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ensities of Echinochlor crus-galli and Monochoria vaginalis in Wet Seeding and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on Rice Yield and Rice Quality, and Economic Threshold Levels of the Weeds

벼 재배양식별 피와 물달개비 발생밀도에 따른 쌀 수량, 품위 및 경제적 허용 한계밀도 설정

Gwon, O-Do;Kim, Han-Yong;Mun, Byeong-Cheol;Guk, Yong-In;Kim, Jong-Guk
권오도;김한용;문병철;국용인;김종국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levels of reduction of rice yield and rice quality as affected by densities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Monochoria vaginalis in wet seeding and 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and to determine economic threshold levels of the weeds. In wet seeding, the yield of rice in densities (5 to 100 plants m-2) of E. crus-galli and M. vaginalis was reduced by 11 to 74% and 1 to 12%, respectively. Head rice was obviously reduced by increasing densities of occurrence of E. crus-galli, and immature rice and damaged kernel were increased with densities of occurrence of E. crus-galli.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quality of rice and the densities of M. vaginalis. The competitiveness of E. crus-galli was 25-fold higher than that of M. vaginalis, when regressions for prediction of rice yield loss on densities of E. crus-galli and M. vaginalis were done. Economic threshold densities of E. crus-galli and M. vaginalis calculated by Cousens' method(1985) were 0.9 and 22 per m2, respectively. This result means that the yield of rice in wet seeding can be reduced by more than the economic threshold densities of E. crus-galli and M. vaginalis. On the other hand, in transplanted rice cultivation, the yield of rice in densities of E. crus-galli (96 m-2) and M. vaginalis (576 m-2) was reduced by 60%서 언

