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Distribution of the Dimension Stone Quarries in Korea

국내 석재산지의 지역별 분포유형과 특성

  • Lee, Choon-Oh (Landslides Hazards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
  • Hong, Sei-Su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
  • Lee, Byeong-Tae (Geothermal Resources Group,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
  • Kim, Gyeong-Soo (Landslides Hazards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
  • Yun, Hyun-Soo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 이춘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사태재해연구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이병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열자원연구실) ;
  • 김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사태재해연구팀) ;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ough there are more than 600 active and non-active dimension stone quarries in Korea, most quarries are small-scaled and non-active. Main dimension stone belt in Korea is distributed in the Wonju-jecheon-Mungyeong-Geochang-Jinan-Nanwon-Geogumdo area with NNE direction, which occupies about 50% of domestic dimension stone quarries. The other dimension stone belts occur in the Gangyeong-Iksan-Gimje area, the Pocheon-Ujeongbu area and the Boryeong area. The dimension stones in Korea have been produced from at least fifteen rock types: granite, diorite, syenite, gabbro, homblendite, basalt andesite, rhyolite, tuff felsite, sandstone, marble, gneiss, schist and slate. However, seven or eight rock types such as granite, diorite and marble are currently produced. The dimension stones are quarried out 87% from plutonic rocks (mainly granite and diorite), 6% from sedimentary rocks (mainly sandstone), and 3% from metamorphic rocks (mainly marble). Main rock types of the dimension stones are variable with respect to their production locality. In the Jeollanam-do area, most dimension stones are produced from diorite. Marble is mainly produced from the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areas. Black sandstone is exclusively quarried out from the Chungcheongnam-do area. Granite is most abundant dimension stone in Korea. Above 50% of the domestic dimension stones are medium-grained to coarse-grained granitic rocks, but fine-grained granite dimension stones have 10% of distribution. The color of the dimension stone varies with rock types. Most granite dimension stones have dominant colors of whitish gray and gray, which are produced from the Wonju, Gapyeong, Iksan, Namwon and Geochang areas. Pink-colored granites are rarely produced from the Mungyeong area.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행되고 있거나 종료된 것으로 파악된 약 600여개소의 석재석산을 대상으로 지리적인 분포 유형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의 석재석산은 전국적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분포 유형의 구분은 가능하다. 석재석산이 가장 집중되어 분포하는 지역은 원주-제천-문경-거창-진안-남원-거금도로 이어지는 북북동 방향의 지역으로 국내 석재석산의 약 50%의 점유율을 보이며, 우리나라의 주요 석재벨트를 이루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강경-익산-김제 벨트, 경기도의 포천-의정부 일대, 충청남도의 보령일대가 주 석재채석산지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채석되었던 석재의 암종은 사암, 대리암, 슬레이트, 편암, 편마암, 응회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규장암, 각섬암, 반려암. 섬록암, 섬장암, 화강암의 15개 암종에 국한된다. 그러나 이들 중 현재는 화강암, 섬록암, 대리암 등의 $7{\sim}8$개 암종의 석재만이 생산되고 있으며 나머지 암종의 생산실적은 거의 없는 편이다. 국내에서 채석되었던 석재석산을 대표암종별로 분류하여 보면 심성암류가 87%, 퇴적암류 6%, 변성암류 4%, 화산암류 3%이며 심성암류에서는 화강암과 섬록암, 퇴적암류에서는 사암, 변성암류에서는 대리암이 주요 채석대상 암종이다. 도별 점유율을 보더라도 모든 도에 분포하는 석재자원의 $80{\sim}90%$는 심성암류이며, 예외적으로 지질학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제주도는 화산암인 현무암 석재만이 개발되었다. 석재 암종별 분포를 보면 화강암 석재가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나 전남지역은 타도와는 달리 섬륵암 석재 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강원도와 충청북도는 대리석 석재자원이 타도에 비해 비교적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충청남도는 사암(오석) 석재자원이 생산되는 유일한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도마다의 석재의 품종이 다른 것은 그 지역의 지질학적 암층발달의 특성에 따른다. 국내 석재의 입도 분포를 보면 600여개의 석산 중 중립질 내지 조립질의 입도를 보이는 석산이 50%이상을 점하고 있으며, 거의 모두 화강암 석재이다. 그 다음으로는 세립질 화강암 석재로 약 10% 내외의 점유율을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억, 이병태, 1993, 충남 해미지역 세립질 흑운모 화강암체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3-1D-1, 한국자원연구소. 199-243
  2. 김선억, 이병태, 1994, 충남 천안지역 중립질 화강섬록암체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4(C)1-8. 한국자원연구소. 187-212
