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the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Hanwoo

한우 번식우 사육 농가의 번식 장애 실태 조사

  • Choe, C.Y.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Son, D.S.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Choi, G.C.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ong, S.H.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e, C.Y. (Woori Hanwoo Farm) ;
  • Choi, S.H.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Kim, H.J.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Cho, S.R.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Hur, C.G.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Medicine and Institute of Health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D.W.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Medicine and Institute of Health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창용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 손동수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 최규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송상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최창열 (우리목장) ;
  • 최선호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 김현종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 조상래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 허창기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강다원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The general management status such as barn type, feed intake, parity and type of reproductive disorders were examined in the Hanwoo farms. In this survey, the total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that was assessed from 54 Hanwoo farms was 11.6% (73/ 631). We first examined the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following herd size per farm. The rates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under 10 heads, 10 to 20 heads and over 20 heads were 25.2%, 9.4% and 8.3%, respectively (P<0.05). The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tie stall bar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free stall barn (14.9% vs. 8.1%). The major types of reproductive disorders were follicular cysts (21.8%), fat necrosis (21.8%), and repeat breeding (17.8%). The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assessed by the parity tended to decrease as the parity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was investigated in 203 Hanwoo. The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 was 80.0%, 8.8%, 9.4%, 10.0%, 33.3% and 57.1% at 1.5, 2.0, 2.5, 3.0, 3.5 and 4.0 of BCS, respectively. These data show that the increase of herd size, barn type and BCS affect the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such as follicular cysts, fat necrosis and repeat breeding in Hanwoo.

