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x Differentials in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by Marital Status

배우자유무에 따른 남녀간 의료서비스 이용의 차이

  • Published : 2006.08.25

Abstract

It has been well known that women live longer but suffer more from degenerative diseases than men do, which, in turn, results in frequent utilization of medical care services among women. Previous studies, mostly based on Western society, have discussed that women, particularly married women, are more likely to utilize medical care services than men even after considerations of different health status an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ocial interests in women's health and socialization process of caring for health among women are known as causes. This study examines sex differentials in the medical care service utilization in Korean society, particularly focusing on marital status. Feministic perspectives in Korea have argued that sex division of labor within family puts women in a position that has to continuously provide physical and emotional services to other family members, which keeps them from taking care of their own health.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if this feministic perspective holds true in Korea. Results show that Korean women and those with spouse are more likely to utilize medical care services than their men and the spouse-less counterparts, net of other risk factors. However the effect of existence of spouse on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is much smaller among women than 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ministic perspective is in part applicable to explain sex differentials on medical care service utilization in Korea.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사망률은 낮지만 유병률이 높고 그에 따라 의료이용도 더욱 많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주로 서구사회의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인데, 한국의 경우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이 여성학계의 일부를 통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성별을 배우자의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의료이용행태와 그 관련 변인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여성과 남성의 의료서비스 이용의 차이가 과연 서구사회와 같은 형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배우자의 유무는 여성이 가정 내에서 점유하는 위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이는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배우자 유무에 따른 남녀집단 간 환경조건적 변인들과 의료요구적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결과 한국의 여성들 역시 서구의 여성들처럼 남성들보다 의료이용을 많이 하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주의적 주장과는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과 여성을 나누어 의료 이용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바에 의하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고, 이는 성별에 따른 의료이용행태에 있어서 남녀간 상이한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여성주의적 시각의 필요성을 일부 뒷받침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기 (1995), '사회경제적 지위와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1호:9-24
  2. 김정화 (1997),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 : 의료사회학적 접근',<여성연구> pp.133-35
  3. 문창진 (1990),<보건의료사회학> 신광출판사
  4. 박은옥 (1994), '취업과 결혼상태가 남녀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석사학위논문
  5. 세계일보, 2005년 6월 8일자. '주부는 숙련노동자'
  6. 심영희 (1999), '자식바라기' 어머니의 전통성과 성찰성; 대입 수험생 어머니의 삶과 정체성,' <모성의 담론과 현실> 나남: 서울
  7. 이경혜 (1999), '여성건강과 남녀평등 문화',<여성건강간호학회지> 5권 2호
  8. 이재경 (2000), '성별화된 이혼과 여성,' <가족과 문화> 12집 2호, 한국가족학회
  9. 이혜리 (1994), '가족과 질병의 상호관계,' <가정의학회지> 15권 11호
  10. 장현정 (2004), '한국가족에서의 '주부됨'과 여성의 건강,' <여성건강> 5권 2호. pp.105-137
  11. 조선일보. 2005년 5월 27일자. '한국인 하루 24시간 어떻게 쓰나.'
  12. 차승은. 한경혜. 이정화. 옥선화 (2003),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 관리 행동: 성별,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권 1호, pp.213-229
  13. Andersen, R. (1968),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s,' Research Series, No. 25, Chicago: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14. Benard, J. (1972), The Future of Marriag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5. Brown, G. W., and T,C, Harris. (1978), Social Origins of Depression: A Study of Psychiatric Disorder in Women. London: Tavistock
  16. Cleary, P.O., and D. Mechanic. (1983), 'Sex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married peo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2), 111-121 https://doi.org/10.2307/2136638
  17. Gove, W. (1984), 'Gender Differences in Mental and Physical Illness: The Effects of Fixed Roles and Nurturant Roles,' Socal Science and Medicine, 19(2): 77-84 https://doi.org/10.1016/0277-9536(84)90273-9
  18. Graham, H. (1985). Women, Health and the Family: Toward a New Perspective. New York: Tavistock Publication
  19. John N. (1993), 'Gender and Health : Some Asian Evidenc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4(September), pp.252-271 https://doi.org/10.2307/2137206
  20. Moen, P., D. Dempster-McClian and R.M. Williams. (1992), 'Successful Aging: A Life course Perspective on Women's Multiple Roles and Health,'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7: 1612-1638 https://doi.org/10.1086/229941
  21. Nathanson, C.A. (1977), 'Sex Roles as Variables in Preventive Health Behavior,'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 142-155 https://doi.org/10.1007/BF01674236
  22. Nettleton, S. (1995).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Polity Press, 조효제(역),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한울 아카데미(1997)
  23. Orman, A. (1977), 'Epidemiologic Transition in the U.S.' Population Bulletin 32:1-42
  24. Verbrugge, L.M. (1983), 'Multiple Roles and Physical Health of Women and Me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pp.16-30 https://doi.org/10.2307/2136300
  25. Verbrugge, L.M. (1985), 'Gender and Health: An Update on Hypotheses and Evidenc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6, pp.156-182 https://doi.org/10.2307/2136750
  26. Wickrama, K., R.D. Conger, F.O. Lorenz and L, Matthews. (1995), 'Role Identity, Role satisfaction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8: 270-283 https://doi.org/10.2307/2787128
  27. Wiley, G.M. (1991), 'Gender, Work and Stress: The Potential Impact of Role-identity Salience and Commitment.' Sociological Quarterly 32: 496-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