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Risk Factors, and Obesity Related Disease in Elementary Students

일개 초등학교 학생의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의 유병률

Park, Ji-Bin;Choi, Tae-In;Kim, Ji-Su;Jung, Do-Sik;Kim, Kyu-Nam;Lee, Seon-Yeong;Kang, Jae-Heon
박지빈;최태인;김지수;정도식;김규남;이선영;강재헌

  • Published : 20060200

Abstract

Background: Recently, childhood obesity has been increased and has resulted in serious health problem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and its risk factors in elementary students. Methods: One thousand nine hundred and eleven children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 measured children's height, weight, waist to hip ratio, and the obesity rate (%).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were assessed by a self-written questionnaire answered by their parents. In moderate and severe obese children, we checked their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ALT, AST, uric aci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Results: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was 14.0%. We found tha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were the number of siblings, class, parent's obesity, and the preference for fish and meat (P=0.030, 0.022, <0.001, 0.003, respectively). In moderate and severe obese children, the prevalence of obesity related diseases was 77.6% and 92.3%,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hildhood obesity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parent's obesity and the preference for fish and meat. The prevalence of obesity related diseases was very high in moderate and severe obese children.

연구배경: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소아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소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의 이행가능성이 높고, 성인 비만처럼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비만 관련 질환을 동반할 위험성이 높다. 1998년 개정된 표준체중표를 이용하여 소아 비만의 실태와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중등도 이상의 비만에 있어 비만 관련 질환의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4월 서울시내 1개 초등학교 전 학년 1,911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를 측정하였고, 비만도 20% 이상인 아동을 대상으로 체지방을 측정하였다. 비만도 30% 이상(중등도 이상) 아동에 대해서는 혈압, AST, ALT, 요산,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비만의 위험요인은 학생의 부모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 부모의 설문지 응답률은 89.2%였다. 대상 인구 집단의 비만 유병률은 14.0%였다(남아 14.4%, 여아 13.5%). 자녀수가 적을수록, 고학년일수록, 부모가 비만일수록, 어․육류군을 선호할수록, 소아의 비만 위험성이 증가하였다(P=0.030, 0.022, <0.001, 0.003). 중등도 이상 비만의 유병률은 6.3% (남아 7.2%, 여아 5.3%)였고, 중등도와 고도 비만아에서 비만 관련 질환의 유병률은 각각 77.6%, 92.3%였다. 질환별로는 각각 고혈압 42.9%, 61.5%, 지방간 14.3%, 30.8%, 고요산혈증 8.2%, 0%, 고콜레스테롤혈증 38.8%, 61.5%, 고중성지방혈증 28.6%, 61.5%였다. 결론: 소아 비만은 부모의 비만, 어․육류군 선호와 관련성이 매우 높으며, 중등도 이상의 비만아에서 비만 관련 질환의 유병률이 매우 높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헌. 일차의료에서 비만의 진단과 관리. 가정의학회지 1997:18(9):882-96
  2. 장윤주, 홍창호, 홍영진. 서울 시내 초.중.고 학생들의 최근 18년간(1976-1996) 비만도의 변화 추이 및 비만아의 증가 양상. 한국영양학회지 1997:30(7);832-9
  3. 문형남, 홍수종, 서성제. 서울지역의 학동기 소아 및 청소년 의 비만증 이환율 조사. 한국영양학회지 1992;25(5):413-8
  4. 대한비만학회 제1회 연수강좌, 비만의 치료 원칙: 비만의 치료 지침. 대한비만연수강좌;2000. p. 11-25
  5. Update on the 1987 Task Force on High Blood Pres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working group report from th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Working Group on Hypertension Control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1996;98:649-58
  6. Behrman RE, Kliegman RM, Jenson HB.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In: Nicholson JF, Pesce MA, editors. Reference ranges for laboratory test and procedure.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6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2000. p. 2181-224
  7. Bonora E. Targher G, Zenere MB, Saggiani F, Cacciatori V, Tosi F, et al. Relationship of uric acid concentration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young men. Role of obesity and central fat distribution. The Verona Young Men Atherosclerosis Risk Factors Study [abstrac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6:20(11):975-80
  8. Giorgi PL, Suskind RM, Catassi C. The Obese Child. In: Figueroa-Colon R, von Almen TK, Suskind RM, editors. Clinical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Basel, Switzerland: Karger Pub; 1992. p. 181-96
  9. 김현미, 홍영미, 김경희, 유정현. 지방간이 합병된 비만아에서 혈중 지질농도에 관한 연구. 소아과 1996;39(6):803-10
  10. Giorgi PL, Suskind RM, Catassi C. The Obese Child. In: Pfanner P, Marcheschi M, editors. Psychological aspects of childhood obesity. Basel, Switzerland: Karger Pub; 1992. p. 149-54
  11. Giorgi PL, Suskind RM, Catassi C. The Obese Child. In: von Almen TK, Figueroa-Colon R, Suskind RM, editors. Psychosocial consideration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Basel, Switzerland: Karger Pub; 1992. p. 162-71
  12. 민용식. 소아비만증. 대한비만학회 편. 임상비만학. 2판. 서울:고려의학;2000. p. 175-95
  13. 김효실, 김현이, 홍성철. 제주시내 일부 초중고 학생들의 비만실태 및 비만 관련요인.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002;27 (1):66-81
  14. 신경희, 권정숙, 장현숙. 아동의 비만실태 및 체지방율과 비만 판정에 사용하는 방법들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경북 의성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6; 25(6):1037-44
  15. Garn SM, Bailey SM, Solomon MA. Effect of remaining family members on fatness prediction. Am J Clin Nutr 1981;34:148-53 https://doi.org/10.1093/ajcn/34.2.148
  16. Whitaker RC, Wright JA, Pepe MS, Seidel KD, Dietz WH.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N Engl J Med 1997;337:869-73 https://doi.org/10.1056/NEJM199709253371301
  17. Salbe AD, Weyer C, Lindsay RS, Ravussin E, Tataranni PA. Assessing risk factors for obesity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ce: birth weight, childhood adiposity, parental obesity, insulin, and leptin. Pediatrics 2002;110(2):299-306 https://doi.org/10.1542/peds.110.2.299
  18. 김은미, 박용우, 이미완.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정도에 어머니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이 미치는 영향[초록]. 대한비만학회지 2002;11(3):301
  19. Goran MI, Ball GD, Cruz ML. Obesity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Clin Endocriol Metabol 2003;88(4):1417-27 https://doi.org/10.1210/jc.2002-021442
  20. Kant AK, Association of self-perceived body weight status with dietary reporting by US teens. Obesity Research 2002; 10(12):1259-70 https://doi.org/10.1038/oby.2002.171
  21. Steinberger J, Daniels SR. Obesity, insulin resistance, diabetes, and cardiovascular risk in children: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therosclerosis, Hypertension, and Obesity in the Young Committee (Council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Young) and the Diabetes Committee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Circulation 2003;107:1448-53 https://doi.org/10.1161/01.CIR.0000060923.07573.F2
  22. 김형기, 이대선, 유선미, 정유석, 박일환. 아산시 어린이의 비만 유병률과 비만에 관련된 위험 요인. 가정의학회지 2001;22(10):1484-93
  23. 이동환. 소아 비만의 진단과 치료지침. 대한비만학회 제4회 연수강좌;2002. p. 57-96
  24. 이창연, 김웅흠. 소아비만의 위험요인와 비만한 자녀를 가진 가족의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4; 3(1):5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