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s of Apoptotic Genes (survivin, bcl-2, bax) and Clinical Relevance in Osteosarcoma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 survivin, bcl-2, bax의 발현과 임상적 의의

  • Kang, Hyun-Guy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an-S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i-Ra (Clinical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eol, So-Mi (Clinical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Oh, Joo-H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Ho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ang, Gyeong-Hoon (Department of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강현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한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미라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
  • 설소미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
  • 오주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상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강경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Purpose: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such as survivin, bcl-2, and bax has been examined in the human osteosarcoma and then evaluated the correlation with clinical data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ifty human osteosarcoma specimens were established from incisional biopsy and examination of survivin, bcl-2, and bax by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erformed.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survivin, bcl-2, bax and their two or three combined expressions with clinical data including the response of chemotherapy, local recurrence, distance metastasis, and oncologic outcome. Results: Survivin was showed in 26 cases (52%), bcl-2 in 23 cases (46%), and bax in 21 cases (42%) osteosarcoma. And coexpression of survivin and bcl-2 was showed in 19 cases (38%), survivin and bax in 13 cases (26%), bcl-2 and bax in 8 cases (16%), and all three expression was showed in 8 cases (16%).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ir apoptosis related gene and histologic difference, the presence of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Whereas neoadjuvant chemotherapy response correlated with bcl-2 expression (P=0.04), and survivin and bcl-2 coexpression (P=0.044) with poor chemoresponse. The rate of died of disease was correlated with bcl-2 (P=0.001), survivin and bcl-2 coexpression (P=0.027) with bad outcome. Survival curves of bcl-2 (P=0.0075), survivin and bcl-2 (P=0.0012) w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the Kaplan-Meier method. Conclusion: The apoptosis related gene expression was relatively high in osteosarcoma, bcl-2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poor chemotherapy response and poor survival rate, but survivin was correlated with this oncologic outcome only in the bcl-2 coexpression. The examination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apoptosis related gene in osteosarcoma could be helpful in the judgment of osteosarcoma prognosis.

목적: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과 관련된 survivin, bcl-2, bax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여 임상적 결과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항암 약물 치료 전 절개 생검으로 얻은 50예의 골육종 조직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통하여 survivin, bcl-2, bax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임상적으로 항암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율, 국소재발, 원격전이, 종양학적 결과 등을 연구하여 surviving, bcl-2, bax 유전자 각각의 발현 또는 이들의 복합적인 발현과의 연관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검사한 survivin 유전자의 발현은 26예(52%)에서 관찰되었고, bcl-2는 23예 (46%), bax는 21예 (42%)에서 관찰되었다. Survivin과 bcl-2의 공동발현은 19예(38%), survivin과 bax의 공동 발현은 13예(26%), bcl-2와 bax의 공동 발현은 8예 (16%), 그리고 이들 3가지 모두의 발현은 총 8예 (16%)에서 관찰되었다. 검사한 3가지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여러 임상적 변수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 하였을 때 조직학적 분류, 나이, 성별, 국소 재발 등과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항암 약물 반응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 인자는 bcl-2 (P=0.04), 그리고 survivin과 bcl-2가 동시 발현된 경우 (P=0.044)였으며 나쁜 항암 약물 반응율을 나타냈다. 종양학적 결과 중 질병으로 인한 사망과의 연관성을 보인 인자 역시 bcl-2 (P=0.001), 그리고 survivin과 bcl-2가 동시발현된 경우 (P=0.027)였으며, 이들의 발현은 나쁜 종양학적 결과를 나타냈다. Kaplan-Meier 생존율 분석에서 bcl-2 (P=0.0012)의 발현과 survivin, bcl-2의 동시 발현 (P=0.0075)은 생존율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골육종에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은 비교적 높게 보였으며, bcl-2의 발현은 항암 약물치료에 대한 불량한 반응과 낮은 생존율에 의미 있는 연관성을 보이며, survivin은 bcl-2와 동시에 발현되는 경우에만 이러한 종양학적 결과와 의미 있는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들의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한 관찰이 골육종의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