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the Incompatible Element Contents of the Ginsengs from Keumsan

금산 지역 인삼의 비호정성 원소 함량 특성

  • Song, Suck-Hwan (Dept. of the Environmental Health, Joongbu Univ.) ;
  • Yoo, Sun-Kyun (Dept. of Oriental Medicine and Food Biotechnology, Joongbu Univ.) ;
  • Min, Ell-Sik (Dept. of Forest Resources, Joongbu Univ.)
  • 송석환 (중부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 유선균 (중부대학교 한방건강식품과) ;
  • 민일식 (중부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is study is for chemical relationships between ginsengs(2, 3 and 4 yr) and soils from three representative soil types of Keumsan, shale(SL), phyllite(PH) and granite(GR). In the weathered soils, the GR is mainly high. Positive relationships are dominant, and negative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Y-Nb and Nb-Ta pairs. In the field soils, the GR is high while the SL is low. Regardless of the localities, available correlation relationships are dominant in the GR, and dominant in the 3 year area. In the host rocks, high element contents are shown in the GR. Positive relationships, regardless of the localities, are shown in the Zr-Hf, Ta, Nb-Ta and Hf-Ta pairs. In the ginsengs, chemical contents are distinctive with the different ages. Positive relationships are shown in the Y-Nb pair of the SL, Rb-Y pair of the PH, and Rb-Sr pair of the GR. Relative ratios(GR/SL and GR/PH) of the ginsengs suggest that ginsengs from the GR are higher than those of SL and PH while in the comparisons between PH and SL, 2 year ginsengs are high in the SL and 4 year ginsengs are high in the PH. Relative ratios between weathered and field soils (weathered/field) suggest high element contents in the weathered soils from the SL and PH and in the relative ratios(weathered soil/host rock), high element contents in weathered soils. Relative ratios between field soils and ginsengs(field soil/ginseng), regardless of the ages, show several ten and hundred times, suggestive of high contents in the soils. Comparisons with the overall average contents of each area show differences of several ten to hundred times in the SL and PH, and of several to ten times in the GR. These relationships suggest that contents of the ginsengs from the GR are more similar to the soils relative to those of SL and PH.

