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iminary Study on the Formation Environment of Serpentinite occurring in Ulsan Area

울산지역 사문암의 형성환경 해석을 위한 예비연구

  • Koh, Sang-Mo (Geology and Geoinformation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Park, Choong-Ku (Bang-O-Jin Middle School) ;
  • Soh, Won-Ju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고상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기반정보연구부) ;
  • 박충구 (방어진 중학교) ;
  • 소원주 (울산광역시 교육청)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Domestic serpentinite is one of the important industrial minerals utilizing in the iron manufacturing company such as POSCO in Korea. Serpentinite is distributed in the Ulsan Fe deposit, Andong, Hongseong-Cheongyang, and Gapyeong areas.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rmation of carbonate rocks, iron mineralization, and serpentinite alteration throughout the study of field occurrence,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s. Serpentine is formed by the break-down of olivine and pyroxene of parent peridotite. The serpentinization is inferred to be formed by the hydrothermal fluid derived from intruded Cretaceous granite and the addition of meteoric water. Variation of major oxides such as $SiO_2,\;Fe_2O_3$, and MgO in serpentinized rocks are controlled by the degree of serpentinization and Fe mineralization. Variation of $Al_2O_3$ and CaO contents of altered rocks is dependent on the amount of the residual minerals such as calcite and homblende, and on the degree of chloritization. The presence of carbonate rocks reported in the sedimentary origin or igneous origin (carbonatite) provided a geological environment to form skarn type Fe deposit regardless of its origin. The geological processes of Ulsan Fe deposits are inferred to be formed as the order of the formation of carbonate rocks ${\to}$ the intrusion of Cretaceous granite ${\to}$ serpentinization ${\to}$ Fe mineralization by the interprelation of field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국내에서 산출하는 사문석은 산업원료자원으로 활용되는 있는 주요한 원료광물 중 하나이다. 국내 사문암은 초염기성암의 열수변질산물로 해석되어 왔으며, 울산 철광상지역, 경북 안동지역, 충남홍성-청양지역 및 경기 가평지역에서 산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울산 철광상 일대에 분포하는 사문암에 대해 주로 야외에서의 산출상태, 광물학적 연구 및 화학성분분석을 통하여 석회암, 철광화작용 및 사문석변질작용의 관련성에 대한 해석이 시도되었다. 울산지역 사문암은 초염기성암인 페리도 타이트를 구성하는 감람석이나 휘석의 수화작용에 의해 사문석을 형성시키고, 이 사문석이 다시 변질되어 활석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변질을 초래시키는 열수유체는 백악기 화강암 관입에 의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천수의 혼화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유체가 공급된 열수순환계에 의해 열수변질작용을 초래 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변질암들의 $SiO_2,\;Fe_2O_3$, MgO 등 일부 주성분원소의 변화는 사문석화작용, 활석화작용 및 철광화작용의 변질세기에 주로 지배되고 있다. 그러나 $Al_2O_3$와 CaO의 함량범위는 변질되지 않고 잔존된 방해석 및 각섬석이나 변질광물인 녹니석 등 광물의 함량비에 더욱 더 지배된다. 탄산염암의 존재는 해성퇴적기원(천해성 석회암)이든 화성기원(카보너타이트)이든 간에 스카른형 철광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지질학적인 환경을 제공 한 것으로 보인다. 지질 및 구성 광물의 공생관계로 보아 탄산염암의 형성${\to}$백악기 화강암 정치${\to}$사문석변질작용 ${\to}$ 철광화작용의 순으로 형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한, 박재경, 양종만, 吉田尙弘 (1990) 울산철광산의 탄산염암과 사문암의 성인. 지질학회지, 26, 407-417
  2. 김규한, 박재경, 양종만, 佐竹 洋 (1993) 울산철광산 지역의 사문암의 사문석화작용에 대한 연구. 광산지질, 26, 267-278
  3. 김영태, 우영균 (2005) 충남지역 사문암내 감람석과 휘 석 의 사문석 화작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6, 297-304
  4. 김옥준 (1985) 울산철산의 성인. 제18차 광산지질학회 학술발표요약문, 190p
  5. 김정진, 최수용, 이효민 (1987) 울산광산에서 산출되는 탄산염암 복합체에 관한 고찰. 제42차 대한지지질학회 학술발표 요약문 13p
  6. 송석환, 최선규, 오창완, 서지은, 최성호 (2004) 충남 홍성 및 광천지역 초염기성암의 암석 및 지구화학.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7, 477-497
  7. 양경희 , 황진연 (1999) 경상분지 남동부 울산 탄산 염암체의 열수유제. 한국지구과학회지, 20, 242-249
  8. 양경희, 황진연, 옥수석 (2001) 올산광산에 분포하는 탄산염암체의 성인에 관한연구: 카보너타이트의 가능성. 한국암석학회지, 10, 1-12
  9. 우영균, 강희주 (1999) 충남 홍성군 윌현사문석광상 사문암의 변질작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0, 189-198
  10. 우영균, 김영태, 박종삼, 박성덕 (2001) 충남 청양군 비봉사문석광상 사문암의 기원암과 사문석화작용. 2001년도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요약집
  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업자원부 (2006) 2005년도 광산물수급현황. p. 334
  12. 황진연, 김정진, 옥수석 (1993) 안동지역 사문석광상 의 구성광한 및 성인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26, 1-10
  13. Choi, S. and Heo C. (2000) Genetic implication of Fe- W mineralization at Ulsan mine, Southeastern Korea. 대한자원공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지구물리학회 2000년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요약집
  14. Choi, S. and Imai, N. (1993) Magnetite and scheelite-bearing skarns in Ulsan mine,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6, 4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