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core competency style test for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Park, Dong-Yeol
박동열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tests that could measur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by BARS development procedure: critical incidents generated, refine and creation of dimensions, retranslation, weighting the incidents, and the final BARS for test of core competencies. Seven dimensions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was determined and refined by the second step, and total 147 incidents were set by translation step. After the incidents were assigned number on 6 point scale by students, the final BARS for testing the students' core competencies was determin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ions is expected as follows : Firstly, through distributing the developed tests to examin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it can be used to analyze the need for developing the program enhancing the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universities. Secondly,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develop the BARS tests to examine the core competency not only of disadvantaged people but also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rdly,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o enhance the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rough examining the advanced level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at would complete the programs.

및 결론미래 사회에서는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직무 수행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능력 및 직업의식 등과 같이 개인이 급변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며 직무를 수행할 때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직업기초능력이 더욱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행동기술척도(BARS)에 의한 직업기초능력 진단 도구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직무 수준 및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관한 문헌과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관련 정규 교과목 실태 관련 문헌, 행동기술척도(BARS)에 의한 국내외 도구 개발 현황 문헌 등을 분석하였다. 행동기술척도(BARS)에 의한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3차에 걸쳐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단계별 설문지 및 면담지의 타당성 확보 및 진단도구의 안면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협의회를 수차례 개최하였다. 한편,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 도구 개발 절차별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번째 단계에서는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7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각 영역별 조작적 정의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앞에서 수집정리한 직업기초능력 7개 영역에 대한 행동 진술문을 정리하여 총 164개 행동 진술문을 선정하였고, 세 번째 단계에서는 제 2차 그룹을 대상으로 두 번째 단계에서 제시된 행동 진술문을 재역하여 대인관계능력에서 9문항이 제거되었고, 문제해결 및 발표능력에서 3문항이, 기술활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자기관리능력에서 각각 1문항씩 제거되어 총 147문항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재역된 행동진술문을 척도화하기 위하여 295명을 대상으로 선정된 문항 효율 정도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행동 진술문의 평균을 기초로 하여 전문대학, 교육대학, 4년제 대학 등 대학유형별 직업기초능력 진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학문·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대학생의 직무 수준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수준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종합적인 직업기초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직업기초능력 진단 검사 도구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산업인력공단뿐만 아니라 전문대학과 대학 등에 보급함으로써, 대학생 개인뿐만 아니라 대학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검사도구를 대학생이 규정함으로써, 직업기초능력 진단에 따른 현실 적용 가능한 피드백을 줄 수 있다. 셋째, 대학생뿐만 아니라 실업계 고등학생, 소외 계층 등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검사 도구의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넷째, 기업에서는 신입 사원의 직업기초능력 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신규 인력 채용에 필요한 예산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다섯째, 대학생 대상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평가시 프로그램 이수자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정도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파악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선. (1997), 교사의 업적 평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BARS 개발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인사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 김호동. (1999). 컴퓨터 프로그래머의 직무수행평가를 위한 BARS 제작.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3. 나승일, 정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김강호 외. (2003).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설정과 표준개발. 중앙고용정보원
  4. 박동열, 배을규, 정승혜. (2004a). 성공적인 직장 생활. 직업기초능력개발시리즈 2. 경일대학교출판부
  5. 박동열, 김진구, 허영준. (2004b). 체계적인 경력 개발. 직업기초능력개발시리즈 1. 경일대학교출판부
  6. 박동열, 김도태, 허만우, 배상욱, 이원균. (2003). 지역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요조사사업: 경산.영천지역 중심. 경일대학교 중소기업지원센터
  7. 박동열, 박윤희, 정향진. (2005). 생애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8. 송찬호. (1988), 행동기준고과법(BARS)을 응용한 인사고과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S기업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9. 이동수. (1999).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림대학교 의학과 박사학위논문
  10. 이종성, 정향진. (2002).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1998).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분석.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조정윤 외. (2003).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직업기초능력 활용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황정규. (1989). 학교장면에서의 심리검사의 문제점.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편). 대학생활연구 제7호. 37-50
  14. Cocanougher, A. B., & Ivancevich, J. M. (1978), 'BARS' Performance Rating for Sales Force Personnel, Journal of Marketing, 42(3)
  15. Borman, W. C., & Motowildo, S. J. (1997).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The meaning for personnel selection research. Human Performance, 10, 99-109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002_3
  16.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dtive performance. New York: Wiley
  17. Burke, J. B., Hansen, J. H., Houston, W. R., & Johnson, C.(1975), Criteria for describing and assessing competency programmes. New York: Syrause University, National Consortium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Centres
  18. Campbell, J. P. (1990). Modeling the performance prediction problem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M. D. Dunnette & L. M. Hough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2), 687-732.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 Evers, F. T., Rush, J. C., & Bedrow, I. (1998), The bases of competence: Skills for lifelong learning and employability.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 Locke, E. A., Shaw, K. N., Saari, L. M. & Latham, G. P. (1981).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1969-1980. Psychological Bulletin, 90, 125-152 https://doi.org/10.1037/0033-2909.90.1.125
  21. Lucia, A. D., & Lepsinger, R. (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ticial success factors in orgnaization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2. Maiorca, J. (1997). HOW TO CONSTRUCT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BARS) FOR EMPLOYEE EVALUATIONS, 58
  23.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24. McIntyre, Faye S., & Gilbert, Faye W. (1994). Improving Performance in Case Courses: An Argument for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Marketing Education Review, 4(1). 51-58
  25. Michael A. C., & Bill C. H. (2004). Assessing Technology Personnel: Toward a Behavioral Rating Scale, Database journal, 35(3)
  26. Parry, S. R. (1996). The quest for competencies. Training, July. 48-56
  27. Rollins, T., & Fruge, M. (1992). Performance dimensions: Competencies with a twist. Training, Jan. 47-51
  28. Schwab, Donald P., Heneman III, Herbert & DeCotiis, Thomas A. (1975a).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222-224
  29. Schwab, Donald P.; Heneman, III, Herbert G.; DeCotiis, Thomas A. (1975b)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ersonnel Psychology, 28(4), 549-562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2.x
  30.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y
  31. Tracey, J. B., Tannenbaum, S. I., & Kavanagh, M. J. (1995). Applying trained skills on the job: The importance of the work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239-252 https://doi.org/10.1037/0021-9010.80.2.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