  3. 김선억, 이병태, 1995, 장수지역 섬록암질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5(C)-12. 한국자원연구소. 233-272
  4. 김선억, 박덕원, 김철주, 1986, 대리석류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86-2-16. 한국동력지원연구소. 231-341
  5. 김선억, 박덕원, 김철주, 1987, 흑색사암류(오석) 석재자원 조사연구. KR-87-23.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09p
  6. 김선억, 이병태, 이춘오, 1996, 전남 고흥지역 섬록암질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6(C)-12. 한국 자원연구소. 193-225
  7. 김선억, 윤현수, 박용순, 김영범, 이춘오, 이병대, 이병태, 김경수, 1987, 화강석류 석재자원 조사연구. KR-87-22.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57p
  8. 김선억, 윤현수, 김유동, 박용순, 이춘오, 이병대, 김영범, 이병태, 김경수, 1986, 화강석류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 자원조사연구. KR-86-2-16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230
  9. 김선억, 윤현수, 김윤규, 박용순, 박덕원, 김영범, 이춘오, 이병대, 이병태, 김경수, 김철주, 1988, 석재자원 조사연구 (3). KR-88-2C. 한국동력자원연구소. 355p
  10. 김선억, 윤현수,김윤규, 장세원, 박덕원, 박용순, 이춘오, 이병대, 이병태. 김경수, 1990, 화강암류 석재자원조사연구(5). KR-90-2C-1.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35p
  11. 김선억, 윤현수, 김윤규, 장세원, 박덕원, 박용순, 이춘오, 이병대, 이병태, 현전기, 김철주, 1989, 석재자원 조사연구 (4). KR-89-2C.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31p
  12. 박덕원, 김경수, 1994, 익산지역 화강암체에 대한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지원조사연구. KR-94(C)1-8. 한국자원연구소.139-186
  13. 박덕원, 김경수, 조한익, 1993, 영주 및 왜관지역 화강암체에 대한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지원조사연구. KR-931D-1. 한국자원연구소. 135-197
  14. 박덕원, 홍세선, 김철주, 이춘오, 이병태, 윤현수, 2004, 흑색사암(오석)과 흑색셰일(청석) 석재자원의 지질과 산출 유형. 자원환경지질 37, 585-601
  15. 박석환, 박용순, 김선억, 2000, 남원지역 석재자원조사연구 석재.골재자원 부존조사 및 품질관리기술. 1999R-TI02-P-06. 한국자원연구소. 115-201
  16. 윤현수, 1995, 김천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석재자원 조사연구. KR-95(C)-12. 석재지원조사연구. 한국자원연구소. 1-48
  17. 윤현수, 이춘오, 조한익, 1993, 포천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 및 변성암류의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3-ID-1 한국자원연구소. 3-49
  18. 윤현수, 이춘오, 조한익, 1994, 남원일대에 분포하는 화강 암류의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4(C)1-8. 한국자원연구소. 3-47
  19. 윤현수, 홍세선, 박석환, 이병태, 1998, 기산리 일대의 석재 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 및 산업화연구. KR-98(C)17. 한국자원연구소. 3-81
  20. 윤현수, 홍세선, 이한영, 이병태, 2000, 지포리지역 석재자원조사연구. 석재.골재자원 부존조사 및 품질관리기술. 1999R- TI02-P-06. 한국자원연구소 25-113
  21. 윤현수, 박덕원, 이병대, 홍세선, 2003, 국내 대리석류의 지질시대별 산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 지질공학. 13, 429-444
  22. 윤현수, 김윤규, 장세원, 박덕원, 이춘오, 이병태, 김경수, 조한익, 1991, 화강암류 및 섬록암류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6). KR-91-2C-1. 한국자원연구소. 3190
  23. 윤현수, 박석환, 홍세선, 박용순, 이병태, 김정호, 정송환, 송윤호,이명종, 조성준, 신인철, 김중렬, 김유성, 현혜자, 이성곤, 설순지, 2001, 석재자원부존조사. 석재.골재자원 부존조사 및 품질관리기술. 1999R- TI02-P-06. 한국지질지원연구원. 525p
  24. 윤현수, 홍세선, 김대업, 이한영, 송교영, 이병태, 박석환, 이경미, 김정호, 송윤호, 이명종, 조성준, 김중렬, 김유성, 현혜자, 이성곤, 2002. 석재. 골재자원 부존조사 및 품질관리기술 연구(석재편). KR-02(C)-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20p
  25. 윤현수, 홍세선, 박석환, 김대업, 이한영, 송교영, 이병태, 김정호, 정승환, 송윤호, 이명종, 조성준, 신인철, 김중렬, 김유성, 현혜자, 이성곤, 2001, 석재지원부존조사. 석재.골재자원 부존조사 및 품질관리기술. 1999R-TI02-P-06. 한국지질지원연구원. 267p
  26. 이병대, 조한익, 1995, 제천-목계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에 대한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5(C)-12. 한국자원연구소. 49-189
  27. 이병대, 현전기, 김경수, 1994, 단양-문경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체에 대한 석재자원 조사 및 시추탐사. 석재자원 조사연구. KR-94(C)1-8. 한국자원연구소. 49-138
  28. 이춘오, 1995, 장계지역 화강암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 원조사연구. KR-95(C)-12. 한국자원연구소. 191-231
  29. 이춘오, 김선억, 윤현수, 이병태, 1996, 함양지역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6(C)-12. 한국자원연구소. 231-288
  30. 이춘오, 박용순, 이병태, 조한익, 1998. 거창지역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지원조사 및 산업화연구. KR-98(C)-17. 한국자원연구소. 83-132
  31. 조한익, 박용순, 이병태, 1997. 김제-영광(호남)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7(C)-9. 한국자원연구소. 157-225
  32. 조한익, 박용순, 이병태, 박석환, 1996, 김제-정읍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에 대한 석재자원 연구조사. 석재자원조사연구 KR-96(C)-12. 한국자원연구소. 143-189
  33. 조한익, 김선억, 윤현수, 박덕원, 이춘오, 이병태, 김경수, 1992, 화강암류 석재지원조사. 석재자원조사연구(7). KR92-ID-1. 한국자원연구소. 3-143
  34. 현전기, 김철주, 1990,대리석류 석재지원 조사연구(5). KR90-2C-3. 한국동력자원연구소. 57p
  35. 현전기, 이병대, 김경수, 1991, 대래석류 석재자원 조사연구. 석재자원조사연구(6). KR-91-2C-1. 한국자원연구소 191-293
  36. 현전기, 이병대, 김경수, 1992,대리석류 석재자원조사. 석재자원조사연구(7). KR-92-1D-l. 한국자원연구소 145-208
  37. 현전기, 이병대, 김경수, 1993, 문경-상주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체에 대한 석재자원조사 및 시추탐사. 석재자원조사연구.KR-93-1D-1. 한국자원연구소. 5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