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Systems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through Usability Tests

사용성 평가를 통한 dCollection 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o improve the dCollection system, it is suggested that the usability tests of the dCollection system are needed to find out whether submitters or IR managers are satisfied with the system or not. For the usability evaluations, we used sixty participants, thirty for its management module and thirty for its submit and retrieval modules and for its test constructed the five evaluation indicators including architectural/visual clarity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s, some improvements in terms of supportiveness, usefulness and visual clarity were suggested.

本 연구에서는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의 활성화의 한 방안으로 대표적인 기관 리포지토리로 알려진 dCollection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평가 기준으로는 유용성, 유효성 등의 다섯 가지 기준을 이용하였고, 평가자로는 기관 리포지토리 담당 사서(30명) 및 제출자(30명) 그룹들을 활용하였다. 분석된 평가 결과를 기초로 하여, 대학 환경에서의 기관 리포지토리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개선 방안은 시스템의 관리, 제출 및 검색 모듈의 핵심 화면들을 중심으로 해당 화면에서의 구조적 및 시각적 디자인, 기능, 접근성에서의 문제점들을 예시하고, 그 해결책들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Donald A. Norman,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New York: Basic Books, 1988)
  2. Jakob Nielson, Usability Engineering.(San Francisco, CA: Morgan Kaufmann, 1993)
  3. Debbi Stone et aI, User Interface Design and Evaluation.(San Francisco, CA: Morgan Kaufmann, 2005)
  4. Bing Pan et al, "One Digital Library, Two Undergraduate Classes, and Four Learning Modules: Uses of a Digital Library in Classroom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57, No.10(August 2006), pp.1315-1325 https://doi.org/10.1002/asi.20449
  5. Jonathan Lazar, Web Usability: A User-centered Design.(Boston: Addison Wesley, 2006)
  6. Dania Bilal and Imad Bachir, "Children's Interaction with Cross-cultural and Multilingual Digital Libraries: I. Understanding Interface Design Representation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43, No.1(January 2007), pp.47-64 https://doi.org/10.1016/j.ipm.2006.05.007
  7. 이응봉, 이주현,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제20권, 제3호(2003, 9), pp.129-153
  8. 이지연,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에 의한 정보시각화 시스템 평가 및 문제점 분석,"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2호(2003, 10), pp.67-88
  9. 이지연, 김성언, "웹 디자인의 요소 평가: 이용자 관점과 디자이너 관점의 비교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제20권, 제2호(2003, 6), pp.1-26
  10. 이건표 등, 학술정보서비스 이용 행태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서울: KERIS, 2005). KERIS 연구보고 KR2004-17
  11. 김영기, 이수상. "KOLIS-NET의 시스템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제23권, 제1호(2006, 3), pp.261-278
  12. MIT Libraries, Web Advisory Group. DSpace Web Site Usability Test Results. [cited 2006. 10. 1]
  13. William Nixon, "DAEDALUS: Initial Experiences with Eprints and DSpace at the University of Glasgow," Ariadne, Vol.37. [cited 2006. 10. 20]
  14. Jihyun Kim, "Finding Documents in a Digital Institutional Repository: DSpace and Eprints," Proceedings of the ASIST, Vol.42, No.1(2005), pp.1-19
  15. Lena Veiga e Silva et al. "Evaluating a Digital Library Self-archiving Service: The BDBComp User Case Study,"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online 14(November 2006)
  16. CONTENTdm [cited in 2006. 10. 6]
  17. ISO Standards [cited in 2006.10.11]
  18. 이건표 등, 학술정보서비스 이용 행태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서울: KERIS, 2005). KERIS 연구보고 KR2004-17, pp.51-85
  19. Jakob Nielson, Usability Engineering.(San Francisco, CA: Morgan Kaufmann, 1993), pp.1-55
  20. MIT Usability Guidelines [cited in 2006.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