이 연구는 한우의 사육이 집단화, 대형화 되어가고 사육 규모 및 형태가 달라지고 있는 환경에서 번식우 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사육 규모와 사육 형태별, 산차별 번식 장애우의 발생 양상을 알아보고, 번식 장애의 발생 유형 및 그 비율을 확인하며, 한우 사육 농가에서 번식우의 영양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신체충실지수에 따른 번식 장애우의 발생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이후 한우 번식우 사육을 위한 적정 사육 환경을 규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1. 한우 번식우의 사육 규모별 번식 장애질환의 발생율은 10두 미만 25.2%, 10$\sim$20두 9.4%, 20두 초과 8.3%를 나타내어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번식 장애의 발생율이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2. 축사의 형태별 번식 장애 발생율이 개방형 축사에서 8.1%인 반면, 계류형 축사는 14.9%를 나타내어 보행이 원활한 개방형 축사에서의 사육이 한우의 번식 장애 발생율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P<0.05). 3. 한우 번식우 조사두수 843두 중 101두인 12.0%에서 번식 장애 질환이 발생하였는데, 이들 번식 장애 질환의 발생 유형은 난포 낭종과 지방 괴사가 각각 21.8%로 가장 높았고, 저수태 17.8%, 황체 낭종 9.9%, 미약 발정 7.9 %, 질탈 5.0%, 자궁 경관 협착 4.0%, 무발정 4.0%, 난소 위축 3.0%, 난소 기능 휴지 3.0%, 자궁 내막염 1.0%, 자궁 축농증 1.0%의 순으로 분포되었다. 4. 산차별 번식 장애 발생 비율은 2산차의 한우에서 2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반면, 미경산우가 2.7%의 낮은 번식 장애율을 보였으며, 3산 12.3%, 4산 8.2%로 2산 이후 그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기타 6산 이상(6산$\sim$12산)에서 37.0%의 비율로 분포하였다. 5. 신체 충실 지수에 따른 번식 장애우의 발생 비율은 1.5에서 80.0%, 2.0에서 8.8%, 2.5에서 9.4%, 3.0에서 10.0%, 3.5에서 33.3%, 4.0에서 57.1%를 나타내어 허약한 1.5 및 비만한 4.0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적정 수준인 2.5 및 3.0에서는 아주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Dunn TG and Moss GE. 1992. Effects of nutrient deficiencies and excesses on reproductive efficiency of livestock. J. Anim. Sci., 70:1580-1593 https://doi.org/10.2527/1992.7051580x
  2. Etherington WG, Christie KA, Walton JS, Leslie KE, Wickstrom S and Johson WH. 1991. Progesterone profiles in postpartum Holstein dairy cows as an aid in the study of retained membranes, pyometra and anestrus. Theriogenology, 35:731-746 https://doi.org/10.1016/0093-691X(91)90414-9
  3. Ferrell CL. 1982. Effects of postweaning rate of gain on onset of puberty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eifers of different breeds. J. Anim. Sci., 55: 1272-1283 https://doi.org/10.2527/jas1982.5561272x
  4. Houghton PL, Lemenager RP, Hendrix KS, Moss GE and Stewart TS. 1990. Effects of body composition, pre- and postpartum energy intake and stage of production on energy utilization by beef cows. J. Anim. Sci., 68:1447-1456 https://doi.org/10.2527/1990.6851447x
  5. Johnson MS, Wegner TN and Ray DE. 1987. Effect elevating serum lipids on luteinizing hormone response gonadotrophin releasing hormone challenge in energy deficient anestrous heifers. Theriogenology, 27:421-429 https://doi.org/10.1016/0093-691X(87)90230-5
  6. Kunkle WE, Robert SS and Owen Rae D. 1993. Effect of body condition on preductivity in beef cattle. Florid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Bulletin B-13n
  7. 강수원. 2005. 한우(한우 변식우 사양 관리). 전국 한우연구회, pp. 223
  8. 김선환, 최경문, 박희규. 1973. 유우의 번식장해. I. 유우의 번식장해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축산학회지, 15:219-223
  9. 김소섭, 박용수, 박민철, 박흠대, 김일화, 최석화. 2005. 한우 체외수정란이 이식된 수란우의 임신과 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수란우 측 요인들.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0: 17-24
  10. 김종복, Graser HU. 1997. 한우 종빈우의 번식 능력에 대한 유전력 및 반복력 추정.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지, 1:59-71
  11. 김중계, 양기천, 강민수, 김철균, 장덕지, 백윤기. 1986. 제주도입 유우의 번식 장애 원인에 관한 연구. II. 제주도입 유의의 번식 장애 조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10:66-70
  12. 김학영, 송상현, 조헌조. 2002. 한우 번식우 농가의 번식실태 및 번식 장애 치료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6:291-298
  13. 김희석, 신원집, 서국성, 김중계, 백순용, 이근상. 1981. 한우의 번식 장애 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축산시험연구보고서, pp. 72
  14.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류일선, 정진관, 나승환. 1998a. 산차가 한우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2:359-366
  15.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최순호, 김영근. 1998b.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실태 소자.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2:367-373
  16. 백광수, 성환후, 고응규, 이명식, 류일선, 강희설, 조원모, 신기준. 1997. 한우 암소의 번식 장애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1:411-421
  17. 변명대, 조헌조. 1973. 한우 번식 장애의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축산학회지, 15:114-118
  18. 이용빈, 임경순, 1982. 도살빈우의 번식 장애사례 조사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6: 19-30
  19. 이진희. 1969. 유우 번식장해의 발생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축산학회지, 11 :323-331
  20. 장구, 손창호, 이은송, 류일선, 이강남, 이동원, 오명환, 오성종, 정근기, 최상용, 노규진, 김상철, 이병천, 황우석. 2001.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II. 조기 임신 진단법 및 번식 장애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6:7-14
  21. 정영훈, 이명식, 전기준, 장선식, 서국현, 박정준, 이창우, 나기준, 노규진, 최상용. 2004. 한우 번식효율에 대한 blood urea nitrogen과 body condition score의 영향.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9: 53-59
  22. 정운익, 이광원, 권영방, 정창국, 오수. 1966. 번식 장해우에 관한 조사연구. I. 유우의 번식장해우의 기초조사. 농시연보, 9:117
  23. 조성우, 김용준, 이해이, 김용수. 2001. 젖소 번식 장애 주요 유형별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5:207-217
  24. 최성복, 최연호, 이지웅, 백광수, 김영근, 손삼규, 김내수. 2004. 한우 빈우의 body condition score가 번식형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6:31-38
  25. 上田孝道. 1983. 畜産全書 : 肉牛. 農山漁村文化協會. pp. 423
  26. 佐藤衆介. 1992. 家畜福祉と家畜生産 : 家畜福祉視點からの評價. 畜産と硏究, 46: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