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rom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국내 휴폐금속광산의 환경오염 평가 및 향후 관리 방안

Jeong, Myeong-Chae;;Jeong, Mun-Yeong
정명채;;정문영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oxic element contamination from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and the suggestion of the best management methods for the mine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connaissance survey f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mining sites, over 310 mines from 638 mines were contaminated with As, CN- and heavy metals including Cd, Cu, Hg, Ni, Pb and Zn in tailings, soils and mine water around the metal mines. Therefore, the detailed survey for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derived from mining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from next years. As results of detailed survey for 158 mines classified as provisionally seriou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concentrations of toxic elements in mine wastes(tailings), soils and water from 104 mines were contained over the environmental guidelines in Korea. Arsenic and Cd were the most frequently contaminated elements followed by Pb, Cu, Hg, CN-, Cr6+ and Ni.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NPL(National Priority List) for remediation of the mining areas with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tensity, quantity and quality of contamination source materials and nearby conditions of the mining area. Finally, the best available management methods for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were suggested in the study

본 연구는 국내에 산재된 휴폐금속광산의 유해성 물질에 대한 환경오염을 평가하고 이들의 최적관리 방안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광산에 대한 개황조사 결과, 638개 광산 중에서 310개 광산이 As, CN- 및 Cd, Cu, Hg, Ni, Pb, Zn을 포함한 중금속으로 오염되었다. 이들 광산은 복원을 위한 정밀조사가 요구되며 2007년부터 연차적으로 정밀조사가 실시될 예정이다. 한편, 오염개연성이 있어 중점관리대상광산으로 선정된 158개 광산에 대한 정밀조사 결과, 104개 광산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오염물질이 검출되었다. 이들 중에서도 As와 Cd의 오염도가 심각한 수준이었으며, Pb, Cu, Hg, CN-, Cr6+ 및 Ni 순서로 오염기준초과 숫자가 감소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광산에 대한 복원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하여 오염의 규모, 오염원의 양과 질 및 주변 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복원되지 않은 광산에 대한 복원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광산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최적의 관리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호, 2006, '광해관련 정책과 법령', 제1차 광해방지단 기교육,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pp. 29-44
  2. 민정식, 2002, '폐금속광산 광해방지 및 복원사업', 광해 방지정책 및 기술 심포지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p. 101-140
  3.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1995, '폐광에 따른 광산지역 환 경 개선 연구(폐수,폐석)',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p. 268
  4. 정명채, 2004, '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SAPS)을 이용한 폐 석탄광 산성광산배수 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6권 11호, pp. 1204-1210
  5. 정명채, 정문영, 최연왕, 2004, '국내 휴/폐광 금속광산 주 변의 중금속 환경오염 평가', 자원환경지질, 제37권 1호, pp. 21-33
  6. 정명채, 2006, '폐광산 토양오염실태 및 오염방지대책', 2006년도 상반기 물종합기술연찬회, 워터저널, pp. 365-379
  7. 정영욱외 27명 (2001) 폐금속광산 환경오염평가 및 정화 기술 연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보고서, KR-01(연 차)-07, p. 198
  8. 환경부, 1998, '1997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결과', 환경부, p. 45
  9. 환경부, 1999, '1998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결과', 환경부, p. 102
  10. 환경부, 2000, '1999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결과', 환경부, p. 82
  11. 환경부, 2001, '2000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결과', 환경부, p. 79
  12. 환경부, 2002, '폐금속광산 토양오염실태 일제조사(영남 권역)', 환경부, p. 153
  13. 환경부, 2003, '폐금속광산 토양오염실태 일제조사(강원, 경기, 전북, 전남권역)', 환경부, p. 397
  14. 환경부, 2004, '폐금속광산 토양오염실태 일제조사(충북 권역)', 환경부, p. 432
  15. 환경부, 2005a, '폐금속광산 토양오염실태 종합보고서 (158개 광산 종합)', 환경부, p. 196
  16. 환경부, 2005b, '폐금속광산 토양오염실태 일제조사(충남 권역)', 환경부, p. 526
  17. 환경부, 2006a, '정책보도자료-폐금속광산 개황조사 종합 보고', 환경부, 2006년 3월 2일
  18. 환경부, 2006b, '폐금속광산 토양오염실태 정밀조사(경남 북, 전남권역)', 환경부, p. 495
  19. EPA, 1992, 'Hazard ranking system guidance manual', EPA-540-R-92-026, p.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