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ACTICE PATTERN OF PEDIATRIC DENTISTS IN KOREA

소아치과 개원의 진료 현황 분석

  • Choi, E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R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hn, Se-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a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은정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정태련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한세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김영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Pediatric dentistr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fields of dentistry in that it provides comprehensive dental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early days, pediatric dentistry used to be confined to the caries treatment and extraction of primary teeth However, the practice spectrum of pediatric dentistry has broadened to the orthodontic, surgical, esthetic and preventive treatments A survey that contained questions about practice patterns were mailed to 50 pediatric dentists, and 21 surveys were retur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per week was 82.4, and the average number of treated teeth per patient was 2.35. 2. Preventive treatments comprised 15.7%, restorative treatments 55.7%, endodontic treatments 15.6%, surgical treatments 10.5%, and orthodontic treatments 2.4%. 3. In restorative treatments, amalgam restoration comprised 3.8%, glass ionomer 5.5%, composite resin 63.0%, and stainless steel crown 27.7%.

소아치과는 소아와 청소년의 구강상태에 대하여 보존, 교정, 치주, 외과치료 등 다방면의 치료를 복합적으로 시행한다는 점에서 타분야와 구분된다. 초창기의 소아치과학은 유치와 영구치의 우식의 치료, 발치 등에 국한되었으나, 최근에는 교정, 소 수술, 심미, 예방치료 등으로 진료의 범주가 확대되고 있다 2005년 11월 현재 소아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치과에서 근무하는 치과의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송된 설문지 21매를 토대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주일 간 평균적으로 진료하는 환자의 수는 82.4명이었고, 각 환자당 평균적으로 치료받는 치아의 수는 2.35개였다. 2, 전체 치료 중 예방치료가 15.7%, 수복치료가 55.7%, 치수치료가 15.6%, 외과치료가 10.5%, 교정치료가 2.4%를 차지하였다. 3. 수복치료 중 아말감이 3.8%, 글래스 아이오노머가 5.5%, 복합레진이 63.0%, 스테인레스 기성금관이 277%를 차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