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ivation and Application of Planning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 Korean Rural Village

농촌마을 노인주거공간 환경계획요소 선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Cho, Soo-Min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NIAST RDA) ;
  • Kim, Hye-Min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NIAST RDA) ;
  • Cho, Soon-Jae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NIAST RDA) ;
  • Cho, Yeon-He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3.25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derivation of planning factors and applicable planning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 Korean rural village in the more detailed level.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 and depth interview with the elderly of case rural villages keeping face with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was carried out for the derivation of planning factors. Study of related legal factors and interviewing with experts for advice was conducted also for the verification and complement of planning factors. The goal of this study was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or existing rural village not the new one and planning factors was intended to include all the considerable elements. Planing factors was classified two groups which were factors of village outdoor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a house. The former was also divided into spacial factors and facilities factors and the latter was divided into inside factors and outside factors. The results may contribute to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for rural elderly with relation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Keywords

References

  1. 김승희, 2004, 일본 노인세대의 주택개보수 사례 연구: 공적개호보험제도를 중심으로, 강원발전연구원
  2. 김혜란, 2001, 노인단독세대를 위한 공동주택 단위 평면의 요소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노인주거연구소, 2004, Barrier Free Design을 위한 고령자주택 설계지침, 노인주거연구소
  4. 대한적십자사, 2005, 가정보건 제 2부: 노인간호, 대한적십자사
  5. 류승욱, 1996, 노인휴양촌의 효율적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외부공간 계획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6. 모규선, 2004, 전통주거특성을 적용한 노인주거공간계획-전통주거의 현대적 해석을 통하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경배, 2001,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한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미숙, 2003, 노인주거공간을 위한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춘식, 2000,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노인주거 유형 연구-3세대 동거 가족을 위한 주거형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10. 송웅, 2002, 치매노인시설의 공간&환경디자인, 도서 출판 시공문화사, 서울
  11. 유경아, 2002, 통합적 연속보호 체계형 노인주거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12. 이관용, 2003, 노인건축, 세진사, 서울
  13. 이동준, 1995, 노인 특성을 고려한 주거계획에 관한 연구-연립주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14. 이정숙, 2000,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 도입에 관한 연구-노인주거시설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15. 이희승, 2004, 농촌지역 노인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자치.복지행정협동과정 복지행정전공 박사학위논문
  16. 임승구, 2000, 농촌지역 노인주거시설의 계획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17. 정석규, 2002, 폐교시설을 이용한 노인주거단지 개발계획에 관한 연구-경기도 '공제초등학교' 사례모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18. 정훤만, 1999,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대책 연구, 원광대학교
  19. 제주발전연구원, 2003, 장수형 노인복지기본계획 수립, 제주발전연구원
  20. 조소영, 이창석, 김경호, 1997, 노인시설관리론, 학문사, 서울
  21. 홍철호, 2002, 노인의 주거 유형 욕구에 대한 연구-서울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Carey, James R., Debra S. Judge, 2000, Mortalityy dynamics of aging, Generations(American Society on Aging), 24 : 19-24
  23. Gordon, Paul A., 1998, Seniors' housing and care facilities, Urban Land Institute
  24. Preiser, Wolfgang F.E., Osroff Elaine, 2001, Universal Design handbook, McGraw-Hill
  25. Robson, David, Anne-Marie Nicholson & Neil Barker, 1997, Homes for the third age: a design guide for extra care sheltered housing, E&FN Spon, London 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