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Morphological Variation Among Provenances of a Rare Rhododendron micranthum in Korea

희귀 식물 꼬리진달래의 형태적 변이

  • Kim, Nam You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Heung Sik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ol You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Wan Geun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남영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김흥식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김영설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Received : 2005.10.31
  • Accepted : 2005.12.21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six provenances of a rare Rhododendron micranthum could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of gene resources and could provide information on superior trees selec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pproximately Mt.worak region showed larger values at petal character. On the other hand, Bonghwa region showed smaller values at petal character. Yeonha-ri region showed larger values at leaf character. On the other hand, Bonghwa region showed smaller values at leaf character.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first for principal components(PC's) explained 41.6% of the total variation. From th third PC explained 81.5% of the total variation. The first PC was correlated with those characteristics that were mainly related to the Petal length (PL), Leaf length (LL) width (LW), Stigma length (SL). The second PC was correlated with the Petiole length (PTW), Anther length (AL). The third PC was correlated with the Flower pedicel length (FPL), Filament length (FL). Therefore, these characteristics was important to analysis of the variation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provenances of Rhododendron micranthum. Cluster analysis using single linkage metho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six provenances of Rhododendron micranthum could b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Group I is Jicdong-ri, Group II is Mt.worak and Yeonha-ri, and Group III is Taeback, Bonghwa, and Samcheok. These results corresponded well with tha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본 연구는 희귀식물 꼬리진달래의 형태적 변이를 분석하여 종내 변이를 구명하며, 나아가 조경수로써 우량한 개체의 선발과 유전자원을 보호하며 꼬리진달래의 보호, 관리함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꼬리진달래의 형태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6개 산지를 선정하고, 18가지 형질들을 조사한 결과, 꽃잎의 형질에서는 월악산의 것이 큰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봉화의 것이 가장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잎의 형질에서는 연하리의 형질이 가장 큰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봉화의 것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형태적 특성들에 대한 주성분분석 결과, 제 1주성분의 기여도가 전체변이의 41.6%, 고유값이 1이상인 제 3주성분까지의 기여도는 전체변이의 81.5%였다. 제 1주성분은 꽃잎 길이(PL), 엽 길이(LL) 폭(LW), 암술머리 길이(SL) 특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제 2주성분의 기여율은 21.1%로서 엽병 길이(PTL), 약 길이(AL) 특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 3주성분의 기여율은 22.6%로서, 소화경 길이(FPL), 수술대 길이(FL) 특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 1, 2, 3의 주요특성들은 꼬리진달래 산지간 형질 분류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조사 분석된 산지의 형태적 특성들을 기초로 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볼 때,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 1그룹은 영월군 직동리이며, 제 2그룹은 충청북도 월악산, 영윌군 연하리, 제 3그룹은 태백, 봉화, 삼척 지역이 속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7.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도감. 중부임업시험장. pp.171
  2. 이기의, 유근창, 이병룡. 1989. 꼬리진달래의 조경수목화를 위한 기초연구 (I) - 자생지의 생육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7(2): 41-46
  3. 이기의, 유근장, 이병룡. 1990a. 꼬리진달래의 조경수목화를 위한 기초연구(II) -광합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8(1): 158-159
  4. 이기의, 유근창, 이병룡. 1990b. 꼬리진달래의 조경수목화를 위한 기초연구(III) -생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8(1): 114-115
  5. 이민순, 이윤원. 1999. 밀원수종 찰피나무 천연집단에 대한 잎의 형태적 변이에 관한 연구. 한국양복학회지 14(2): 71-78
  6.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599
  7. 임경빈, 김진수. 1975.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 연구(I). 한국임학회지 28: 1-20
  8. 박준모. 2002. 한국산 진달래속의 화분형태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임학과 박사학위논문. pp.116
  9. 황환주, 염도의, 김기선. 1987. 진달래속 식물의 형태적 특징과 단백질 분석에 의한 근연관계. 한국원예학회. 논문발표요지 5(1): 140-141
  10. 황성곤, 황환주, 김기선. 1998. 삽목시기 및 발근촉진제 처리가 진달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16(1): 33-36
  11. 황환주. 1999. 한국 자생 진달래속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원예학과 박사학위논문. pp.114
  12. 中井猛之進. 1917. 朝鮮森林, 植物編, 第二卷. 7-33
  13. Baily, L.H. and E.Z. Baily. 1978. Hortus third.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946-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