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idents'awareness and factors related to the approval of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in Geochang-up, Geochang-gun, Korea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거창군 거창읍 주민의 인식과 사업시행 찬성여부에 미치는 요인

Kwon, Su-Jin;Lee, Sun-Mi;Kang, Seog-Jae;Kim, Jin-Bom
권수진;이선미;강석재;김진범

  • Published : 2006120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information to increase residents’support to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gram. Method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ents by way of schoolchildren.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1,819 residents at Geochang-up, Geochang-gun in 2002.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related to the kinds of water for drinking and cooking, recognition of caries preventive effect, safety of the program and approval for the implementation of fluoridation progra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Results: Respondents using the public tap water for drinking and cooking were 53.7% and 80.8%, respectively. Respondents recognizing the caries preventive effect and safety of the water fluoridation program was 59.4% and 50.4%, respectively. Respondents approving and oppos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fluoridation program were 49.5% and 19.7%, respectively. The approval rate for the implementation of fluoridation program among respondents recognizing the caries preventive effect of the program was 8.3 times compared to respondents misunderstanding the caries preventive effect of the program. The approval rate for the implementation of fluoridation program among respondents acknowledging the safety of the program was 20.0 times compared to respondents misunderstanding the safety of the program. Conclusions: The approval rate of fluoridation program has proven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sidents’recognition of the caries preventive effect and acknowledgement of the safety of program. In order to secure residents’support for the fluorid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educate to the residents the caries preventive effect and the safety of the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5년 건강보험 심사통계자료: 26. 질병 소분류별 다발생 순위별 요양급여실적(외래). 2005:68-69
  2.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on methods and programmes for oral diseases. Geneva: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1984;713:6-9,12-20
  3. Alman JE. Declining caries prevalence:statistical consideration. J Dent Res 1982;61(Spec Iss):1361-1363
  4. Poulsen S. Dental caries in Danish children and aldolescents 1988-94.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6;24(4):282-285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6.tb00860.x
  5. Marthler TM, O' Mullane DM, V.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in Europe 1990-1995. Caries Res 1996;30(4):237-255 https://doi.org/10.1159/000262332
  6. 보건복지부. 2003 국민구강보건실태조사보고서. III. 본 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2003:55, 165
  7. WHO Headquarters. WHO Oral Health Country/Area Profile Programme. 검색 2005. 5. 23
  8. Davis, GN. Cost and benefit of fluoride i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World Health Organization 1974;2-17
  9. 김진범. 우리나라 수돗물불소화사업의 현황과 일본의 수돗물 불소화 개발 동향. 월간 치과연구 2000;48(6):21-27
  10. 서신일. 구강보건정책 현황과 추진방안. 2002년 전국 수돗물 불소화대회, 보건복지부.수돗물불소화사업기술지원단.대한구강보건협회 2002:3-9
  11. 한국구강보건협회. 상수도불소화사업을 위한 지역별 실태조사 결과보고. 1979
  12. 송연희,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도시관급수불화사업의 치아우식증예방효과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치대논문집 1998;22(2):268-295
  13. 문혁수, 조수현, 안형식, 김종배, 성주헌. 수돗물불소화사업의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및 부속치학연구소 2000
  14. 김경숙. 수돗물불소화 정책은 원자탄 개발계획의 일환. 월간 말 1998;143:156-161
  15. 반봉찬.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1998;10:169-173
  16. 송상근, 이성주. 수돗물불소화 확대 논란. 동아일보 2001. 6. 7;A29
  17.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논쟁의 진실. 건치수돗물불소화자료집 7호, 1999
  18. 신동근, 김종배, 백대일, 문혁수. 시민사회단체구성원의 도시관급수불화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2;26(2):181-194
  19. 이흥수, 장기완, 김윤정 등. 전라북도 일부지역 학부형의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관한 의식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3):313-323
  20. 이충섭, 성진효, 김동기. 수돗물 불소화지역과 비불소화 지역의 공직자 및 일반 주민의 수돗물 불소화사업에 대한 인식도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2):219-234
  21. 이춘화, 이흥수, 박철웅 등.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전주시 주민의식 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2):185
  22. 장재연, 조수남, 윤제용. 서울시민의 수돗물불소화에 대한 인식. 상하수도학회지 2003;17(2):213-220
  23. 인터넷 거창군청 홈페이지. 일반현황. 검색 2003. 1. 22
  24. 김종배, 최유진, 문혁수 외 4인. 공중구강보건학. 서울:고문사;2004:143-184
  25.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1996년 과천시 상수도불화사업 평가 보고서.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1996
  26. 박덕영, 마득상. 강릉시 수돗물불소화사업 기초조사 보고서.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1998
  27. 김대영, 박인순, 김지영 외 4인.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진주시민의 의식실태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2;26(1):47-67
  28. 김동현, 배광학, 김정희, 이선미, 김미화, 김진범.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김해시민의 의식과 사업 찬성여부에 미치는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1):91-103
  29. 김진범, 장기완, 김광수 등.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평가. 서울: 보건복지부 구강보건사업지원단;2005:35-37
  30.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1998년 남양주시 상수도불화사업 평가를 위한 2차 기초조사 보고서.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1998
  31. 수돗물불소화논쟁검토위원회. 수돗물불소화 논쟁에 대한 검토보고서. 1999
  32. 조수헌, 권호장, 하미나 등. 수돗물불소화사업의 건강영향에 대한 의과학적 검토. 대한의사협회 연구용역보고서,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환경의학연구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