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Autumn Sown Forage Crops in Daejeon Area

대전지역 추파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suggest the optimum autumn sown small forage crops as next forage crops harvested maize in Daejeon area. The field trials was conducted from 2002 to 2004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evaluate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ies of the autumn sown small forage crops.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split plots (main plot : forage crops as rye, barley and wheat, and sub plot 4 harvest stages as boot, heading, milk and dough)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average DM yield for 2 years of rye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forage crops (p<0.01). As stages proceed, the DM yield tended to increase in all forage crops (p<0.01). In chemical composition, they had a difference on forage crops and stages. The crude protein (CP) was higher in barley (p<0.01), but fibrous contents such as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were lower in wheat than in the other forage crops (p<0.01). In Daejeon area, although barley and wheat at milk and dough stages were observed with maximum yield and high quality as autumn sown forage crops, due to late harvesting periods,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m as previous forage crops seeded in maize. Based on the result mentioned above, it is concluded that rye harvested at boot to heading stages is the most suitable fur autumn sown small forage crops in Daejeon area. Meanwhile, in order to have the option of nutritional value in wheat and barley, they need to be supplied early maturing and high-yield variety of wheat and barley.

본 시험은 2002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옥수수 후작물로 적합한 추파용 사료작물의 재배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시험하였다. 공시초종으로 청예용 호밀(Koolgrazer), 보리(Daeyeon Bori) 및 밀(Geumgang Mill)을 주구로 배치하였으며, 수잉기,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세구로 하여 분할구배치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2년 평균 ha당 건물수량은 호밀이 11,283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밀(10,759kg)과 보리(10,494kg) 순으로 나타났다(p<0.01). 건물수량은 모든 초종에서 수확시기가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양상이 뚜렷하였다.(p<0.01). CP 함량은 초종간에 차이를 보여 청예용 밀이 13.9%으로 보리(13.7%)나 호밀(12.2%)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1). NDF, cellulose 및 lignin과 같은 섬유소 물질의 함량은 호밀이 높은 반면에 보리가 가장 낮았으며, 밀은 중간으로 나타내었다(p<0.01). CPDM수량은 밀이 호밀이나 보리보다 높았다(p<0.01). 건물소화율(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은 보리가 77.0%으로 밀(76.1%)이나 호밀(70.2%)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p<0.01), DDM수량은 밀이 호밀이나 보리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1). 그러나, 대전지역에서 추파용 보리나 밀은 유숙기나 황숙기 때의 건물수량과 품질은 높은 편이었지만 수확시기가 상당히 늦어 옥수수의 후작물로 재배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대전지역 적합한 추파용 사료작물은 지금과 같이 청예용 호밀을 수잉기-출수기에 수확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전지역에서 추파용 보리나 밀의 이용은 조숙 다수확품종의 보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두, 문영식, 곽종형. 1986. 호맥의 생육단계별 수량과 whole crop silage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6(1):19-23
  2. 김내수, 김정우, 박홍양, 상병찬, 여정수, 전광주, 최광수, 홍기창. 1995. 응용통계학. 유한문화사. 서울
  3. 김동암, 권찬호, 한건준.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2(3):173-177
  4. 김정갑, 양종성, 함민수, 이상범. 1988. 대맥 및 호맥의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화학성분, 소화율 및 에너지 함량변화. 한축지. 30(3):193-198
  5. 농촌진흥청. 2006. 2006년도 동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사업 결과평가 및 설계심의자료. 농진청. 수원 p 125-131
  6. 박형수, 김동암, 김종덕. 1999. 호밀의 사초특성,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파종량 및 파종시기의 영향. 한초지. 19(2):105-114
  7. 성병렬, 임용우, 김맹중, 김기용, 최기준, 임영철, 임근발, 박근제. 2004. 사료용 호밀 보급품종의 주요 생육특성과 수량성. 한초지. 24(4):301-308
  8. 송진달, 양종성, 김강식. 1982. 청예맥류의 생육단계별 silage 제조 및 소화시험. 축시연보. p 848-852
  9. 양종성, 김정갑, 송영섭, 박창선. 1985. 답리작 청예맥류 수확시기가 수량 및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축시연보. p 895-898
  10. 서 성, 김원호. 2006. 사료용 맥류의 사료적 가치와 급여 효과. 총체보리의 한우 급여효과 연찬회 및 개발 보급 확대를 위한 심포지움.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선진출판기획. 익산. p 53-83
  11. 허정민, 이수기, 이인덕, 이봉덕, 배형철. 2005. 맥류의 수확시기가 사일리지의 재료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7(5):877-890 https://doi.org/10.5187/JAST.2005.47.5.877
  1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3. Crampton, F.W. and L.A. Maynard. 1938. The relation of cellulose and lignin content to the nutritive value of animal feeds. J. Nut. 15:383-395 https://doi.org/10.1093/jn/15.4.383
  14. Go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15. Tilley, J.A.M. and R.A. Terry. 1963. A two 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J. Brit. Grassl. Sci. 18:104-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5.x

Cited by

  1. Effect of Protein Fractionation and Buffer Solubility of Forage Source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egradability and Gas Production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59
  2. Studies on the Production and Optimal Drying Condition of Curcuma longa L. vol.26, pp.4, 2013, https://doi.org/10.7732/kjpr.2013.26.4.450
  3. Effects of Mixed Sowing with Legumes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Wheat in Gyeongbuk Regions vol.34, pp.1, 2014, https://doi.org/10.5333/KGFS.2014.34.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