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treams within Samsanjeil and Sambong Cu Mining Area

삼산제일.삼봉 동광산 주변 수계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 Kim, Soon-Oh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Jung, Young-Il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 Hyen-Goo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순오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정영일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조현구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statu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was investigated using chemical analyses of stream waters and sediments obtained from Samsanjeil and Sambong Cu mining area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In addition, the degree and the environmental risk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tream sediments was assessed through pollution index (Pl) and danger index (DI) based on total digestion by aqua regia and fraction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nts by sequential extraction, respectively. Not only the degre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amsanjeil area than in Sambong area, but its environmental risk was also revealed much more serious in Samsanjeil area than in Sambong area. The differences in status and level of contamination and environmental risk between both two mining areas may be attributed to existence of contamination source and geology. Acid mine drainage is continuously discharged and flows into the stream in Samsanjeil mining area, and it makes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e stream more deteriorated than in Sambong mining area in which acid mine drainage is not produced. In addition, the geology of Samsanjeil mining area is mainly comprised of andesitic rocks including a small amount of calcite and having lower pH buffering capacity fer acid mine drainage, and it is likely that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cannot be naturally attenuated in streams. On the contrary, the main geology of Sambong mining area consists of pyroclastic sedimentary Goseong formation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carbonates, particularly calcite, and it seems that these carbonates of high pH buffering capacity prevent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from proceeding downstream in stream within that area.

경상남도 고성군에 위치한 삼산제일 삼봉 동광산 주변지역의 중금속 오염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천수와 하상퇴적물을 채취하여 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중금속 오염도와 환경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왕수분해법과 연속추출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하상퇴적물 내 중금속의 총 농도와 화학적 존재형태에 따른 농도를 바탕으로 한 오염지수와 위험지수를 산정하였다. 삼봉광산 지역보다는 삼산제일광산 지역에서 중금속 오염도도 높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그 환경위해성도 훨씬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두 지역에서 오염현황, 오염도, 환경위해성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갱내수와 같은 광산 오염원의 존재여부와 지질학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삼산제일광산 지역의 경우 산성광산배수가 지속적으로 유출되어 하류 수계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에 갱내수가 존재하지 않은 삼봉광산지역보다는 하류 수계에 대한 중금속 오염이 보다 더 악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산제일광산 지역 주변 지질은 주로 안산암질 암류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 안산암질 암류 내에는 산성광산배수를 중화시킬 수 있는 pH 완충력이 큰 탄산염 광물 등의 함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수계에서 중금속 오염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삼봉광산 지역의 지질은 방해석과 같은 탄산염 광물을 다량 함유한 화산쇄설성 퇴적암층인 고성층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들 탄산염 광물들에 기인한 높은 pH 완충력에 의하여 중금속 오염이 하류 수계 방향으로 확산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원 쇄설물의 축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Ba의 경우, $SiO_{2}$보다 $10{\sim}20cm$ 정도 지연되어 증가하는 특이한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빙하후퇴에 이은 생산성의 빠른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용리하였다. 그 결과 고상선 온도를 상승시켜, 잔류마그마는 비교적 급냉되어 세립질의 화강암류를 만들었다. 마그마에서 용리된 열수는 정동을 만들었으며, 확보된 공간속에서 자수정 정동을 형성하였다.