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Long-term Dry-seeded Rice on Growth, Rice Yield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장기간 보리후작 벼 건답직파재배시 벼 생육,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Kim, Sang-Yeol;Sin, Sang-Uk;Gu, Yeon-Chung;Park, Seong-Tae
김상열;신상욱;구연충;박성태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Effect of long-term barley straw incorporation into soil on growth and yield of rice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the dry-seeded rice under barley-rice double cropping system was investigated for 16 years from 1990 to 2005. Three treatments such as barley straw addition, barley straw removal and rice single cropping were maintained.Generally, seedling stand per ㎡ was higher by 5 to 7 plants in the rice-barley cropping system regardless of barley straw addition or removal than in the rice single cultivation. Barley straw improv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e to increase in organic content and porosity of soil. This led to high panicle number per ㎡ in the barley straw addition treatment. The spikelet number per panicle was also greater in the barley straw addition than that in the rice single crop treatment. However, the ripened grain ratio was low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 in contrast to that in the rice single cultivation, probably due to the high soil organic content in the rice-barley cropping system.Rice yield in rice-barley double cropping cultivation was increased starting from the second year due to barley straw application, but the stable yield increase was obtained from the 4th year. The increase of rice yield in the barley straw addition treatment for 16 years ranged from 2 to 19% due to higher panicle number (average of 9% for 16 years).

벼 단작 만기 및 보리후작 건답직파의 수량성과 토양물리화학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농업연구소 시험포장에서 1990년부터 2005년까지 16년간 시험수행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보리후작 건답직파는 9일로 벼단작 직파 9일과 비슷하였고 ㎡당 적정 입모수 확보는 문제가 없었으나, 벼 단작 직파보다 입모수가 5-7개가 많았고 파종후 20-35일 초기생육에 있어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초장은 3.6-10.5% 억제되었다. 2. 출수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초기 생육은 보리후작에서 약간 떨어졌으나 점차 회복되어 간장이 길고 ㎡당 수수 및 수당입수는 많았으나 등숙비율은 낮았고 천립중은 비슷하였다. 3. 16년간 평균 쌀 수량은 보릿짚 시용구는 465kg/10a으로 벼 단작 직파보다 9%증수되었고 년차간 수량변이가 적었다. 4. 보리후작시 현미완전미 비율이 낮고 청미비율이 높아 품위가 떨어졌고 벼 단작과 비교시 이밀로즈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단백질함량은 높았다..\ 5. 보릿짚시용시는 고상율이 낮아 토양공극율이 높고 유기물이 증가 되었는데 토양공극율은 시용후 13년까지, 토양유기물은 10년까지 증가되다가 그 후부터는 감소하였는데 16년간 시용 후 토양공극율은 벼 단작대비 1.3%, 토양유기물함량은 36% 증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상수, 김길웅. 1984. 보리잔유물속에서 함유된 주요 Phenolic acids가 논 잡초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잡초지,4(1): 39-51
  2. 권순태,김길웅. 1985. 맥류작물(밀,호밀)의 잔유물로부터 동정 Phenolic compounds가 잡초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한 잡초지,5(2) : 121-130
  3. 김용응,김광석. 1984. 볏짚시용이 논토양의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한토비지,17(2) : 82-89
  4. 농림부. 2003. 농림통계연보
  5.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 pp. 30-93,117
  6.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603p
  7. 박성태 외 18인 2000. 실용 벼 직파재배기술. 영남농업시험장: 104-114
  8. 박성태,김순철,이수관,정근식. 1989. 남부지역에서 직파양식 따른 생육 및 수량. 농시논문집(수도편), 31(4) : 36-42
  9. 박성태,황동용,문병철,김순철,오윤진. 1995. 보리후작 벼 다건답직파시 수량 및 토양 화학성 변화 한작지,40(5) : 562-5
  10. 신상욱,박성태,황정동,황동용,김상열,문헌팔. 2001. 건답직파 -보리 장기간 이모작 재배시 벼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작지,46(6) : 459-463
  11. 영남농업연구소. 2005. 시험연구설계서 pp. 13-20
  12. 유철현,김종구,박건호,김성조. 1988. 논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미치는 유기물의 연용효과. 한토비지,21(4): 373-379
  13. 정지호,김광식. 1989. 보릿짚시용이 논토양의 생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토비, 22(2): 93-99
  14. 최민규. 1999. 보리수확동시 무경운직파 벼의 생육특성,전북대학 박사학위논문
  15. Juliano, B. O. 1985. Criteria and tests for rice grain qualities. R chemistry and technology, AACC : pp. 443-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