풍화토양의 경우 화강암 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높았고, 상관계수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정의 관계가 우세하였으며, 전 지역 공히 Y-Nb, Nb-Ta 쌍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밭 토양의 경우 화강암 지역이 높았고, 셰일 지역이 낮은 값을 보였다. 상관관계에서 화강암 지역은 많은 원소에서 정,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역에 관계없이 3 년생 지역에서 높은 유의성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암의 경우 화강암 지역이 높았고, 셰일 지역이 낮았다. 전 지역에서 Zr-Hf, Ta, Nb-Ta, Hf-Ta 쌍이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삼의 함량은 연생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졌다. 3 지역 공 히 상관계수에서 셰일 지역은 Y-Nb 쌍이, 천매암 지역은 Rb-Y 쌍이, 화강암 지역은 Rb-Sr 쌍이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각 지역 동일 연생별 성분 비교에서 화강암 지역이 셰일 및 천매암에 비해 높았고, 천매암 및 셰일 지역의 비교에서 2 년생은 셰일이, 4 년생은 천매암 지역이 높았다. 대부분 원소에서 풍화토와 밭 토양의 비(풍화토/밭 토양)는 셰일 및 천매암 지역에서, 토양/암석의 비(풍화토/모암)는 지역에 관계없이 풍화토가 높았다. 토양과 인삼의 비(밭 토양/인삼 함량)에서 일부 원소를 제 외하고 셰일 및 천매암 지역은 수 백 배 차이가 났고, 화강암 지역은 거의 대부분 원소에서 수 십 배 차이를 보였다. 즉 함량의 비가 수 십 배에서 수 백 배 차이로 토양이 인삼 보다 월등히 높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 평균에 대한 비율을 살펴보면 셰일 지역은 Rb, Ba, Sr이 수 십 배, Y, Nb가 수 백 배의 차이로, 천매암 지역의 경우 Nb가 수 천 배, Y가 수 백 배, Rb, Ba가 수 십 배 차이로, 화강암 지역의 경우 Rb, Ba, Y가 수 십 배, Sr은 수 배 차이로 토양이 인삼보다 높았다. 이 결과는 화강암 지 역 인삼의 원소 함량이 천매암 및 셰일 지역에 비해 토양에 가까웠음을 암시한다. 동일 연생 별 비교에서 높은 비율이 2 년생의 경우 LFS 는 화강암 지역이, HFS 는 천매암 지역에서, 3 년생의 경우 LFS는 천매암 지역이, HFS 는 화강암 지역과 셰일 지역이, 4 년생의 경우 LFS 는 셰일 지역이, HFS 는 화강암 지역에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부용: 국내 인삼 산업의 형황 및 새로운 인삼재품 개발 전망. 식품 산업과 영향 8(2), 1-9 (2003)
  2. 최용의 정재훈: 인삼 생물 공학 기술의 최근 동향과 이를 이용한 식품소재 응용. 식품 산업과 영향 8(2), 24-29 (2003)
  3. 류기형: 국내, 외 홍삼제품 현황 및 홍삼화 공정. 식품 산업과 영향 8(2), 38-42 (2003)
  4. 박채규, 전병성, 양재원: 고려 인삼의 화학 조성. 식품 산업과 영향 8(2), 10-23 (2003)
  5. 곽이성, 박종대, 양재원: 홍삼 효능 연구의 최근 현황과 그 전망. 식품 산업과 영향 8(2), 30-37 (2003)
  6. 이정규, 김나영, 한용남, 최종원: 홍삼의 전처리에 의한 사염화탄소 및 갈락토사민 유발 간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 고려인삼학회지 27(1), 1-10 (2003)
  7. 박경수, 고성권, 정성현: Multiple Low Dose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흰 쥐에서 백삼, 홍삼, 화기삼의 항당뇨 활성 비교. 고려인삼학회지 27(2), 56-61 (2003)
  8. 한혜정, 이해준, 강성수, 이수한, 조익현, 이종환, 나승열, 박창현, 엄창섭, 배춘식: 홍삼 사포닌이 좌골 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식품 산업과 영향 27(3), 103-109 (2003)
  9. 박훈, 최병주: 인삼의 무기성분 분배에 대한 토양 수분의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7(1), 74-79 (1983)
  10. 이일호, 육창수, 한강완, 박찬수, 박현석, 남기열: 인삼포지의 토양특성이 인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4(2), 175-185 (1980)
  11. 양효원: 고려 인삼. 고려 인삼 연구 보고서. 238 pp (1979)
  12. 박훈, 이미자, 조병구, 이종률: 내백 수삼 전분의 특성. 고려인삼학회지 18(3), 191-195 (1994)
  13. 고성룡, 최강주, 김현경, 한강완: 인삼속 식물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아미노산 및 유리당 함량조성. 고려인삼학회지 20(1), 36-41 (1996)
  14. 정열영, 정찬문, 고성율, 최광태: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형질 특성 및 성분비교. 고려인삼학회지 19(2), 160-164 (1995)
  15. 송석환, 민일식, 이용규: 금산인삼의 전이원소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6(1), 25-34 (2003)
  16. 송석환, 민일식, 박관수, 유선균: 금산의 서로 다른 3 토양에서 생육되는 인삼의 전이원소 함량특성. 고려인삼학회지 29(4), 192-205 (2005) https://doi.org/10.5142/JGR.2005.29.4.192
  17. 송석환, 민일식, 박관수, 유선균: 금산의 서로 다른 3 토양에서 생육되는 인삼의 전이원소 함량특성. 고려인삼학회지 29(4), 192-205 (2005) https://doi.org/10.5142/JGR.2005.29.4.192
  18. 최석원, 김억수: 의학환경지구화학. 도서출판, 춘광, (1996)
  19. Mason, B, and Moore, C. B.: Principles of Geo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992)
  20. Rollinson, H.R.: Using Geochemical Data: Evaluation, Presentation, Interpretation. Longman Scientific. Technical., UK. (1993)
  21. Hoffaman, E.L.: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in geoanalysis. J. Geochemical Exploration 44, 297-319 (1997)
  22. Deer, W. A., Howei, R. A. and Zussman, J.: An introduction to rock-forming minerals. Longman Grpup Ltd., London 528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