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rding, Editing, and Distributing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해부학 강의 동영상을 녹화하고 편집하고 퍼뜨리기

Park, Jin-Seo;Jeong, Min-Seok
박진서;정민석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In order to review anatomy lectures, medical students use the lecture materials, lecture notebooks, or recorded voices of lectures. These learning materials are not so effective as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medical students review anatomy lectures by giving them the chance to replay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conveniently on the computer. For the purpose, an anatomy professor presented board lectures (about 14 hours) according to the anatomy units (introduction, back, upper limb, neck, head, thorax, abdomen, pelvis, perineum, and lower limb), which were recorded by camcorders to make movies. The movies were transferred to the computer; subsequently, edited suitably on the Adobe Premiere. The movies were compressed to make MPEG files (size 28.0 GBytes) and WMV files (size 1.4 GBytes). In case of the slide lecture, we made a program, on which lecture movies and slides could be watched concomitantly and conveniently. The movies of anatomy lectures were distributed off-line or on-line to help medical students review the anatomy lectures. This report about techniques of making movies will promote other anatomy professors to make movies of their own anatomy lectures.

의과대학 학생은 해부학 강의를 복습하기 위해서 강의 자료를 보거나, 필기한 공책을 보거나, 강의를 녹음해서 듣는다. 그런데 이런 방법보다는 해부학 강의를 녹화해서 보는 것이 낫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학생한테 해부학 강의 동영상을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컴퓨터에서 편하게 되풀이해서 보게 해서 해부학 강의를 복습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해부학 교수가 해부학 단원 차례(소개, 등, 팔, 목, 머리, 가슴, 배, 골반, 샅, 다리)대로 칠판 강의하는 것(14시간쯤)을 녹화해서 동영상을 만들었다. 동영상을 컴퓨터로 옮긴 다음에 Adobe Premiere에서 알맞게 편집하였다. 동영상 파일을 압축해서 MPEG 파일(크기 28.0 GBytes)과 WMV파일(크기 1.4 GBytes)로 만들었다. 슬라이드 강의(1시간)인 경우에는 동영상과 슬라이드를 함께 편하게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동영상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퍼뜨렸으며, 학생은 동영상을 보면서 해부학 강의를 복습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을 쓰면 다른 해부학 교수도 자기 강의의 동영상을 쉽게 만들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승무: 인터넷을 이용한 대학원 강의. 한국의학교육 12: 35-43, 2000
  2. 노승무: 의학교육에서 가상강의의 효과. 한국의학교육 14: 61-71, 2002
  3. 오승근, 노동영, 김영철, 장명철: 인터넷을 이용한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의학교육 11: 83-98, 1999
  4. 이영일: 인터넷 시험 풀그림 (software)을 활용한 의학교육평가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지 15: 27-34, 2002
  5. 이원복, 김경용, 백상호: 해부학 교육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실습프로그램의 학습효과. 한국의학교육 11: 77-81,1999
  6. 차은종, 이태수, 황영일, 구용숙, 이현무, 김원재: 멀티미디어 기법을 이용한 의학교육자료의 제작 및 재생시스템. 한국의학교육 6: 29-38, 1994
  7. 황성배, 정민석, 박진서: 일반인을 위한 해부학 만화. 대한해부학회지 38: 433-441, 2005
  8. Chodorow S: Educators must take the electronic revolution seriously. Acad Med 71: 221-226, 1996 https://doi.org/10.1097/00001888-199603000-00009
  9. Doyle DJ, Ruskin KJ, Engel TP: The Internet and medicine: past, present, and future. Yale J Biol Med 69: 429-437, 1996
  10. Frisby AJ: The Internet and medical education. Del Med J 68: 602-605, 1996
  11. Zucker S, White JA, Fabri PJ, Khonsari LS: Instructional Intranet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ad Med 73: 1072-1075, 1998 https://doi.org/10.1097/00001888-199810000-0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