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Gwangyang and Jeju Areas

광양 및 제주 지역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 권기철 (국립산림과학원) ;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6.03.03
  • Accepted : 2006.03.23
  • Published : 2006.07.2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60- to 70-year-old Quercus mongolica stand facing northern and southern aspect in Mt. Baekwoon (800 m above sea level), Gwangyang, Jeollanam-do and in Mt. Halla (1,000 m above sea level), Jeju-do. The total biomass was 288.4 ton/ha in northern aspect and 241.9 ton/ha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368.4 ton/ha in northern aspect and 364.3 ton/ha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Annual net production was 20.7 ton/ha/yr in northern aspect and 17.7 ton/ha/yr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19.0 ton/ha/yr in northern aspect and 21.2 ton/ha/yr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Total biomass and annual net production of Mt. Halla were greater than those of Mt. Baekwoon. The net assimilation rate (NAR) was 5.05 in northern aspect and 4.09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4.60 in northern aspect and 3.66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Total energy content was 5,666 GJ/ha in northern aspect and 4,793 GJ/ha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6,550 GJ/ha in northern aspect and 6,435 GJ/ha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Annual energy content was 365 GJ/ha/yr in northern aspect and 360 GJ/ha/yr in southern aspect of Mt. Baekwoon while 351 GJ/ha/yr in northern aspect and 347 GJ/ha/yr in southern aspect of Mt. Halla. Annual energy content of Mt. Baekwoon was greater than that of Mt. Halla.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인 전남 광양의 백운산 지역(해발 800 m)에서 자라는 60~70년생 신갈나무림과 제주 한라산 지역(해발 1,000 m)에서 자라는 60년생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 고정량을 추정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5~9 본씩 총 25 본의 표본목을 조사하였다. 광양 백운산 지역 북사면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현존량은 288.4 ton/ha, 남사면은 241.9 ton/ha이었으며, 제주 한라산 지역 북사면은 368.4 ton/ha, 남사면은 364.3 ton/ha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백운산 지역 북사면 20.7 ton/ha/yr, 남사면 17.7 ton/ha/yr이었다. 한라산 지역 북사면은 19.0 ton/ha/yr, 남사면 21.2 ton/ha/yr로서 바이오매스 현존량과 연간 순생산량 모두 한라산 지역이 백운산 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잎의 생산 효율인 순동화율(NAR)은 백운산 지역(4.1~5.1)이 한라산 지역(3.7~4.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광양 백운산 지역에서 북사면 신갈나무림의 에너지 현존량은 5,666 GJ/ha, 남사면은 4,793 GJ/ha이었으며, 제주 한라산 지역에서 북사면은 6,550 GJ/ha, 남사면은 6,435 GJ/ha로 나타났다.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백운산 지역 북사면 365 GJ/ha/yr, 남사면 360 GJ/ha/yr, 한라산 지역 북사면 351 GJ/ha/yr, 남사면 347 GJ/ha/yr로서 백운산 지역이 한라산 지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기철. 2006.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탄소 고정량 및 에너지 고정 효율 -위도, 해발고, 사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p. 126
  2. 김정언, 길봉섭. 2000. 한국의 신갈나무 숲. 원광대학교 출판국. p. 511
  3. 박관수. 2003. 광양, 평창, 영동 지역 신갈나무 임분의 현존생물량 및 순생산량. 한국임학회지 92(6):567-574
  4. 박관수, 이승우. 2001. 공주, 포항, 그리고 양양 지역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6): 692-698
  5. 박인협, 문광선. 1994.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산 및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23): 246-253
  6. 박인협, 서영권, 김동엽, 손요환, 이명종, 진현오. 2003. 강원도 춘천지역 신갈나무 임분과 굴참나무 임분의 물질 생산. 한국임학회지 92(1): 52-57
  7. 송칠영, 이수욱. 1996.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현존량 및 물질 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443-452
  8. 심상칠. 1974. 자원에너지와 활동한계. 원자력학회지 6(1): 58-67
  9. 이경학, 정영교, 손영모. 1998. 경기도 포천지방 35년생 잣나무인공림의 바이오매스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측정학회지 1(1): 61-68
  10. 이돈구, 김갑덕, 안원영, 이수욱, 이경재. 1987. 삼림생태계의 에너지 생산구조와 이용에 관한 연구. 임산에너지 7(2): 1-6
  11. 이돈구, 권기철. 2005. 산림 폐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발효 열교환장치 개발. 농림부 농림기술관리센터. pp. 29-92
  12. 이돈구, 김지홍 조재창, 차동호. 1990.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III) - 제2장 생태연구 편. 과학기술처. p. 449
  13. 이수욱, 박관화. 1986. 한국의 소나무 및 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Biomass 및 유기Energy 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산에너지학회지 6(1): 46-58
  14. 임경빈, 김갑덕, 이경재, 김용식, 박인협, 김갑태, 이승호, 박효섭. 1981. 15년생 낙엽송임분의 성장 및 생산구조. 임산에너지 1(1): 4-12
  15. 吉良龍夫. 1976. 陸上生態界:槪論. 共立出版株式會社. p. 166
  16. Burgess, R. L. 1981. Physiognomy and phytosociology of the international woodland research sites. pages 1-35 in D. E. Reichle (ed.), Dynamic Properties of Forest Ecology.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7. Kimmins, J. P. 1997. Forest Ecology 2nd ed. Prentice-Hall, Inc. p. 596
  18. Kira, T., H. Ogawa, and K. Ogino. 1967. Comparative ecological studies on three main type of forest vegetation in Thailand - IV. Dry matter produc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Khao Chong rain forest. Nature and life southeast Asia 5: 149-174
  19. Kittredge, J. 1944. Estimation of amount of foliage of trees and stands. Jour. Forestry 42: 905-912
  20. Kozak, A. 1970. Methods for ensuring additivity of biomass components by regression analysis. The Forestry Chronicle. pp. 402-404
  21. Ovington, J. D. 1965. Organic production, turnover and mineral cycling in woodlands. Biol. Rev. 40: 295-336 https://doi.org/10.1111/j.1469-185X.1965.tb00805.x
  22. Saucier, J. R. 1979. Estimation of biomass production and removal. Proceedings of Impact of Intensive Harvesting on Forest Nutrient Cycling. pp. 172-189
  23. Schwappach, A. 1912. Ertragstafeln der Wichtigeren Holzarten, Neudamn. p. 83
  24. Waters, W. T. and J. M. Christie. 1958. Provisional yield tables for oak and beech in Great Britain. For. Rec. pp. 36, 31
  25. Whittaker, R. H. 1966. Forest dimension and production in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47(1) 103-121 https://doi.org/10.2307/1935749
  26. Zavitkovsky, J. and R. D. Stevens. 1972. Primary productivity of red alder ecosystems. Ecology 53(2): 235-242 https://doi.org/10.2307/1934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