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Semiotic analysis on Spirited Away

애니메이션(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대한 기호학적분석

  • 이윤희 (동덕여자대학교 미디어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Christian Metz, the precursor of cine-semiology, considered cinema as a language in the sense that it is a set of messages grounded in a given matter of expression, and a signifying practice characterized by specific codifications. According to Metz, film forms a structured network produced by the interweaving of cinematic codes, within which cinematic subcodes represent specific usages of the particular code. For Metz, cinematic language is a totality of cinematic codes and subcodes, and history of the cinema is the trace of the competition, incorporations and exclusions of the subcodes. He also suggested a filmic text is not just a list of codes in effect, but a process of constant displacement and deformation of codes. Following Metz' textual analysis methodology, I investigated the formal configuration of Hayao Miyazaki‘s animation, Spirited Away. It is interesting to trace the interweaving of cinematic codes in Spirited Away, i.e. codes of lighting, color, movement, and auteurism, across the animation. I focused on the first scene at the bridge to Yubaba's bathhouse, analyzing each cinematic code and its subcode applied. The first bridge scene is carefully constructed to stand out the confrontation of Chihiro (with Haku) and the bathhouse. The bathhouse is not just a building, it represents the powerful witch, Yubaba, yet to appear on the scene, and functions as an antipode to Chihiro. In each shot, every subcode within the codes of framing, direction, angle, color, lighting and movement is used to maximize the contrast between the dominant bathhouse and the feeble 10-year-old girl. In Spirited Away, the subcodes within each cinematic ode are constantly competing and displacing each other to augment the antithesis between the characters and develop the narrative. As Metz's argument that film constitutes a quasi-linguistic practice as a pluricodic medium, Spirited Away communicates with the spectators with the combination and displacement of these cinematic codes and subcodes.

영상기호학을 이끌었던 선구자인 메츠는 영화를 일종의 언어로서, 여러 약호들이 상호작용하는 의미화작용의 영역으로 보았다. 그는 영화를 상호 양립할 수 있는 영화적 약호들과 상호 대체적인 하위 약호들의 조합으로 보았으며, 영화의 텍스트는 작용하고 있는 약호들의 목록이 아니라 끊임없는 재구조화와 전치의 작업이라고 간주했다. 본 논문에서는 메츠의 기호학적 입장을 받아들여,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중요하게 나타나는 약호의 흐름을 고찰했다. 전반적으로 (센과...)라는 애니메이션에서는 조명의 약호, 색상의 약호, 움직임의 약호, 작가 주의적 약호들이 특별히 의미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 애니메이션 전체에서 강한 상징적 의미를 가지는 다리 신들 중 첫 번째를 골라, 각각의 샷에서 어떠한 하위 약호들이 서로 대립하며 구사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다리 신은 크게 목욕탕(즉, 유바바) 대 치히로(와 하쿠)라는 구도로 이루어져 있다. 목욕탕은 단순한 건물로서가 아니라 아직 등장하지 않은 유바바의 대리인이자 치히로의 대립점으로 기능한다. 각각의 샷에서 프레이밍, 시선, 앵글, 움직임의 약호 내의 모든 하위 약호들은 치히로와 목욕탕의 대조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구사되고 있으며, 가장 눈에 띄는 약호는 움직임이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각각의 약호 내의 하위 약호들은 끊임없이 경쟁하고 교환되며 캐릭터들 간의 대조를 극대화하고 내러티브를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구사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영화는 복수약호적 매체로서 유사언어의 실천이라는 메츠의 말처럼, 이러한 약호와 하위 약호들의 조합과 전치는 언어와 다르지만 유사한 방식으로 관객과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