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s of the Substitution of Firewood for Home Use on the Forest Greening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해방(解放) 이후(以後) 가정용(家庭用) 연료재(燃料材)의 대체(代替)가 산림녹화(山林綠化)에 미친 영향(影響)

  • Received : 2005.11.07
  • Accepted : 2005.12.12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nd evaluate relations for forest greening and the firewood substitution for home use after 1945 Liberation of Korea. Korea faced serious forest degradation by the early 1960s due to the enormous firewood consumption, which was about ten million cubic meters annually, for home use. If the trend of firewood consumption was maintained until 1955's, the total forest area in Korea could be thoroughly degraded within 10 years. The firewood substitution for home use had to be solved as soon as possible. For this purpose, energy sector by the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carried out the substitution policy for home using the briquettes which was the only natural resources for energy produced in Korea. Firewood was prohibited being carried in the major cities by forestry secto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from 1958. Only 5.2% of household in the cities used the forest products consumed as a fuel in 1970 because these inter-sectoral substitution measures of firewood for home use turned out a success gradually. After the 1970s, firewood consumption for home use was naturally decreased due to rural people's explosive move to cities, who were major consumers of firewood for home use at that time. Firewood for cooking was substituted by LPG gas after 1985 and firewood for house heating was substituted by coal and oil after 1980. Finally, on the basis of the firewood substitution for home use, the forest degradation that lasted over one hundred years was put a period.

본 논문은 해방 이후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와 산림녹화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해방 이후 1960년대 초반까지 총 입목축적의 약 17%에 해당하는 연간 1천만 $m^3$ 내외의 목재를 가정용 연료재로 소비한 까닭에 우리나라는 심각한 산림황폐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1955년 가정용 연료재의 소비량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10년 내에 전국의 산림이 민둥산이 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공부는 국내의 유일한 부존자원인 무연탄을 이용하여 가정용 연료재를 대체하는 에너지정책을 추진하였다. 농림부는 대도시 내 임산연료의 반입을 금지하고 가정용 연료재를 연탄으로 대체하여 나갔다. 이런 정책은 점차 성공을 거두어 1970년에 이미 취사용 연료로 임산연료를 사용하는 도시 가구는 5.2%에 불과하였다. 또한 1970년대 이후 가정용 연료재의 실질적 소비자인 농촌인구가 도시로 급격히 이주함에 따라 연료재 소비량도 자연스럽게 감소하였다. 농촌지역의 취사용 연료재는 1985년 이후 가스로, 난방용 연료재는 1980년 이후 연탄으로 급격히 대체되었다. 결국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라는 근본적인 변화가 토대가 되어 지난 1세기 이상 진행된 산림황폐화는 마침내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편. 1970. 총인구 및 주택조사보고 제2권 10% 표본조사 4-4 인구주택. pp. 219
  2.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편. 1975. 총인구 및 주택조사보고 제2권 5% 표본조사 3-3 인구이동 및 주택. pp. 209
  3.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편. 1980. 인구 및 주택센서스보고 제1권 전수조사 12-1 전국. pp. 610
  4. 경제기획원 조사통계부편, 1985, 인구 및 주택센서스보고 제1권 전국편, pp. 756
  5. 김연표. 1999. 산림청의 내무부 이관과 환원. 한국농정 50년사 별책 농정반세기증언. pp.415-431
  6. 대한석탄공사. 2001. 대한석탄공사 50년사: 1950-2000. pp. 813
  7. 朴璟碩, 宋英根, 白乙善, 崔政休. 1995. 山林綠化成功要因 分析. 山林科學論文集 52: 70-80
  8. 박주원. 2000. 국가.연론.환경운동단체의 산림관리에 관한 인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7
  9. 배재수. 2005. 식민지기 조선의 목재수급 추이 및 특성. 경제사학 38: 93-118
  10. 배재수, 이기봉, 주린원. 2005. 일제강점기 조선의 산림이용 -산업용재와 연료재의 수급추이 및 영향-.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5-01. pp. 121
  11. 산림청. 2001. 재적.중량표(입목 및 원목). pp. 259
  12. 산림청. 2004. 세계 산림녹화 성공 및 실패 사례 분석. pp. 309
  13.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각호
  14. 산업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각호 (2000-2003)
  15. 에너지관리공단. 2005. '04년 대체에너지보급 통계. pp. 111
  16. 이우연. 2005. 식민지기 임업의 근대화: 채취임업에서 육성임업으로. 경제사학 38: 119-155
  17. 정인욱 전기편찬회. 2000. 선각자 정인욱. 도서출판춘추각. pp. 505
  18. 철도청. 1999. 한국철도 100년사. pp. 1053
  19. 통계청. 199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제1권 전국편. pp. 765
  20. 통계청. 1995. 통계로 본 한국의 발자취. pp. 701
  21. 한국보일러공업협동조합. 1998. 보일러 産業 50年史. pp. 637
  22. 한국임정연구회. 1975. 치산녹화30년사. pp. 717
  23. 한국종합에너지연구소. 1980. 석탄산업의 현황과 석탄가격지지정책(KE-8008). pp. 208
  24. 朝鮮總督府. 朝鮮總府統計年報 각호(1910-1943)
  25. S. Kuznets, 1966, Modern Economic Growth: Rate, Structure, and Spread, Yale University, USA, pp. 529
  26. Angus Maddison, 2003, The World Economy: Historical Statistics, GECD Development Centre, pp.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