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ultivating Weeder on Tuber Formation and Shoot Growth of Eleocharis kuroguwai inRice Paddy Field

중경제초가 올방개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Kim, Seon;Im, Il-Bin;Kim, Jae-Deok;Gang, Jong-Guk;Lee, Gong-In
김선;임일빈;김재덕;강종국;이공인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tubers of Eleocharis kuroguwai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ltivating weeder methods; one time weeder at 10th after transplanting, two times weeder at 10th and 20th after transplanting, three times weeder at 10th, 20th, 30th after transplanting. The weeding efficacy was higher on shoot more than tuber. At three times weeding the weeding efficacy for shoot was 79.5%-85.7%, and weeding efficacy for tuber was 62.3-71.4%. Also, The efficacy ratio were gradually decreased to 56.0%-58.9% at two times and 36.5%-48.6% one time compared with no weeding. The rice yield continuously increased 29.6% at three times weeding compared with no weeding. Thus, The cultivating weeding was very effective control for Eleocharis kuroguwai in rice paddy field.

본 시험은 최근 강조되고 있는 친환경 벼 재배기술의 한 부분으로 실행되고 있는 비화학적 유기농 벼 생산시 문제시되는 잡초인 올방개의 방제에 중경제초기의 이용가능성을 검토코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벼 식재밀도에 따른 괴경 수는 22.7주/m2에서 1,022개, 25.7주/m2>에서 807개, 28.8주/m2에서 824개였고, 토심별 괴경 분포 비율은 0-5cm 14.5%, 5.1-10cm에 34.9%, 10.1-15cm에 50.6%가 분포하였다. 벼 생육기 중경제초의 효과는 지상부 생육억제 효과가 괴경 생장억제 효가 보다 높았으며 이앙밀도에 따른 중경제초 효과는 22.7주/m2>25.7주/m2>28.8주/m2 순이었으며, 효과가 높았던 22.7주/m2 재식구의 지하 괴경수 억제정도는 1회 방제시 37.2%, 2회방제시 58.4%, 3회방제시 71.4%가 억제되었다. 제초횟수에 따른 괴경 크기별 괴경무게 감소정도는 중간 괴경>큰 괴경>작은 괴경 이었고, 쌀 수량은 제초횟수의 증가에 따라 높아져서 3회 제초시 무제초 대비 29.6%가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도, 국용인, 선해룡, 박인진, 구자옥. 2005. 경운 방법에 따른 올방개 발생양상과 벼의 생육 및 수량. 한잡초지 22(3):227-233
  2. 김길웅. 1998. 최신 잡초방제학 원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pp. 449-450
  3. 金吉雄, 李秉旭. 1976. 多年生 雜草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Ohwi)의 生態에 關한 硏究. 慶北大 農業開發硏究所 硏究報告 4:60-63
  4. 金熙東, 朴中洙, 朴景烈, 崔榮眞, 兪創在, 盧泳德, 權容雄. 1996. 올방개 塊莖의 萌 芽特性과 本沓에서의 發生에 관한 硏究. 韓雜草誌 16(4):264-281
  5. 申鉉承, 全在哲. 1993. 올방개 塊莖形成에 關한 生理學的 特性. 韓雜草誌, 13(2): 132-137
  6. 신현승, 전재철, 이철규, 1992. 올방개 괴경의 맹아와 재생 후 생육에 미치는 Bensulfuron-methyl의 영향. 한잡초지 12:1-7
  7. 梁桓承, 金茂基, 全載哲. 1976. 多年生 雜草의 發生에 關한 硏究. 韓作誌 21(1):24-34
  8. 이순계, 김도순, 임일빈, 변종영. 2005, 다년생 논잡초의 발생밀도에 따른 벼의 생육, 수량 및 감수예측 모델. 한잡초지 25(4):295-303
  9. 任日彬, 沈利星, 朴錫洪. 1989.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Ohwi)의 塊華形成時期와 防除에 關한 硏究. 韓雜草誌 9(1):34-38
  10. 全載哲, 孫錫龍, 柳吉林, 尹鏞善. 1992. 塊莖의 크기 및 切除가 올방개의 생육에 미치는 影響. 韓雜草誌, 9(10):28-33
  11. 全載哲, 許揮, 朴來敬, 諸商律. 1977. 논에 發生되는 主要 多年生 雜草의 發生이 水稻 生育 및 收量에 마치는 影響. 韓作誌 22(1):61-69
  12. 山岸淳. 武市義雄. 1975. クログワイの生態 主として 發生 生態. 雜草硏究 14(別):5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