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ammals in Relation to Altitude in Juwangsan National Park

주왕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포유동물의 고도에 따른 분포 특징의 분석

  • 정철운 (국립공원관리공단 주왕산사무소)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mammalia per altitude in Gamebong, the highest trail of Juwangsan National Park and confirmed the inhabitation of 22 different species inhabiting in the park. Starting from 200 m to 800 m above the sea level was segmented into 100 m unit. The result of analysis has shown that the Tamias sibiricus is the dominant specie throughout in all segments. Species confirmed to be inhabiting in all segments of research areas were Mustela sibirica, Caproelus pygargus and squirrel. By analyzing the confirmed Field Sign basing from the observation point, it has shown close relations between types of species and population following the increase in altitude (y=-0.0234 + 25.552, $R^2$=0.9296, $F_{0.05}$(1,4)=7.71, p<0.05). However, the result of analysis targeting nine species inhabiting in at least five out of six 100 m segmented units has shown that only two species, Apodemus sgrarius (y=-0.034X+25.2, $R^2$=0.905, $F_{0.05}$(1, 4)=38.169, p<.0.01) and Sciurus vulgaris (y=-0.0154X+ 12.819, $R^2$=0.781, $F_{0.05}$(1, 4)=14.270, p<0.05) were affected by the altitud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distribution of species does not follow the altitude variation but follows the food conditions and the structure of habitat. The result of analysis of Box and Whisker Diagram had shown lowest quartile deviation($Q_U-Q_L$) in Nature Restoration Area that is located in $200{\sim}300m$ above the sea level, where hikers are prohibited from entering. In $500{\sim}600m$ above the sea level segment that has similar food environment and trail, it has shown the widest distribution.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this segment for the excretion drops of Prionailurus bengalensis, a Grade II class of endangered species, were found on the trails.

주왕산국립공원 탐방로중 가장 높은 가메봉을 대상으로 포유류의 고도별 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22종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해발 200 m에서 800 m 구간을 100 m 단위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다람쥐(Tamias sibiricus)가 가장 많은 구간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지역내 전 구간에서 서식이 확인된 종은 족제비(Mustela sibirica), 노루(Caproelus pygargus), 다람쥐였다. 확인된 Field Sign을 관찰 지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고도의 증가에 따른 종 및 개체수는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y=-0.0234X+25.552, $R^2$=0.9296, $F_{0.05}$(1, 4)=7.71, p<0.05). 그러나 100 m 단위로 세분화한 6구간중 5구간 이상에서 관찰된 9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Apodemus agrarius(y=-0.034X+25.2, $R^2$=0.905, $F_{0.05}$(1, 4)=38.169, p<0.01)와 Sciurus vulgarie (y=-0.0154X+12.819, $R^2$=0.781, $F_{0.05}$(1, 4)=14.270, p<0.05) 2종만 유의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종별 고도에 따른 제한적 분포보다는 주변 식생 현황 및 서식지 구조에 따라 종의 분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Box and Whisker Diagram분석 결과200$\sim$300 m 구간내 탐방객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자연 휴식년제(Nature Restoration Area) 지역에서의 사분위 편차($Q_U-Q_L$)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식생 및 탐방로 형태가 유사한 해발 500$\sim$600 m 구간에서 가장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특히 이 구간내 탐방로 상에서 멸종 위기 야생동물 II인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배설물이 집중적으로 관찰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연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순, 김진영, 박경. 2005. 야생 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 국립공원과 오대산 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50-161
  2. 국립공원관리공단. 1997. 주왕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pp139-145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2. 지리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pp.242-243
  4. 국립공원관리공단. 2003. 속리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pp.272-273
  5.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pp.219-256
  6. 김용근, 최성식. 1995. 주왕산국립공원의 이용자 행태조사. 응용생태연구 8(2): 160-166
  7. 김용식, 강기호, 박달곤. 1995. 주왕산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응용생태연구 8(2) : 81-92
  8. 백경진, 박경, 강혜순. 2005 지리산국립공원내 도로에 의한 삼림조각화.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 63-72
  9. 손성원. 1996. 거제도 동부면 및 남부면 일대의 포유류상. 경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pp.309-316
  10. 이승휘. 1996. 주왕산국립공원 일대의 담수어류상. 한국생태학회지 10(1): 140-150
  11. 이우신, 박찬열, 조기현. 1995. 주왕산국립공원내 야생조류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8(2): 183-192
  12. 이우신, 임신재, 허위행, 최창용. 2004. 비무장지대 인접지역에서 서식지 유형과 야생 조류 및 포유류의 종 구성 비교. 한국임학회지 93(3): 181-187
  13. 임신재, 이우신. 2001. 지리산 지역에서 산림 하층의 접식환경과 소형 설치류와의 관계. 한국임학회지 90(3): 236-241
  14. 원병휘. 1967.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포유류). 문교부, 서울, pp145- 146
  15. 최태영, 박종화. 2005. 설악산 국립공원의 산양 보호구역 설정기법에 관한 연구-서식지 적합성 모형, 서식지 수용능력, 최소 존속 개체군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조경학회지 32(6): 23-35
  16. Nowell K, Jackson P. 1996. The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nternational Union for Nature Conservation/Cat Specialist Group, Gland, Switzerland
  17. Rabinowitz AR. 1990. Notes on the behavior and movements of leopard cats, Felis bengalensis, in a dry tropical forest mosaic in Thailand. Biotropica 22: 397-403 https://doi.org/10.2307/2388557
  18. Rabinowitz AR, Walker SR. 1991. The carnivore community in a dry tropical forest mosaic in Huai Kha Khaeng Wildlife Sanctuary, Thailand. J Tropical Ecol 7: 37-47 https://doi.org/10.1017/S0266467400005034

Cited by

  1.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Specific Plants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vol.22, pp.7, 2013, https://doi.org/10.5322/JESI.2013.22.7.873
  2. Monitoring Efficiency Evaluation of Camera Trapping in Terrestrial Mammals vol.17, pp.3, 2014, https://doi.org/10.13087/kosert.2014.17.3.65
  3. Home Range Analysis of Three Midium-Sized Mammals in Sobaeksan National Park vol.17, pp.6, 2014, https://doi.org/10.13087/kosert.2014.17.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