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Items for the Analysis of Rural Amenities

농촌어메니티 자원분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Jo, Sun-Jae;Gang, Bang-Hun;Yun, Hui-Jeong;Kim, Jin-Seon
조순재;강방훈;윤희정;김진선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Our rural space and amenity resources are quickly destroyed and they are faced with difficult problems, for example environmental pollution, destruction of historical resources and residents' community. Now a days, amenity concept has gotten influential in the field of environment, city and region studies, but that is related to life quality and it is relatively subjectiv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menity items and verify the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to assess those objectively. This study develops quantitative evaluation items about 100 amenity resources based on related laws and literature review and carries out 25 expert questionnaire survey using likert scale about importance and whether or not the applicability is. The importance analysis of amenity items shows that natural items are higher than cultural and social items. In a concrete way, animals, plants, wetland and biotope and water quality of natural items, cultural building, river landscape and faith space of cultural items and public life facilities, environmental management facilities, production of special product, regional cultural activities of cultural items are more important. In addition, applicability analysis of amenity items shows that natural items are higher than cultural and social items. In a concrete way, animals, forest, and water quality of natural items, castles and temples of cultural items and public parks, festivals and processing special product of cultural items are more applicable.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1), '도시쾌적성 확보를 위한 어메니티플랜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2. 김귀곤.김훈희(1996), '도시지속성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3. 김승환.변문기(1991), '쾌적한 도시환경의 창출을 위한 도시어메니티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01-105
  4. 김정섭(2001), 농촌개발과 '어메니티-국제적 논 의동향과 함의'. 농어촌과 환경 73(12): 21-32
  5. 김진선.조순재(2004), '농촌어메니티자원 활용에 대한 사회문화적.경제적 영향분석'.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6. 농림부(2002), '생태문화자원의 효율적 보전 및 이용을 위한 농촌마을 계획기술 연구'.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7. 농림부(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 어메니티 자원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수원: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8. 농업기반공사(2003), '농촌 소득기반과 연계되는 생태.문화자원의 활용방안 연구'. 농어촌연구원
  9. 농촌진흥청(2005), '농촌의 다원적 기능 향상을 위한 어메니티 보전 및 자원관리시스템 개발'. 수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10. 박호균(2001),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어메니 티증진방안'. 농어촌과 환경 73(12): 3-11
  11. 박창석(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관계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6): 21-35
  12. 부산시(1994), '21세기를 향한 부산어메니티플랜 자료집'. 부산시
  13. 새국토협의회(2002), '지속가능한 농촌정비와 어메니티'. 새국토협의회 제 1회 공동개최세미나
  14. 성현찬.이영준(1997), '쾌적환경평가 및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4(04): 23-38
  15. 성현찬.이동근(1999), '경기도 6개도시의 어메니티평가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국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4(102): 125-133
  16. 안득수.정태섭.박영민(1998), '도시 소녹지공간 어메니티증진을 의한 교통소음 Marketing Models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19-33
  17. 이상문(2004), '농촌어메니티의 산업자원화와 서천군의 추진방향'. 21세기 농촌 신성장 동력원 발굴 대토론회 자료집 : 85-99
  18. 이양주(1999), '수원시 어메니티 환경의 평가와 개선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4(103): 159-167
  19. 이재준(1998),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어메니티 중요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118-133
  20. 임형백(2002), '어메니티를 이용한 농촌활성화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2):233-246
  21. 장은숙.전영미.박윤호(2002), '농촌마을 정비특성별 어메니티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0(3): 35-45
  22. 정장표.김상헌.이도철.황동진(1995), '대기질 지수 산정방식에 의한 부산지역의 대기질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추계학술연구발표회 : 263-266
  23. 최수명(2001), '어메니티 지향시대의 농촌정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발전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농업기반공사
  24. 한국관광연구원(2001),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지표연구. 한국관광연구원
  25. 日本建設省 建築硏究所(1993), 快適性の評價構 造に關する基礎的硏究
  26. 日本都市計劃學會/編著(1987), アメニテイ都市 への途. 日本都市計劃學會
  27. 日本 東京都(1986), 도민의식에 기초한 쾌적환경 지표의 작성조사보고서. 東京都
  28. 進士五十八(1992), アメニテイ デザイン. 東京: 學藝出版社
  29. Hart M.(1995), Guide to Sustainable Community indicators. MA: Sustainable Measure
  30. OECD(1994), The contribution of amenities to rural development. Paris: OECD
  31. OECD(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Paris: OECD
  32. OECD(2000), Valuing rural amenities. Paris: OECD
  33. David L. Smith(1974), Amenity and urban planning. London: Granada Publishing Lim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