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pping Inundation Areas by Flash Flood and Developing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in Urban Settings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돌발홍수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 Received : 2005.10.04
  • Accepted : 2005.11.03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As local flash flood exceeding planned capacity occurs frequently, localized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flood inundation are increasingly important. Using XP-SWMM model and GIS techniques, this study analyzes inundation areas by local flash flood and develops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with the case of Sadang-Cheon area, a local stream and its nearby highly populated watershed in the southern part of metropolitan Seoul, Flood inundation areas overflowed from drainage systems are analyzed and mapped by amount of rainfall that is derived from reference levels of stream flow.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are comprised of 'watch' (40mm/hr) in preparing for near-future inundation and 'evacuation' (65mm/hr) in responding to realized inundation. The methods suggested by this case study may be applied to other urban areas for sound flood prevention policy measures and thus risk minimization.

본 연구는 XP-SWMM 모형과 GIS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인 사당동 지역의 국지성 돌발홍수를 사례로 강우단계에 따른 내수침수상황을 모의하여 침수예상지역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피 강우기준을 개발하였다. 사당천의 배수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배수관망해석시 사당천 좌안 기점수위를 지정, 경계, 위험 홍수위 및 만수위로 입력한 후 각 수위에 대하여 강우를 단계별로 적용하여 침수예상지역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수예상지도를 작성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사당동지역의 경우 대피강우기준을 2단계인 준비 및 경계강우(40mn.hr), 대피강우(65mm/hr)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방법론을 응용함으로써 도시지역 침수피해에 대비한 합리적인 방재대책 및 침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