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ing Effect of Wedding Internet Advertisement Types -Static, Pop-Up, & Flash Banners-

웨딩드레스 인터넷 광고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고정배너형, 팝업형, 플래쉬형 배너광고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dvertising effects of wedding internet advertisement types such as Static, pop-up, and flash banners. The survey subjects were 604 unmarried female consumers, consisting 202 in the static banner group, 201 in the pop-up banner group, and 201 in the flash banner group.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Duncan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e results, regarding th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pop-up banner was the most effective on the cognitive component, while static banner was the most effective on the behavioral component. Regarding the attitude toward brand, pop­up and flash banner advertise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static banne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3 groups in purchasing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strategies for wedding dress internet advertisement were suggested.

Keywords

References

  1. 국내 인터넷 쇼핑시장 분석 및 전망 (2004, 7, 11). 연합뉴스
  2. 김민숙(1989). 웨딩드레스(Wedding Dress)에 관한 연구 -웨딩드레스의 변천과정과 업계현황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재휘(2001). 사이트에 대한 몰입과 태도에 따른 인터넷 배너광고 노출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2(1), 173-197
  4. 김종우, 이승엽(2001). 제품관여도, 웹사이트 유형 및 배너광고 유형에 따른 인터넷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7(2), 12-21
  5. 김종주, 이경희(2002). 웨딩드레스에 대한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5), 594-605
  6. 김주호, 이재문(1999). 광고매체로서의 인터넷 광고 유형별 효과분석. 광고학연구, 10(4), 179-212
  7. 김희숙(2002). 청소년잡지에 나타난 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 및 소비가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 492-502
  8. 문윤경(1994). 우리나라 웨딩드레스의 근대사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미국 온라인 광고 시장 2분기 연속 성장세(2003, 8. 22). 전자신문
  10. 배너광고의 클릭율을 높이다(2003,8.3). 전자신문
  11. 40조 시장 e-웨딩 각축전(2003. 1. 9). 주간신문
  12. 신초영, 이승희(2003). 패션전단광고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5), 475-484
  13. 5월 경기 위축에도 온라인분야는 '건재' (2003, 5. 2) 전자신문
  14. 올해 일본 인터넷 광고시장 100억엔대(2003, 9. 3). 전자신문
  15. 이두희(1997). 인터넷 마케팅과 광고: 통합적 접근. 광고학연구, 8(1), 195-214
  16. 장대련, 한민희(2001). 광고론. 학현사
  17. 전양진(2002). 패션상품의 광고에 나타난 문호적 특성과 소구유형. 한국의류학회지, 26(8), 1196-1204
  18. 조윤식(2001).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집중도, 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7(3), 23-35
  19. 한국 인터넷 이용자 3000만명 시대(2004, 8, 11). 연합 뉴스
  20. 한은경, 박승배, 김미리, 김동준, 심기환, 오민영 (2001). 인터넷 광고의 현황 파악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학술연구과제
  21. Betra, R. & Ray, M. L. (1986). Affective Response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234-249 https://doi.org/10.1086/209063
  22. Cho, C. H. & Leckenby, J. D. (1999). Interactivity as a Advertising Effectiveness
  23. Ducoff, R. H. (1997).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 21-35
  24. Ducoff, R. H. (1997).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 21-35
  25. eMarketer. (2000). http://WWW.eMarketer.com/ estats/ dailystats/ welcome.htm/
  26. Lutz. R. J. (1983). Affective and Cognitive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formation Processing Research in Ad, Hillsdale, Lawrence Erlbaum. 46
  27. Mackenzie, S. B., & Lutz, R. J. (1998).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e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 48-65
  28. Meeker, M. (1996). The Internet advertising report. Harper Business
  29. Shimp, T. A. (1981).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Consumer Brand Choice. Journal of Advertising, 10(2), 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