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option Process with Return Types of Return Farmers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Gang, Dae-Gu
강대구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find adoption process of returning farmer in views of returning types, and to recommend the policy implication for returning farmers. For this objectives, it wa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methods. The subjects of survey were selected by 2 stage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returning farmers pool made o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t Oct. 2005.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 was administered to 480 people by interviewer. Through data screening process, 375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frequency, chi-square, ANOVA at .05 significance level. Through the research, major respondent was man, high school graduate or dropper, and they had a various previous job, and half of them had farming experience by himself/herself and no training experience about farming, and his/her father's job was mostly farming. In early return farming stage, first farming type, first investment, and some farming ability were different along with their return type. And their first planting type was changed, gained family and neighbor's supports during returning process. And they have farming skill deficiency and business money deficiency problem in present. Based on this results, some policy implication is recommend.

이 연구는 귀농유형에 따른 귀농자의 특성과 귀농과정을 파악하여 귀농자들의 정착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제언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귀농자들의 귀농유형을 U형 귀농, J형 귀농, I형 귀농으로 구분하여 귀농이전의 배경변인과 귀농초기, 현재, 미래계획을 중심으로 관련문헌과 귀농자들에 대한 조사방법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는 농림부와 시군의 협조를 받아, 시군별로 10명씩 추천받아서 경력기간과 권역별로 구분하여 2단계 층화표집을 통하여 480명을 표집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소불명이나 연락불통, 답변거부 등으로 조사에서 제외된 명단이 있는 관계로 최종 395명이 응답되었고, 자료정리과정을 통하여 2개이상 무응답한 경우를 제외한 375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빈도, χ2검증, ANOVA를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귀농이전의 배경변인, 귀농 초기와 현재 단계의 귀농특성을 조사도구에 포함시켰다. 귀농이전의 배경변인은 성별, 귀농시의 연령과 현재의 연령, 귀농전의 농사경험, 학력, 농업계 학교 졸업여부, 영농조언자, 농업사회활동경험정도, 귀농에 대한 주변사람의 찬성, 귀농전 농업관련교육 이수여부, 부모님의 직업이 농업 여부, 귀농전 직업을 조사하였으며, 귀농초기단계는 최초귀농형태와 귀농자금투자액과 구성비, 귀농초기의 영농능력, 귀농 초기의 주요작목, 귀농 초기의 어려움, 영농문제해결방법을 조사하였고, 현재단계는 주 소득작목, 주작목변경횟수, 현재의 농업유형, 현재의 영농능력, 영농상의 현재 어려움, 주변사람과 마을사람의 농사지원정도, 예상 금년소득, 소득만족도, 현재평가, 마을사람들과의 관계만족도, 미래의 계획은 앞으로의 영농계획, 농촌거주의사를 파악하였다. 성별, 현재나이, 귀농이전의 농사경험 ,학력, 농업계학교 졸업여부, 귀농결정시 주변사람의 찬성 정도, 부모님 직업이 농업 여부, 귀농전 직업, 최초귀농형태, 초기주택투자자금, 농장투자액, 기타 초기자본액, 귀농 초기의 주요작목, 현재의 농업경영능력, 현재 주변사람들의 지원정도, 금년예상소득, 미래의 영농계획에 있어서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귀농이후의 기간, 처음 귀농연령, 영농조언자여부, 농업관련사회 활동 경험 정도, 귀농전 농업관련 교육이수정도, 귀농초기자금의 구성비율, 귀농 초기의 영농능력, 귀농 초기의 어려움, 영농문제해결방법, 현재 주소득 작목, 주작목 변경횟수, 현재 농업유형, 농업경영능력을 제외한 현재의 영농능력, 현재 영농상의 어려움, 마을사람들의 농사지원정도, 소득만족도, 귀농결정에 대한 현재의 평가, 마을사람들과의 관계만족도, 앞으로의 농촌거주의사에 있어서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귀농유형과 성장단계에 따른 정책지원, 자금이나 기술 부족에 따른 한계 인력에 대한 적절한 인력개발, 유형별로 차등한 자금 지원, 자금 운영의 융통성 제고, 귀농인들의 지원체제 구축, 농업규모 축소나 농업포기 층에 대한 추가적 연구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정철영, 이근수. (2003). 창업농 지원사업 효율화 방안. 농림부 정책연구보고서
  2. 김성수, 정지웅, 임형백, 고운미, 김정태, 이성. (2004). 귀농자들의 농촌정착지원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1(1). 53-65
  3. 김주현. (1999). 귀농인의 농업기술정보 획득과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형용. (1998). 歸農者의 實狀과 定着方案에 관한 연구. 韓國畜産經營學會誌. 14(1). 205-223
  5. 남정덕. (2000). 귀농형 실버타운의 보급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농림부 경영인력과. (2004). 최근귀농동향 및 지원대책, 내부자료
  7. 농촌진흥청. (1998). 귀농농가의 경영모형 길잡이. 수원: 농촌진흥청
  8. 농촌진흥청. (1999). 귀농현황과 안정적 정착방안. 연구와 지도
  9. 박공주. (2005). 실버농업인의 농촌정착과정 실태, 농촌자원과 생활, 2005년 여름호, 21- 35
  10. 박영일. (1998). 成功的인 歸農을 위한 硏究-歸農事例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배성의 외. (1998). 귀농가의 성공적인 영농정착 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12. 서규선, 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7(1), 137-153
  13. 이동하. (1998). 귀농자의 농촌적응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병철. (1999). 귀농운동 생태적 가치와 자립적 삶을 위해 토착민으로 살기; 한국환경운동의 새로운 모색-1, 환경과 생명, 20, 22-31
  15. 이정관. (1998). 歸農者의 營農定着과 關聯된 特性分析. 공주대학교 산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장 원. (1998). 땅과 밥과 뭇생명을 살릴 삶을 , 사회평론 길, 1998(5),186-188
  17. 정한모. (2002). 귀농인의 농촌생활과 영농정착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남철. (1989). 귀농과 이농의 역설적 의미-1940년대 농민소설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1, 208-249
  19. 조남현. (1980). 지식인 귀농(歸農)의 모티프 생성과 표출, 현상과 인식, 10(2), 37-68
  20. 조록환. (1998). 귀농자의 생활실태 분석, 농촌회생과 자립적 농업을 위한 귀농정책 세미나 자료집
  21. 천규석. (1997). 귀농(歸農), 왜 어떻게 해야 하나, 경향잡지, 1997(7), 33-40
  22. Fielding. G. J. (1974). Geography as Social Sc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