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Fascination of the Mixed Martial Arts Program through Mass Media on the Aggression and Attitude toward Violence in Adolescents

매스미디어를 통한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 심취도가 청소년의 공격성과 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Kim, In-Hyung
김인형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고봉기(2004). 청소년의 이종격투기 관람에 따른 사회 적 요인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 교대학원
  2. 곽정원(2003). 영상매체의 폭력성 수용에 따른 청소년 의 부적정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여수대학교 대학원
  3. 곽진희(2001). 미디어 폭력의 맥락차원과 폭력성 지각 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4. 구정화(2000). 청소년의 폭력성 멸티미디어의 수용정 도가 폭력성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5. 구향숙(1996). 청소년의 커뮤니케이션 상황 $\cdot$ 가족생활 교육 $\cdot$ 공격성 간의 관계 연구.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6. 김경근(2000). 영상매체의 폭력성이 청소년에게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7. 김계수(2004).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유진사
  8. 김선우(2003. 9. 24). '이종격투기 모르면 왕따 당해요' 청소년들 따라하기 부작용. 동아일보
  9. 김세훈(2003 . 11. 19) . SK '격투기 투혼' 비디오 수업. 굿데이, 11면
  10. 김영윤(2004). 국내 신문과 방송에서의 스포츠 경기 보 도실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1. 김옥주(2004). 이종격투기 출현과 사회 $\cdot$ 문화적 이데올 로기의 변화. 한국스포츠리서치, 15(3), 122-131
  12. 김현실(1995). 폭력매체에 의한 비행행동의 구조 모형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3. 노안녕(1983). 비행청소년에 었어서 공격성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주장훈련의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4. 박수정, 정희준(2004). 이종격투기의 세계화: 탈근대와 전근대의 만남 한국체육학회지, 43(4), 110-119
  15. 박아청(2000). 청소년과 폭력성 멀티미디어에 대한 일고찰. 계명대학교 사회과학 논총, 20(1), 31-42
  16. 박아청, 구정화(2001). 아동 $\cdot$ 청소년의 폭력성 멀티미디 어의 수용정도가 폭력성향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5(3), 75-88
  17. 서희진(2004). 이종격투기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코드읽 기.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7(1), 21-31
  18. 성호준((2006. 1. 26). 새 문화 코드로 떠오른 이종격투기. 중앙일보, 29면
  19. 유흥식, 임성원, 김수정, 박원준, 김인경(2004). 폭력적 이종격투기 프로그램 시청이 수용자의 지각각성 $\cdot$ 상태분노 $\cdot$ 상태적대감 및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48(4), 22-32
  20. 윤여탁, 김학덕(2004). 스포츠화된 이종격투기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철학회지, 12(2), 55-67
  21. 이병관(2004). 이종격투기의 하위문화적 특성과 가능 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 교대학원
  22. 이수윤(1999). 팬쉽강도와 TV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동 가 및 시청태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3. 장준성, 장상진(2004. 2. 3). 조폭선드롬현장: 10대 파이터 클럽. from http://www.ibga.co.kr/news/news_contents.php?no=1185)
  24. 전기주(2004). 뉴미디어방송의 신종 콘덴츠 편성성과 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 교대학원
  25. 조선배(199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26. 주지영(2005). 고등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우울 및 공격 성간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27. 최선이(2002). 아동의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 대학교 대학원
  28. Bandura, A.(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NJ: Englewood Giffs. Prentice-Hall
  29. Bryant, J., Zillmann, D, & Raney, A. A.(1998). Violence and the Enjoyment of Media Sports. In L. A. Wenner(Ed.). MediaSport. London: Loutledge
  30. Buss, A. H. & Durkee, A.(1957).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343-349
  31. Feshbach, S.(1955). The drive-reducing function of fantasy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0, 3-11 https://doi.org/10.1037/h0042214
  32. Gunter, B., (1985). Dimensions of Television Violence. England: Gower Publishing Company Limited
  33. Lorenz, K. (1963). Das sogenannte Bose: Zur Naturgeschichte ker Aggresson. Wien: Borotha-Schoeler
  34. Miyazaki, T. (1981). Housewives and Daytime Serials in Japan: A Uses and Gratification Perspective. Communication Research. 8, 323-341 https://doi.org/10.1016/0093-6413(81)90041-0
  35.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Y : McGraw Hill
  36. Paik, H. & Pulkkinen, L.(1994). The effects of television violince on antisocial behavior: A meta-analysis. Communication Research, 21, 516-546 https://doi.org/10.1177/009365094021004004
  37. Potter, W. & Warren, R. (1998). Humor as Camouflage of Televised Viol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8(Spr.), 40-57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8.tb02747.x
  38. Reeves, B. & Miller, M. M. (1977).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Children's Identification with Television Characters. Journal of Broadcasting, 22, 71-85
  39. Wilson, B. J., Kunkel, D., Lins, D., Potter, J., Donnerstein, E., Smith, S. L., Blumenthal, E., & Gray, T. (1997). The effects of exposure to media violence. In National Television Violence Study, 1, 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