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SAssociation of Stress Level with Smoking

스트레스 수준과 흡연 여부의 관련성

Lee, Kyung-Hee;Chung, Woo-Jin;Lee, Sun-Mi
이경희;정우진;이선미

  • Published : 20060100

Abstract

Background: Smoking contributes to increased incidence of disease and mortality, as well as to a significant loss in socioeconomic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oking behavior.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1997 Korea's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ance System Survey colle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 based on the multi-stage strarified random sampling (N=1,055).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on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chi^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oking. Results: Multiple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with mid level stress had a 1.52 times (95% CI=1.03${\sim}$2.24) greater risk for smoking than the low stress group and the high stress group, a 2.34 times (95% CI=1.14${\sim}$4.82) greater risk. There was a higher risk in men than in women, in the group who had experienced divorce or lost of spouse than for those who were married, in those who are employed than unemployed and in drinkers than abstainer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group who experienced higher stress levels carried higher proportion of smokers. Therefore, sound stress 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stress control programs will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연구배경: 흡연은 질병발생과 사망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을 끼치고 있다.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스트레스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도구를 이용한 전국민 조사 및 관련성 분석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민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수준과 흡연 여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자료는 보건복지부와 서울의대 가정의학교실에서 1997년에 수행한 전국민 건강위험요인 감시체계 서베이 데이터로 다단계 층화 무작위 표본추출법(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에 의해 추출된 15세 이상 성인 총 1,055명을 대상으로 현재 흡연여부와 한국어판 BEPSI 설문지를 통한 스트레스 수준, 기타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대해 전화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방법은 카이스퀘어($\chi^2$) 검정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흡연 여부와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는 성, 거주지역, 교육수준, 직업, 스트레스, 음주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경제학적 특성, 건강 행태 변수를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저 스트레스군에 비해 중증도 스트레스군은 1.52배(95% CI=1.03${\sim}$2.24), 고 스트레스군은 2.34배(95% CI=1.14${\sim}$4.82) 흡연율이 높았다. 결론: 스트레스 수준은 흡연 여부와 관련성이 높았으며, 건전한 방향의 스트레스 관리 유도 및 체계적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구축은 개인차원 뿐만 아니라 국가차원에서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olbrook JH. Nicotine addiction. In: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 ed. Naw York: McGraw-Hill; 1998. p. 2516-9
  2.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4년 흡연실태 조사 보고서. 2004
  3. 강경아, 장주동. 일부지역 청소년들의 흡연 실태. 아동간호학회지 2003;9(1):66-73
  4. 이석구, 권윤형, 이길희. 일부 도시지역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흡연실태와 관련요인. 가정의학회지 2000;21(8): 1042-52
  5. 양윤준, 서홍관, 최지호. 우리나라 의과대학생의 흡연실태 및 흡연과 금연에 관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1995;16(2): 157-71
  6. 박무석, 정재호, 정재희, 김영삼, 김세규, 지선하 등. 흡연 습관에 따른 폐암 발생의 차이. 결핵 및 호흡기질환 2003; 55(3):267-79
  7. 김지영, 김희라, 김형진, 정지태. 가족의 흡연으로 인한 간접흡연이 천식에 미치는 영향.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3;13(4):238-47
  8. 이지현, 김은경, 최강현, 오연목, 심태선, 이상도. 흡연으로 인한 폐실질과 폐혈관의 구조 및 기능 변화에 대한 statin의 효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2003
  9. 박순우, 이주영, 박정한. 고등학생을 위한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효과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1): 153-70
  10. 이정렬, 이경희, 배선형, 서구민, 함옥경. 일지역 청소년을 위한 흡연 예방사업 효과 평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 18(1):74-9
  11. 김수영, 정영숙. 고등학생의 흡연예방교육 효과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2):81-94
  12. Cartwright A, Martin FM, Thompson JG. Diestribution and development of smoking habits. Lancet 1959;2:725-7
  13. Kassel JD, Stroud LR, Paronis CA. Smoking, stress, and negative affect: correlation, causation, and context across strages of smoking. Psychol Bull 2003;129(2):270-304 https://doi.org/10.1037/0033-2909.129.2.270
  14. Parrott AC. Does cigarette smoking cause stress? Am Psychol 1999;54(10):817-20 https://doi.org/10.1037/0003-066X.54.10.817
  15. Byrne DG, Byrne AE, Reinhart MI. Personality, stress and the decision to commece cigarette smoking in adolescence. J Psychosom Res 1995;39(1):53-62 https://doi.org/10.1016/0022-3999(94)00074-F
  16. 배종면, 정은경, 유태우, 허봉렬, 김철환. 외래용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연구. 가정의학회지 1992;13(10):809-20
  17. Frank SH, Zyzanski SJ.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1988;26:533- 9
  18. 조비룡, 허봉렬.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전화설문조사의 한국에서의 방법론적 고찰. 가정의학회지 1997;18(10):1054- 68
  19. 이상연, 이승욱. 한국인의 흡연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000;25(2):41-50
  20. 우은경. 흡연에 대한 지식수준이 흡연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원 보건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21. Perkins KA. Combined effects of nicotine and alcohol on subjective,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humans. Addict Biol 1997;2:255-68 https://doi.org/10.1080/13556219772552
  22. Walton RG. Smoking and alcoholism: a brief report. Am J Psychiat 1972;128:1455-6 https://doi.org/10.1176/ajp.128.11.1455
  23. 소희영, 이미라, 정미숙. 흡연, 음주, 운동과 건강생활양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8;12(2):221-35
  24. Daeppen JB, Smith TL, Danko GP, Gordon L, Landi NA, Nurnberger JI Jr, et al. Clinical correlates of cigarette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in alcohol-dependent men and women. Alcohol Alcohol 2000;35(2):171-5 https://doi.org/10.1093/alcalc/35.2.171
  25. McClure JB, Wetter DW, de Moor CD, Cinciripini PM, Gritz ER. The rel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abstinence: Results from the working well trial. Addict Biol 2002;27:367-79 https://doi.org/10.1016/S0306-4603(01)00177-0
  26. Warburton DM. Smoking within reason. J Smoking Related Disorders 1992;3:55-9
  27. Lloyd B, Lucas K. Smoking adolescence: images and identities. London: Routledge; 1997
  28. 서 일. 한국인의 흡연률과 그 역학적 특성. 한국역학회지 1988;10(2):131-7
  29. 박샛별. 일개 직장에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스트레스와 관련된 건강에 대한 인식도 조사. 가정의학회지 2001;22(12):1814-22
  30. Jones ME, Parrott AC. Stress and arousal circadianrhythms in smokers and non-smokers working day and night shifts. Stress Med 1997;13:91-7 https://doi.org/10.1002/(SICI)1099-1700(199704)13:2<91::AID-SMI722>3.0.CO;2-8
  31. Posner I, Leitner LA, Lester D. Diet, cigarette smoking, stressful life events, and subjective feelings of stress. Psychol Rep 1994;74:841-2 https://doi.org/10.2466/pr0.1994.74.3.841
  32. 박재수, 오정진, 김응수, 오장균. 생활사건에 대한 스트레스량과 건강 습관과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1998;19(2):205- 15
  33. 배종면. 흡연량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34. Bobo JK, Husten C. Sociocultural influence on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Res Health 2002;24(4):2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