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pecialized Programs in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In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specialists with a specific concentration are more appreciated than broad knowledge. Therefore, it is a growing trend that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restructure their vision and plans to foster specialized professionals. While responding to the needs of working libraries and adhering to the basic educational goals, the Program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ctor should be flexible to the external changes. In this sense, each university should develop customized curriculum based on its related policies, resources, and surrounding circumstances, with an emphasis on specialization over standardization. This paper discusses how to buil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in line with specific environments that each university is surrounded with, and by doing so, raise information professionals with specialized concentrations.

지식정보사회에서는 다양한 분야를 널리 아는 것보다 특정 분야에 특성화된 전문가를 원하며 그러한 전문가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특성화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목표와 교육방향을 설계하는 대학 및 학과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문헌정보학 교육과정도 대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도서관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대학 자원과 환경을 바탕으로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정책과 자원과 환경은 대학마다 다르므로 각 대학의 특성에 맞게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즉 표준화된 교과과정이 아닌 특성화된 교과과정의 운영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학의 처한 환경과 상황을 고려하여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으며 정보전문가로서의 보다 전문화되고 특성화된 자질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姜德求. 1995. 大學別 敎育內容 特性化에 의한 競爭力 提高에 관한 硏究: 藝術 大學을 중심으로. '大學發展세미나資料集'. 1995: 205-223
  2. 교육인적자원부. 2002. 'E-Campus, 지식공동체 구현을 위한 대학정보화활성화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교육인적자원부. 2004. '대학ㆍ기업ㆍ정부의 인력양성 협력체제 강화를 위한국제포럼'.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5. 1. 17]
  4. 구본영. 1988. 도서관학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도서관학', 5: 45-72
  5. 구본영. 2003. '문헌정보학입문'.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6. 구분영, 박미영. 1998.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 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2): 211-235
  7. 권기원. 1978. 한국의 도서관학 교육제도에 대한 고찰: 전문학교에서 대학원까지의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도서관학', 5: 104-124
  8. 권은경. 1981. 도서관학 교육의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의 교과과정분석을 중심으로. '도서관학논집', 1-29
  9. 김강선. 2001. 사서직 교육: 현장에 필요한 인재양성이 되어야. '시민과 도서관', 2(3):105-108
  10. 김명옥. 1997. 문헌정보학의 교육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2): 121-138
  11. 김문경. 2004. 기업.대학, 맞춤형 인재양성 합의. YTN. 2004. 12. 22
  12. 김성수. 1998a. 문헌정보학의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회', 40-80
  13. 김성수. 1998b. 학부제 관련 문헌정보학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 연구. '도서관학논집', 28(1): 355-383
  14. 김자후. 1999.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모형 개발, '사회과학연구', 9: 303-335
  15. 남태우, 정준민. 1995. 정보사회를 대비한 정보전문가 양성을 위하 산학협동 및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8: 193-245
  16. 노영희, 최원태. 2005. 2004 '한국문헌정보학교과과정'. 서울: 구미무역(주)
  17. 박정택. 1994. 한국의 인재양성과정과 특징 고찰. '사회과학연구', 4: 270-288
  18. 엄영애. 1998. 도서관계의 경향와 사시적 교육의 변화. '도서관학논집', 29: 141-169
  19. 엄영애. 2002. 문헌정보학과의 정보기술 교과목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3(3): 415-430
  20. 엄영애. 2003. 문헌정보학과의 코어 교과목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4(3): 33-49
  21. 오정학. 2001. 특성화전략을 통한 학과경쟁력강화 방안 연구. '논문집', 18: 7-26
  22. 이동엽. 1995. 경주전문대학 전기과를 위한 교과과정 연구. '논문집', 9: 543-566
  23. 이은철. 1996. 학부제 도입에 따른 문헌정보학교육의 제문제. 1996년도 한국문헌정보학과교수협의회 정기총회 및 하계세미나 발표논문요지. 서울: 한국문헌정보학과교수협의회
  24. 이재철. 1990. 문헌정보학의 학명에 관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7(2): 3-34
  25. 이제환. 1998. 전환기 '한국' 문헌정보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문헌정보학회지'. 28: 1-40
  26. 이종수. 1994. '문헌정보학 분야의 과정별 교과과정 비교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동열, 조찬식. 2004. '문헌정보학 총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8. 정진식. 1991.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분석과 모형개발. '국회도서관보', 28(6): 3-63
  29. 정필모. 2001. '문헌정보학원론'. 서울: 구미무역 출판부
  30. 조찬식, 한만호. 2002. 문헌정보학과 경영정보학의 교과과정 비교 연구. '산업연구', 8: 31-54
  31. 최규호. 2005. 맞춤형 인재양성, 채용 힘 모았다. 전북중앙신문. 2005. 1. 12
  32. 최성진, 윤병태, 구본영. 1985. 한국적 도서관학교육과정 연구. '도서관학', 12: 269-327
  33.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89. '도서관학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3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90. 1990년도 도서관(문헌정보)학과 평가종합보고서. 서울:대교협
  35. 한국도서관협회. 2004. '한국문헌정보학의 이해'.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6. 한복희. 1984. 도서관 및 정보전문직 교육방향에 관한 연구: 교과과정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학', 11: 43-75
  37. 한복희. 1998. 학부제하의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개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4): 1-29
  38. 한복희. 1999. 변화하는 도서관환경에 대비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2): 179-198
  39. 한상완. 1996. 학부제 실시와 문헌정보학의 진로. 1996년도 한국문헌정보학과교수협의회 정기총회 및 하계세미나 발표논문요지. 서울: 한국문헌정보학과교수협의회
  40. 한순정. 1985. 최근 미국의 정보전문가 교육의 동향과 한국 사서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 '도서관학', 12: 149-161
  41. 홍현진. 1991. 정보전문직의 구조적인 변화와 정보학 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보', 28(2.3): 3-20, 18-35
  42. Garrison, Guy. 1978. 'Needed: A Core Curriculum for a Diversifying Profession,'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19(2): 181-190
  43. Hayes, R. M. 1982. 'The Core Curriculu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n Library Education Programmes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Asia. London: Library Association
  44. Jimerson, Randall Co. 2001. 'Graduate Archival Education at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OCLC Systems & Services, 17: 157-165 https://doi.org/10.1108/10650750110409353
  45. Macro, Guy A. 1994. 'The Demise of the American Core Curriculum,' Libri, 44: 175-189 https://doi.org/10.1515/libr.1994.44.3.175
  46. Pemberton, J. Michael and Christine R. Nugent. 1995. 'Information Studies: Emergent Fields, Convergent Curriculum.'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 126-138 https://doi.org/10.2307/40322913
  47. Sineath, Timothy. 1992. 'Information Science in the Curriculum,'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16(1/2): 56-63

Cited by

  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vol.3, pp.1, 2013, https://doi.org/10.5865/IJKCT.2013.3.1.031
  2. A Study of Chang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with Evaluation of Its Practicality vol.38, pp.6, 2012, https://doi.org/10.1016/j.acalib.2012.07.007
  3. A Study on New Courses Offered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6, pp.1, 2012, https://doi.org/10.4275/KSLIS.2012.46.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