본 연구는 벼 담수직파재배와 이앙재배에서 피와 물달개비의 발생밀도에 따른 벼 수량, 쌀 품위 및 잡초의 경제적 허용 한계밀도를 설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담수직파재배에서 피와 물달개비의 발생밀도가 5본 m-2에서 100본 m-2으로 증가됨에 따라 각각 11∼74%와 1∼12%의 쌀 수량감소를 보였다. 쌀의 품위는 피의 경합밀도가 증가됨에 따라 완전미 비율이 현저히 낮아지고 청미와 사미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나, 물달개비에서는 이들 요인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초종별 경합밀도에 따른 수량 예측 모델식은 피의 경우 Y=809.7/(1+0.02435X) r2=0.980, 물달개비는 Y=800.1/(1+0.000995X) r2=0.748로 나타나 피 1주당 경합력이 0.02435로, 물달개비 0.000995 보다 약 25배 정도 컸다. Cousens(1985) 방법에 따른 경제적 허용한계 밀도는 피는 0.9본 m-2, 물달개비는 22.0본 m-2으로 이보다 잡초 발생본수가 많을 경우, 방제를 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벼 이앙재배에서는 피(96본 m-2)와 물달개비(576본 m-2)의 최대 발생밀도에서 쌀 수량 감소는 각각 60%와 36% 정도였다. 쌀의 품위는 발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에서는 완전미와 미숙립, 피해립, 사미 등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에 물달개비에서는 이들 요인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초종별 경합밀도에 따른 수량 예측 모델식은 피의 경우, Y=583.3/(1+ 0.014540X) r2=0.887였고, 물달개비는 Y=512.9/(1+ 0.000884X) r2=0.892, 으로 나타나 피 1주당 경합력이 0.014540였으며, 물달개비는 0.000884로 피의 경합력이 물달개비보다 약 17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Cousens(1985) 방법에 따른 초종별 경제적 허용 한계밀도는 피는 1.5본 m-2, 물달개비는 28.7본 m-2으로 이보다 잡초 발생 밀도가 높을 때 방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도, 국용인, 이도진, 신해룡, 박인진, 김을배, 구자옥. 2002. Sulfonylurea계 제초제 저항성 물달개비 생태형의 경합기간별 벼의 생장 및 수량. 한잡초지 22(2):147-153
  2. 권오도, 문병철, 국용인, 신해룡, 박인진. 2004. 벼 담수직파에서 피와 물달개비 발생밀도에 따른 쌀수량 감수정도와 경제적 허용한계 밀도수준 설정. 한잡초지 24(별1):86-88
  3. 김선, 임일빈, 강종국, 김재덕. 2005. 콩 논 재배에서 피 발생정도에 따른 콩의 생육 및 수량. 한잡초지 25(3):157-162
  4. 김순철, 허휘, 박래경. 1977a 답 잡초 방제에 관한 연구. 제III보 답 주요 일년생잡초의 발생이 수도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사시험연구보고(작물) 19:133-144
  5. 김순철, 허휘, 박래경, 제상율. 1977b. 논에 발생되는 다년생잡초 발생이 수도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22(1):61-69
  6. 김순철, 이수관, 박래경. 1981. 수도품종의 간장차이가 잡초와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한잡초지 1(1):44-51
  7. 김순철, 최충돈, 이수관. 1984. 기계이앙답과 손이앙 답간의 잡초발생생태 차이. 한잡초지 4(1):11-18
  8. 김영호, 김희동, 김재철, 김병현, 이동우, 권용웅. 1987. 벼 담수표면 직파재배에 있어서 잡초방제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작물) 29(1):99-105
  9. 박광호, 김길웅, 김순철. 1985. 논 잡초 물달개비와 수도와으 경합. 한잡초지 5(2):131-136
  10. 박광호, 오윤진, 구연충, 김희동, 사종구, 박재성, 김현호, 권석주, 신해룡, 김세종, 이승정, 고무수. 1995. 한국의 논 잡초분포 현황. 한잡초지 15(4):254-261
  11. 박재읍, 이인용, 문병철, 김창석, 박태선, 임순택, 조정래, 구연충, 임일빈, 황재복. 2001. 최근 한국의 논잡초 발생 현황. 한잡초지 21(4):327-334
  12. 박진구. 1972. 영남지역 답 주요잡초의 분포조사와 수도와의 경합 및 약제방제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태선, 김태완, 김길웅. 2002. Sulfonylurea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및 감수성 물옥잠의 생육과 경합 특성. 한잡초지 22(4):368-376
  14. 이동우. 이재철. 김영호, 홍유기, 손석룡. 1987. 적미의 경합기관과 밀도가 수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7(1):45-51
  15. 이순계, 김도순, 임일빈, 변종영. 2005. 다년생 논잡초의 발생밀도에 따른 벼의 생육, 수량 및 감수 예측 모델. 한잡초지 25(4):295-303
  16. 조승현, 권석주, 최동칠, 최정식, 문병철. 2004. 벼 건답직파 재배에서 주요잡초의 경합밀도에 따른 쌀수량 감소. 한잡초지 24(별1):89-91
  17. 최현옥, 안수봉, 김소연. 1973. 중부지방에 분포하는 논잡초의 종류와 발생량에 관하여. 농시연보 15:69-75
  18. Cousens. 1985. An simple model relating yield loss to weed density. Annals of Applied Ecology. 107:239-252
  19. Chun, J, C and K. Moody. 1987. Differential competitive of Echinochloa colona ecotypes. Kor. J. Weed Sci. 7 (3):247-256
  20. Diarra, A., R. J. JR Smith and R. E. Talbert. 1985. Interference of red rice (Oryza sativa) with rice (O. sativa). Weed Sci. 33:644-649
  21. Genstat. 1993. Reference Manual 5.0, Oxford University Press
  22. Guyer, R and W. Koch. 1989. Competitive effects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Monochoria vaginalis in tropical irrigated rice. APWSS. 12:195-202
  23. Kuk, Y. I., O. D. Kwon and I. B. Im. 2002. Sulfonylurea herbicide-resistant Scirpus juncoides Roxb. in Korean rice culture. Kor. J. Weed Sci. 22:296-305
  24. Kuk, Y. I. 2002. Control of Sulfonylurea Herbicide-Resistant Lindernia dubia (L.) Pennell var. dubia in Korean Rice Culture. Kor. J. Crop Sci. 47: 328-334
  25. Kuk, Y. I., H. I. Jung., O. D. Kwon., N. R. Burgos and J. O. Guh. 2003. Cross-resistance pattern and alternative herbicides for Rotala indica resistant to imazosulfuron in Korea. Pesti. Biochem. Physiol. 74:129-138
  26.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2000. SAS/STAT Users Guide, Version 7. Cary, NC :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Electronic Version
  27. Simth, R. J. JR. 1974. Competition of barnyardgrass with rice cultivars. Weed Sci. 22:423-426
  28. Simth, R. J. JR. 1983. Competition of beared sprangletop (Leptochloa fascicularis) with rice {Oryza sativa). Weed Sci. 31:120-123
  29. 千坂英雄. 1966. 水稻と雜草の競爭. 日本雜草硏究 16-22
  30. 生 岐功, 沼田 眞. 1966. 異種植物間競爭に關する理論的考察. 雜草硏究 5:1-9
  31. 伊藤一辛, 宮原益次. 1988. 水田多年生雜草オモダカの 水稻に對する雜草害. 日本雜草硏究 33(1):49-54
  32. 笠原安夫. 1961. 作物との競爭に關する實驗的硏究(2). 農業姸究 49(1):43-47
  33. 笠原安夫. 1962. 雜草の特性と雜草害. 作物大系 14-I : 1-88
  34. 山岸渟, 橋爪厚. 1972. 水稻多年生雜草の防除に關する硏究. 第V報. 耕耘. 代かきがミズガヤシり越冬器官の年存, 出芽におよぽす影響. 千葉縣農試硏報 12:4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