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for Evaluation of Grouting Effect in Earth Dam

그라우팅에 의한 댐체의 보강효과 평가를 위한 전기비저항탐사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In this paper, we used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s a simple and reasonable techniqu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ting. And, a mechanism was also analyzed to understand how the electrical resistivity is affected by the loss of fine material in the core of a dam. From this mechanism, it was confirmed that electrical resistivity value of the damage section may be up or down depending on the survey conditions. This result seems to be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y that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damage zone become alway low. To clarify what was investigated, the electrical resistivity before and after grouting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grouting effectiveness was successfully assessed by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본 연구에서는 그라우팅 효과를 간편히 그리고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전기비저항 탐사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한 보강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누수에 의한 코아의 세립분 유출이 코아부의 전기비저항에 어떤 변화를 발생시키는가에 대한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탐사시의 조건에 따라서 연약부분의 비저항이 낮아질 수도 높아질 수도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통상적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는 코아의 연역부분에서는 비저항이 낮아진다는 사실에 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메커니즘 하에서 실제 그라우팅에 의해 보수・보강이 수행된 댐체에 대한 보강 전・후의 전기비저항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보강 후의 비저항이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든지 비정상적인 이상 비저항대가 없어졌다든지 하는 그라우팅의 효과를 성공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즉, 그라우팅에 의한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전기비저항 탐사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 중의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수, 백건하, 김중열, 김유성, 손호웅(2002), 지구물리탐사법을 활용한 절리발달 암반지역에서의 그라우팅 효과판정, 지구물리, 제 5권 3호, pp. 175-198
  2. 송성호, 장의웅, 김진호, 김진성, 김진춘(2002) 전기비저항 수직 탐사를 이용한 저수지 그라우팅 구간 평가, 지질공학회지, 제 12권 1호, pp. 63-73
  3. 오석훈, 김형수(2005) 필댐의 3차원 기하효과에 따른 전기비저항 왜곡 효과 분석, 지구물리, 제 8권 4호, pp. 211-214
  4. 오석훈, 선창국(2004) 필댐 안정성 평가를 위한 물리탐사와 SPT 자료의 분석, 지구물리, 제 7권 3호, pp. 171-183
  5. Daily, W., and Ramirez, A.(2000), Electrical imaging of engineered hydraulic barriers, Geophysics Vol. 65 No. 1
  6. Ramirez, A., Daily, W., Binley, A., LaBrecque, D., and Roelant, D.(1996), Detection of leaks in underground storage tanks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s, J. Envi. Eng. Geophys., Vol. 1, pp. 189-203 https://doi.org/10.4133/JEEG1.3.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