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and Yield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in Drained-Paddy Field

국내 육성 콩 품종의 논 재배에 따른 생육반응과 수량성

  • Kim Yong-Wook (Dept. of Plant Resources, College of Life Resources Science, Dongguk University) ;
  • Cho Joon-Hyeong (Dept. of Plant Resources, College of Life Resources Science, Dongguk University)
  • 김용욱 (동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
  • 조준형 (동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With various Korean domestic soybeans, growth and yields analysis were conducted to select the suitable soybean cultivars for cultivation in paddy field. Distinctive aspects of the soybean growth were observed in paddy field such as retarded growth of top plants and roots, relatively higher T/R ratio followed by overgrowth of top plant. However, growth and yiel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ultivars showing 134kg/10a in Paldokong and 385 kg/10a in Doremikong. At V5. and R2 stage,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r=0.76^{**}\~0.91^{**})$ were observed between leaf area and dry weight of top plant and/or root. T/R rati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y weight of root $(r=-0.37^*)$ at V5 stage, whil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f area $(r=-0.37^{**})$ and dry weight of top plant $(r=0.65^{**})$at R2 stage. Among the characters, only 100-seed weigh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yield. Considering the growth characters, 37 cultivars could be included in 3 different groups and genotypic properties such as maturity and growth habit were similar in each group. Nine cultivars in group 1 showed retarded growth from V5 to R2 stage, relatively lower T/R ratio, and good seed ripening. Average yields of the cultivers was 257kg/10a. In group 2, 12 cultivars showed higher T/R ratio due to overgrowth of top plant and lowest average yields (230 kg/l0a) due to poor seed ripening. Sixteen cultivars in group 3 grew fast from V5 to R2 stage representing late maturity traits, low T/R ratio, and good seed ripening. Average yields of the cultivars was highest among groups showing 270kg/l0a. In results, stable self-sufficiency of soybean yields could be expected by selective cultivation with high yielding cultivars ranging from 301 to 385kg/10a, such as Shinpaldalkong 2, Sohokong, Doremikong, Keumkangkong, Bukangkong, Dajangkong, and Geomjeongkong 2, or with cultivars included in group 3.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을 선발코자 황금 콩 등 국내 육성 37개 콩 품종을 공시하여 품종간 생육반응과 수량성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토양수분함량이 높은 논에서의 콩 재배 시 생육단계별 콩 품종별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은 매우 다양한데, 특징적인 생육반응은 초기생육이 지연되거나 지하부의 발달이 늦은 반면 지상부가 과번무하여 T/R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품종간 수량성에 있어서도 팔도콩이 134kg/10a 그리고 도레미콩이385kg/10a 차이가 매우 컸다. 2. 생육초기인 V5 stage와 개화성기인 R2 stage의 엽면적은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과 각각 고도의 상관관계 $(r=0.46^{**}\~0.91^{**})$를 보였으며, T/R율의 경우 V5 stage에는 지하부 건물중과 부의 상관관계$(r=-0.37^*)$를 보인 반면 R2 stage에는 엽면적$(r=0.46^{**})$과 지상부 건물중$(r=0.65^{**})$과 유의성 있는 상관 관계가 성립되었다. 3. 수량성은 100립중과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등숙율 포함한 V5 및 R2 stage에서 조사된 다른 형질과는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농업적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을 기초로 군집분석 한 결과 공시품종들은 크게 3개 군으로 구분되는데,동일 군의 품종들은 생육습성 등 유전적 유사성은 높았으나 수량성은 다양하였다. 5. Group 1에는 새올콩등 9품종이 포함되는데, 생육초기부터 개화성기까지의 생육이 늦은 반면, T/R율이 낮고 등숙이 양호하여 평균 257kg/10a의 수량성을 보인다. Croup 2는 팔도콩 등 12품종이 포함되는데, 지상부의 생육이 과번무하여 T/R율이 높고 등숙이 불량하여, 평균 230kg/10a의 수량성을 보였다. Croup 3에는 진품 콩 등 16품종이 포함되는데, 대부분 중만생종이며, $V5\~R2$ stage의 생육이 왕성하고 T/R율은 비교적 낮고, 등숙울 또한 비교적 높아 평균 수량성이 270kg/10a로 가장 높았다. 6.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Group 3에 속하는 품종 또는 $301\~385kg/10a$의 높은 수량성을 보이는 신팔달콩2호, 소호콩, 도레미콩, 금강콩, 부광콩, 다장콩 및 검정콩2호 등의 품종을 선별하여 재배한다면 논의 적정 경지면적 유지에 의한 국내 쌀 수급안정 및 안정적인 콩 자급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eatherly, L G and H C Pringle. 1991 Soybean cultivars response to flood irrigation of clay soil. Agron. J. 83.231-236 https://doi.org/10.2134/agronj1991.00021962008300010053x
  2. Scott, H D., J. DeAngule, M. B. Daniels, and L. S. Wood. 1989. Flood duration effects on soybean growth and Yield. Agron. J 81 631-636 https://doi.org/10.2134/agronj1989.00021962008100040016x
  3. Sionrt, Nand P. J Kramer 1977. Effect of water stress during different stages of growth of soybean. Agron J. 69. 274-278 https://doi.org/10.2134/agronj1977.00021962006900020018x
  4. Stanley, C D, T. C. Kaspar, and H M Taylor 1980. Soybean top and root response to temporary water tables imposed any three different stages of growth. Agron. J 72:341-346 https://doi.org/10.2134/agronj1980.00021962007200020021x
  5. 橋本鋼二 1978 水田大豆作の問題點(1) 農業技術. 33 103-107
  6. 권용웅, 이민규. 1988. 콩의 영양생장기 및 개화기의 습해조건에 대한 생리반응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농업산학협동집) 31 289-300
  7. 김용욱, 조준형 2004 천환경 논 밭 윤환 콩 재배법 확립을 위한 논콩 재배시 품종별 생육반응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2(4). 437-450
  8. 농림부 2002 농림수산주요통계
  9. 農林水産技術會議事務局.農業研究セソタ一. 1989 水田農業の基礎技術
  10. 島田信二, 庚川文彦, 宮川敏南. 1990. 山陽地域の水田轉換畑高收量 ダイズに封する播種期および栽植密度の效果 日作紀 59(2):257-264
  11. 望月後宏, 松本重男 1991 秋ダイズの耐濕性の品種間差異 日作紀 . 60 380-384
  12. 杉本秀樹, 雨宮 昭, 佐藤 亨, 竹之内篤. 1988. 水田轉換畑における ダイズの過濕障害 第1報 土壌の過濕處理か乾物生産と子實收量 に及ほす影響 日作紀 57(10):71-76
  13. 三好 洋 1973. 水田および水田轉換畑の地下水位の濕害對策, 農業技術 28:283-296
  14. 時政文雄 1951. 大豆の冠水被害に關する研究. 日作紀 201. 03-105
  15. 이영호, 한상수 2002 우리나라 콩 논재배 기술과 정책. 한국콩연구회지 19(2).1-14
  16. 이홍석, 구자환, 윤성희. 1993. 수분포텐셜과 지히수위조절이 대두의 근류활성, 생육 및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 ('92농업산학협동)35. 1-11
  17. 竹島薄二 1981 庄内水田農業の展望 日作紀 50:423-428
  18. 채제천 1988. 지하수위의 변화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반응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농업산학협동편). 31. 235-242
  19. 작물시험장. 2001. 콩 논재배 핵심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