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physical Investigations for the Acid Mine Drainage Problem in Abandoned Mine Area: Imgi Mine, Busan, Korea

폐광산 지역 산성광산배수 유출탐지를 위한 지구물리탐사: 부산 임기광산

Park, Gwon-Gyu;Hwang, Se-Ho;Park, In-Hwa;Park, Yun-Seong
박권규;황세호;박인화;박윤성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We applied geophysical methods, including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seismic refraction survey,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 method, and SP monitoring, to evaluate the thickness of waste disposal and delineate the flow path of acid mine drainage for Imgi abandoned mine in Busan, Korea.As a result of integrated interpretation of geophysical surveys, we have assessed the thickness of waste disposal in Imgi abandoned mine. The thickness of mine disposal has been estimated to be about 5 - 10 m along the slope of mine waste dump and 4 - 7 m at base line area, the bottom of the slope of the dump, from resistivity and seismic survey results. We have also identified three main paths of acid mine drainage and interpreted internal flow mechanism of acid mine drainage within the waste disposal based on SP monitoring and resisitvity survey result as well as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We interpreted that most of waste dump are unsaturated except fine grain layer and most of AMD are saturated and captured in porous zone waste dump near the interface between basement where groudwater level is formed. We also interpreted that AMD seepage take places through the porous zone of the interface between waste dump and basement. We also identified that three main seepage paths we interpreted do match with the location where we observed the seepages in field.

본 논문에서는 부산의 주요 식수원 중의 하나인 수영강 수계의 회동저수지 주변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원인으로 판단되어 온 임기 폐광산에 대해 지구물리탐사를 복합 적용하고 이로부터 폐석적치장의 두께와 산성광산배수의 분포 양상 및 침출수의 유동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적용된 물리탐사법은 전기비저항탐사, 자연전위탐사, 탄성파 굴절법탐사 및 다중채널 표면파탐사이다.탐사 결과를 종합할 때 적치된 폐석층은 조립층과 세립층이 교대하는 다층구조 양상을 보이며 그 두께는 적치장 경사면의 경우 5 - 10 m, 하단 도로로 이용되는 부분의 경우 4 - 8 m로 분석되었다. 자연수위는 폐석층과 원지반 경계의 직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폐석층은 전반적으로 불포화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성광산배수는 일부는 세립 폐석층에 포화되고, 일부는 깊은 심도까지 침투하여 지하수면부 근처에 농집되어 있는 형태로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산성광산배수는 주로 폐석층과 원지반부의 경계나, 일부 수리전도도가 좋은 구간을 따라 인접 소하천으로 흘러드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이러한 해석 결과는 실제 유출이 확인되는 지점들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호, 이명종, 정승환, 1999,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위한 전극배열법의 비교', 1999년도 추계총회 및 제73 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자원공학회, pp. 134- 138
  2. 김지수, 한수형, 최상후, 이경주, 이인경, 이평구, 2002, '장풍 폐광산의 산성광산폐수에 의한 침출수 유동에 대한 지구물리 및 지화학탐사자료의 상관해석', 지구물리, 5,19- 27
  3. 대한광업진흥공사, 1988, 한국의 광상, 제11호
  4.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0, '토목 환경 분야 적용을 위한 물리탐사 실무 지침',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5. 손치무, 이상만, 김영기, 김상우, 김형석,1978, 한국지질도: 동래- 월래 도폭 1:50,000 및 설명서, 자원개발연구소
  6. 이민성, 강필종, 1964, 한국지질도: 양산도폭 (1:50,000) 및 설명서,국립지질조사소
  7. 정영욱, 임길재, 지상우, 2004, '임기광산 폐석 및 퇴적물의 산성광산배수 발생능력 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포스터
  8. 황세호, 박권규, 신제현, 2005, '국내 폐광산의 광산재해에 대한 물리탐사 적용사례 분석',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제42권1호, pp. 61-67
  9. Lankston, R., 1990, 'High Resolution Refraction Seismic Data Aquisition and Interpretation', in Geotechnical and Envonmental Geophysics v1: Revivews and Turotials, ed Ward, H.,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