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edang-hwan on Experimental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세당환(世糖丸)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실험적 당뇨에 미치는 영향

  • Bae, Chul-Ho (Department of Oriental Diagnost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Soh, Kyeong-S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Jeong, Chan-Gil (Department of Oriental Diagnost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배철호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진단학교실) ;
  • 소경순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한의학교실) ;
  • 정찬길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진단학교실)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Objectives : We performed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dang-hwan(世糖丸) on the diabetes mellitus. Methods : We injected a vein with 65mg/kg of streptozotocin(STZ) on the rats. And then administered Sedang-hwan; 18.7mg/kg/day to sample groups and observed the weight and glucose level, insulin, C-peptide, triglyceride, albumin, T-protein, BUN(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in blood. Results : 1. The sample groups showed a high suppressive effect of weight loss(P=0.002). 2. The sample groups' glucose level showed a effective in lowering level(P=0.001). 3. The sample groups showed a higher insulin level than control groups. 4. The sample groups showed a higher C-peptide level than control groups(P=0.001). 5. The sample groups' triglyceride level showed a effective in lowering level. 6. The sample groups showed a higher HDL-cholesterol level than control groups(P<0.001). 7. The sample groups showed a higher T-protein level than control groups(P=0.04). 8. The sample groups showed a higher albumin level than control groups(P<0.001). 9. The sample groups' creatinine level showed a effective in lowering level(P=0.04). 10. The sample groups' BUN level showed a effective in lowering level(P=0.03). Conclusions : Conclusively, Sedang-hwan was recognized to have decrease effect of serum glucose, triglyceride, creatinine, BUN of the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It was suggested that Sedang-hwan can be used for effective diabetes mellitus medical treatment. It is also required to study further about detailed principles of blood-sugar dropping effect by Sedang-hwan, and recovery by diabetes mellitus.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편. 사망원인통계연보(인구동태신고에 의한 집계). 서울: 웃고문화사. 1977 ; 33-91.
  2. 민헌기. 임상내분비학. 서울: 고려의학. 1990 ; 68-72.
  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최신지견 내과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 788-801.
  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 173-175.
  5. 김응진 외. 당뇨병학. 서울: 고려의학. 1992 ; 1-2, 173-177.
  6. 杜鎬京. 東醫腎系學.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1993 ; 841-850, 1131-1146.
  7. 杜鎬京. 東醫腎系學硏究. 서울: 성보사. 1994 ; 409-430.
  8. 巢元方. 諸病源候論. 台北: 五洲出版社. 1969 ; 53-61.
  9. 孫思邈. 備急千金要方. 台北: 中國醫藥硏究所. 1965 ; 153, 167
  10. 劉完素. 劉河間醫學六書. 서울: 성보사. 1976 ; 83.
  11. 張介賓. 景岳全書. 18. 台北: 台聯國風出版社. 1962 ; 331-335.
  12. 陳士鐸. 石室秘錄. 서울: 杏林書院. 1936 ; 36-38.
  13. 劉延卿. 玉液湯加味治療糖尿病25例. 浙江中醫雜誌 1983;3:138.
  14. 張振思, 于東强. 玉液湯和材治療糖尿病4例. 上海中醫雜誌 1990;12:22.
  15. 楊竝各. 消渴湯治療糖尿病74例. 浙江中醫雜誌 1986;12:554.
  16. 田中峰. 降糖飮治療糖尿病. 四川中醫 1989;8:29.
  17. 趙開元. 天花散治療老年糖尿病26例療效觀察. 中西醫結合雜誌 1987;11:693.
  18. 金完熙. 消渴에 응용되는 白虎湯이 alloxan 당뇨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학회지 1983;1:5–22.
  19. 김용성, 김철중, 성현제. 人蔘白虎湯이 Alloxan으로 誘發된 mouse의 糖尿病性 腎症에 미치는 影響.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9;5:17–25.
  20. 李雄楨. 消渴에 응용되는 黃芪湯加味方이 KK mouse의 대사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 1986;11:5–17.
  21. 황무연. 消渴에 응용되는 黃芪湯加味方이 KK mouse의 耐糖性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 1986;11:5–18.
  22. 오정석. 玉泉散이 Alloxan투여 백서 혈청의 대사기질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1990;5:77–88.
  23. 김지부, 김우환. 活血潤燥生津飮이 STZ에 의한 당뇨흰쥐의 혈청 insulin 및 C-pept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5;15(2):218–225.
  24. 허종회. 加味六味地黃湯이 streptozotocin 백서의 혈당량에 미치는 영향. 경희한의대논문집 1984;7:135–152.