한 BAC 클론을 찾아 염기서열 분석하는 BAC-to-BAC 방법을 추진하고 있으며 8개국에서 참여하여 현재 염기서열 분석을 추진 중 이다. 최근에 각 국에서는 생물정보학기법을 활용한 염기서열 분석 기반에 대하여 많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유전체 정보가 축적됨에 따라 배추의 유전체 구조를 이해하고 농업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데 기여를 할 것이다.칠고 짙은 흑회색을 띠며 백봉오골계보다 모공수가 더 많고 모공도 더 크다. 10) 백봉오골계와 연산오골계는 모두 일반 양계와는 달리 근육, 내장, 뼈 등이 일반적으로 흑회색을 띠고 있다. 2. 백봉오골계 육의 일반 성분과 Mineral 함량 1) 백봉오골계육은 연산오골계육과 일반 양계육에 비해 수분과 지방 함량은 적고, 단백질과 회분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 이다. 2) 백봉오골계는 칼슘(Ca), 인(P), 철(Fe), 칼륨(K), 아연(Zn)의 함량은 모두 다리살이 가슴살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철(Fe)의 함량은 가슴살보다 약 5.6배, 아연(Zn)은 약 5.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주, 이평구 (2005) 폐광산 지역 폐광석 및 광미에서 비소의 고정 메카니즘과 용출특성. 자원환경지질, 38, 499-512
  2. 강민주, 이평구, 김상연 (2006a) 광미-물 상호반응에서 반응시간이 중금속 용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하수 토양환경학회지, 11, 23-36
  3. 강민주, 이평구, 염승준 (2006b) 세창 폐금속광산 수계에서 미량원소의 지구화학적 거동특성 규명. 자원환경지질, 39, 213-227
  4. 김정대 (2005) 강원도 폐금속광산 지역의 광미와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현황 및 오염도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7. 626-634
  5. 김종욱, 문희수, 송윤구, 유장한 (1999) 구봉광산 일대 광미, 하상퇴적물 및 주변토양에서의 중금속 원소의 존재형태. 자원환경지질, 32, 261-271
  6. 김휘중, 양재의, 이재영, 전상호 (2003) 휴폐광산 지역에서 폐제 내 중금속의 존재 형태 및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8, 43-55
  7. 김휘중, 양재의, 옥용식, 이재영, 박병길, 공성호, 전상호 (2005) 휴폐광산 지역에서 유출되는 하천수의 오염도 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10, 25-36
  8. 낙동강 환경관리청 (2001) 폐금속 광산(구룡광산, 삼상 제일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 p.16- 19
  9. 대한광업진흥공사 (1973) 탐광굴진 1호, p. 43- 55
  10. 대한광업진흥공사 (1974) 탐광굴진 2호, p. 171-172
  11. 대한광업진흥공사 (1976) 탐광굴진 3호, p. 37- 38
  12. 대한광업진흥공사 (1981) 한국의 광상 제 8호(금속편). p. 100-104
  13. 대한광업진흥공사 (2003) 광물자원 매장량 현황. p. 50
  14. 대한광업진흥공사 (2005) 광물자원 매장량 현황. p. 310
  15. 박영석, 김진 (2000) 덕음광산 선광광미와 주변토양의 미량원소에 대한 수평.수직적인 분산에 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33, 91-100
  16. 박희인, 최석원, 장호완, 이민성 (1983) 경남고성지역 동광상의 성인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16, 135-147
  17. 연규훈, 이평구, 염승준, 최상훈 (2005) 삼산제일광산 광미 내 유해 미량원소의 오염 및 이동도. 자원환경지질, 38, 451-462
  18. 이인경, 이평구, 최상훈, 김지수, 소칠섭 (2005) 장풍 폐광산 주변 지질환경에서 중금속의 존재형태. 자원환경지질, 38, 699-705
  19. 이진수, Ben A Klinck, Yvette Moore, 전효택 (2000) 다덕광산 주변지역에서의 독성원소들의 환경오염 및 인체흡수도. 자원환경지질, 33, 273-282
  20. 이진수, 전효택 (2004) 금속광산지역 독성 중금속원소들의 인체 위해성 평가. 자원 환경지질, 37, 73-86
  21. 정기영, 이병윤, 이석훈 (2000) 다덕광산 폐석 내 섬아연석, 능망간석, 함망간 방해석의 화학적 풍화작용과 Zn, Mn, As의 지구화학적 거동. 한국광물학회지, 13, 73-83
  22. 조현구, 장병준, 김순오, 추창오 (2006) 경남 고성군 삼산면 삼산제일광산과 삼봉광산 주변 하천 침전물에 관한 예비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19, 129-138
  23. 추창오, 이진국, 조현구 (2004) 산화환경에서 명반석, 슈베르트마나이트 형성특징과 환경지구화학적 의미: 달성광산. 한국광물학회지, 17, 37-47
  24. 최선규, 박상준, 이평구, 김창성 (2004) 한반도 광상 성인유형에 따른 환경 특성. 자원환경지질, 37, 1-19
  25. 한국자원연구소 (1996) 광산지역 광해조사 및 대책연구. p. 293-295
  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3) 광구등록편람. p. 355
  27. Adriano, D.C. (1986) Trace elements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Springer-Verlag, New York, pp. 533
  28. Choi, S.H., So, C.S., Kweon, S. H. and Choi, K. J. (1994) The geochemistry of copper-bearing hydrothermal vein deposits in Goseong ming district (Samsan area), Gyeongsang Basin, Korea. Econ. Environ. Geol., 27, 147-160
  29. Kloke, A. (1979) Content of arsenic, cadmium, chromium, fluorine, lead, mercury, and nickel in plants grown on contaminated soil. Proceedings of the United Nation-ECE Symposium, 156-162
  30. Li, X., Coles, B.J., Ramsey, M.H. and Thornton, I. (1995) Sequential extraction of soils for multielement analysis by ICP-AES. Chem. Geol., 124, 109-123 https://doi.org/10.1016/0009-2541(95)00029-L
  31. Park, H.I., Choi, S.W., Chang, H.W. and Lee, M.S. (1983) Genesis of the copper deposits in Goseong District, Gyeongnam area. J. Kor. lnst. Mining Geol., 16, 135-147
  32. Tessier, A., Campbell, P.G. C.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r trace elements. Anal. Chem., 51, 844-851 https://doi.org/10.1021/ac50043a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