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Forest Sustainability Indices of Provinces in South Korea

시도별 산림지속성의 지수화

  • Received : 2006.08.16
  • Accepted : 2006.09.29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orest sustainability index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districts in Korea. The forest sustain ability was assessed on the bases of economic, social, environmental axes (phase), which are ess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Score of importance for each phase was analyzed by the pairwise comparison of analytic hierachy process (AHP). The forest sustainability indices were measured by 15 indicators of each 3 indicators in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nd 6 indicators in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The extra weight values of indicators were assigned by the value sum weight method. The forest sustainability indices were assessed for each phase, forest management and health, and integrated index, based on the data from 1995 to 2004. The forest sustain ability indices showed the highest score of 71.8 in Gyeongsangbuk-do and the lowest score of 22.9 in Incheon as of 2004.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를 평가 단위로 하여 산림지속성 지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산림지속성은 지속가능발전의 세 개의 축인 경제, 사회, 환경과 함께 기반을 추기하여 네 개의 축(부문)에 근거하여 평가되었다. 이들 부문의 중요도는 계층분석법의 한 형태인 쌍대비교 방식에 의하여 도출하였다. 경제, 사회, 환경에 해당하는 지표는 각기 3개씩, 기반 부문에는 6개로, 총 15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산림지속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지표의 가중치 적용 방법으로는 점수가중치 방법을 사용하였다. 산림지속성 지수는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자료를 토대로 부문별, 관리/건강성, 종합지수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산림지속성 종합지수는 2004년 기준으로 경상북도가 71.8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이 22.9로 가정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림기술관리센타

References

  1. 곽승준,유승훈,장정인. 2003. 해양환경 종합지수의 개발. 자원환경경제연구. 12(3): 487-513
  2. 국립산림과학원. 2004. 산림지속성 지수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pp. 94
  3. 김성희,정병호,김재갱. 1999. 의사결정 분석 및 응용. 영지문화사. pp. 487
  4. 김준순. 1999. 산림자원계정 구축을 위한 지표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5. 김준순, 김중명, 성주한. 2005. 산림지속성 지수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구임학회지. 94(3): 183-190
  6. 산림청. 각 연도판. 임업통계연보. 산림청
  7. 산림청. 2003. 제4차 산림기본계획(변경). 산림청. pp.235
  8. 산림청. 2005.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기준과 지표. 산림청
  9. 정영근, 배현회. 2002. WSSD 논의결과 분석 및 후속과제 도출. pp. 29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 정영근, 이준. 2003.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지수화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 159
  11. Ott. W. 1978. Environmental indices: theory and practicd. Ann Arbor Science. pp. 371
  12. Saaty, T.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