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Long-Term Barley Straw Addition on Soil Nitrogen Dynamics and Growth and Yield of Rice in Dry Direct Seeding under Rice-Barley Double Cropping

보리후작 벼 건답직파 시 보리짚 시용에 따른 토양질소 변화와 벼 생육 및 수량성

Sin, Sang-Uk;Hwang, Jeong-Dong;Kim, Sang-Yeol;Park, Seong-Tae
신상욱;황정동;김상열;박성태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effect of long-term barley straw addition on soil nitrogen dynamics and growth and yield of rice in dry direct seeding under rice-barley double cropping. Redox potential in barley straw added soil is lowest from tillering to panicle initiation stage, thereafter, recovered and similar to barley straw removed and rice a single crop. NH4-N content in barley straw added soil i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after topdressing, and especially increased sharply at panicle initiation stage. Nitrogen content of rice plant in barley straw added is also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such as rice single crop and barley straw removed, from panicle initiation to 15 days after heading stage. SPAD value of rice leaf in barley straw added is higher than rice single crop and barley straw removed from panicle initiation to heading stage. Culm length of rice in the barley straw added is longer than other treatments and panicle number per m2 is higher but ripened grain is lowered. Milled rice yield in both barley straw added and removed treatments increased by 6% as compared to that of the rice single crop although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보리후작 벼 이모작 재배시에 장기간 보릿짚을 환원하여 건답직파재배를 한 논에서 토양중의 질소량 변화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후 20일의 초장은 보릿짚 시용 및 보릿짚 제거구는 벼 단작구에 비해 초장이 작았다. 2. 토양은 분얼기에서 유수형성기 사이에는 보릿짚 시용구에서 가장 환원상태가 가장 심하였고 유수형성기 이후에는 환원상태에서 회복되었는데 보릿짚 제거구나 벼 단작구와 비슷 하였다. 3. 토양중의 암모니아태 질소량은 분얼비 시비이후 벼의 전 생육기간 동안 보릿짚 시용구가 처리구중 가장 많았는데 특히 유수형성기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4. 벼 생육기간중의 식물체내 질소함량은 유수형성기를 전 후로 해서 부터 출수후 15일까지 보릿짚 시용구에서 처리구중 가장 높았고 엽색도도 유수형성기 이후부터 출수기까지 보릿짚제거구나 벼 단작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5. 보릿짚 시용구의 간장은 벼 단작이나 보릿짚제거구 보다 크서 초기의 억제되었 던 생육은 완전히 회복 되었고 수량은 보릿짚 제거구와 비슷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생수, 김길웅. 1984. 보리 잔유물속에서 함유된 주요 Phenolic acid가 논 잡초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잡초지, 4(1) : 39-51
  2. 권순태, 김길웅. 1985. 맥류작물(밀, 호밀)의 잔유물로부터 동정된 Phenolic compouds가 잡초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잡초지, 5(2): 121-130
  3. 김광식, 김순길, 김용웅, 손보균. 1983. 논 토양의 보릿짚 사용효과에 대한 연구. 농촌개발연구 18(1) : 29-35
  4. 金忠男. 1982a. 麥わらすきこみにょる暖地水稻の安全栽培, 農業技術, 37(5): 203-207
  5.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603p
  6. 서장선, 김광식. 1988. 보릿짚시용이 논 토양성분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한토비지. 21(4): 409-415
  7. 신상욱, 박성태, 황청동, 황동용, 김상열, 문헌활. 2001. 건답직파 벼-보리 장기간 이모작 재배시 벼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한작지, 46(6): 459-463
  8. 영남농업시험장. 1990. 시험연구보고서.(수도연구, 식물환경연구) pp. 234-247
  9. 임선욱. 1990. 토양학 통론. 문운당, pp. 144-145
  10. 정지호, 김광식. 1989. 보릿짚시용이 논토양의 생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토비, 22(2): 93-99
  11. 조현백 외 11인. 1989. 삼정 토양학, 향문사, pp.205-207
  12. 최민규. 1999. 보리수확동시 무경운직파 벼의 생육특성,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Gotoh, S. and Onikura, Y. 1971. Organic acids in flooded soil receiving added rice straw and their effect on the growth of rice. Soil. Sci. Plat Nutri., 17 : 1-8 https://doi.org/10.1080/00380768.1971.10432846
  14. Yoneyama, T. and Yoshida, T. 1977. Decomposition of rice residue in tropical soils(I, II). Soil Sci. Plant Nutri. 23 : 33-48 https://doi.org/10.1080/00380768.1977.10433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