국국립지리원(1985) 1985년 촬영 항공사진
  49. http://blog.empas.com/an1011102/
  50. http://photoself.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