  25. 정대규. 加味地黃湯과 압척초가 실험적 당뇨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 1988;13(3):64–86.
  26. 곽규호, 김성훈, 송효정. 六味地黃湯加山藥 Alloxan 당뇨 백서의 혈당 및 혈청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1993;8:137–157.
  27. 이현철.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분비. 당뇨병 1989;12(2):113–118.
  28. 이우주. 의학대사전. 서울: 아카데미서적. 1999 ; 1326
  29. 홍원식. 精交黃帝內經.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1 ; 22
  30. 巢元方. 巢氏諸病源候論. 臺中: 昭人出版社. 1979 ; 7
  31. 孫思邈. 備急千金要方. 서울: 대성문화사. 1986 ; 373-376.
  32. 李梴. 醫學入門. 서울: 남산당. 1976 ; 331-333.
  33. 張子和. 儒門事親. 臺北: 旋風出版社. 1976 ; 331-333.
  34. 趙佶. 聖濟總錄.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1 ; 194
  35. 陳士鐸. 石室秘籙. 서울: 행림출판. 1987 ; 202
  36. 徐大春. 徐靈胎醫書全集. 臺北: 五州出版社. 1981 ; 194
  37. 張機. 仲景全書. 臺北: 集文書局. 1972 ; 345
  38. 朱震亨. 丹溪心法附餘(下卷). 서울: 대성문화사. 1984 ; 503-509.
  39. 李杲. 蘭室秘傳(東垣十書)卷中. 上海: 鴻文書局. 1974 ; 2-10.
  40. 許俊. 東醫寶鑑. 서울: 남산당. 1966 ; 303.
  41. 어성복, 최찬헌, 장경선. 죽력배합약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생쥐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1):151–156.
  42. 이상인 외. 한약임상응용. 서울: 성보사. 1986 ; 124-126, 171-178, 356-358, 395-397, 429-431.
  43. 이상인 외. 본초학. 서울: 修書院. 1981 ; 105, 114, 116, 282, 286, 534.
  44. 王浴生主編. 中藥藥理與應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3 ; 400-406, 718-722.
  45. 華良才. 三消治驗. 中醫雜誌 1985;9:53.
  46. 申健. 三消湯治療糖尿病-附356例療效觀察. 湖南中醫雜誌 1989;5(3):7–8.
  47. 문석재. 천화분 Extract의 가토혈당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서의학 1982;7(1):38–45.
  48. 윤수홍, 하헌.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에 대한 白殭蠶의 영향. 한국위생과학회지 2000;6(1-2):11–22.
  49. 신용철, 전영중. 대두에서 분리한 피니톨의 혈당강하효과. 식품과학과산업 2003;36(1):56–61.
  50. 이정숙, 이경희, 정재홍. 갈근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9;28(1):218–225.
  51. 김창민 외. 中藥大辭典. 서울: 정담. 1997 ; 3211, 3228
  52. 김신석, 최종원, 이경희, 김석환, 이철환. 고혈당 쥐의 간대사효소계에 미치는 生津養血湯의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5;16(2):320–337.
  53. 박종현, 이학인. 녹용이 streptozotocin 당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제한동의학술원논문집 1995;1(1):247–262.
  54. 김희철, 강정상. 매괴화 잎, 줄기, 뿌리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시킨 당뇨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6;17(1):1–19.
  55. 이태희. 당뇨병 유발약물의 작용기전. 당뇨병 1993;17(1):1–15.
  56. Ganda OP, Rossinii AA, Like AA. Studies on streptozocin diabetes. Diabetes 1976;25:595–603.
  57. Eiziri DL, Migliorini RH. Reduced diabetogenic effect of streptozotocin in rats previously adaped to high - protein. carbohydrate free diet. Diabetes 1984; 33. 383–388. https://doi.org/10.2337/diabetes.33.4.383
  58. Like AA, Rossini AA. streptozotocin-induced pancreatic insulitis. new model of diabetic mellitus. Science 193. 1976:415–417. https://doi.org/10.1126/science.180605
  59. 대한당뇨병학회편. 당뇨병학. 서울: 고려의학. 1992 : 1, 53-55, 65, 115, 221, 227, 238, 240.
  60. 石橋丸應. 圖說病態生理와 藥의 작용. 서울: 계축문화사. 1983 ; 43-44.
  61. 정종운, 이윤호, 강성길. 가시오가피약침이 당뇨유발억제 및 신장보호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20(3):1–14.
  62. 이귀녕, 이종순. 임상병리파일 제2판. 서울: 의학문화사. 1996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