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ncerns about Physical Education Lessons

초등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교수관심사 분석

Moon, Je-Min
문제민

  • Published : 2006.07.3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권병선 (1999). 체육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활용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38(3), 297-311
  2. 강정원(1994). 교사교육 개선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 관심사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3. 김승재 (1995). 학교체육의 제 문제와 효율적 해소 방안. 학교보건, 2(1), 229-235
  4. 김승태 (2003). 중등 체육교사의 교수관심사와 수업탐구활동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5. 김윤희 (1999).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 이유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6(2), 93-110
  6. 김재헌 (1997).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7. 문제민 (2000). 중등학생의 학습성향과 체육교사 수업 평가와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8. 문제민, 정기호 (2003a). 체육교육 가치의 새로운 이해. 한국체육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발표집, 1-11
  9. 문제민, 정기호 (2003b). 理-氣의 적용을 통한 체육의 이해. 한국체육교육학회지 8(1), 1-12
  10. 문호준 (2005). 제 7차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3), 75-96
  11. 박영배, 김창원, 고대혁, 정문성, 강문봉, 노석구, 최유현, 조한무, 김경희, 김정희, 이재희 (1998). 평가방법탐구, 서울: 형설출판사
  12. 박은혜, 이현옥, 임승렬 (1999). 교사발달에 적합한 장학의 이론과 설제. 서울: 정민사
  13. 박종률 (1994).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4. 심수진 (1998). 유아교사의 관심사에 따른 발달단계와 장학 요구도와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15. 서강식, 문제민 (2005). 공주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직윤리 적용연구. 공주교대논총 42(2), 79-100
  16. 성창훈, 백성수 (2000).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촉진 요인과 저해요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2), 99-116
  17. 안양옥 (1995). 체육교과내용지식의 수준과 수업지식의 관련성.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8. 양갑렬 (2001). 초등 체육수업을 소홀히 하는 원인 분석. 충남초등체육교과연구회 세미나자료집, 9-19
  19. 이명주 (1994).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변화촉진행동 . 교사의 변화관심 . 학교효과성 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 이윤식 (1999). 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21. 이은화, 조부경 (1992). 발달적 접근에 의한 유아교육기관 장학론. 서울: 교문사
  22. 이은화, 조부경, 배소현(1999).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23. 오수학, 김세진, 변재훈 (2001). 수행평가에서 동성 및 이성동료 평가간의 차이.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3(1), 73-80
  24. 오수학, 김수정, 이윤경 (2001). 무용 수행평가 도구의 객관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3(1), 81-87
  25. 유승희, 김상국, 유진, 안양옥, 장명재, 곽은창, 정영린, 장용규, 안민석, 이만균, 정구인, 김홍식 (2001). 학교체육 실태 및 개선 방향. 한국체육학회보, 79. 31-41
  26. 유정애 (2002). 체육과 교육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서
  27. 유정애 (2003a). 체육 교과 지식의 의미 재정립에 따른 학습 영역 구조의 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3), 81-96
  28. 유정애 (2003b). 체육수업비평. 서울: 무지개사
  29. 유정애 (2005a). 교사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및 내용.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1), 31-56
  30. 유정애 (2005b).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반성과 발전 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3), 1-32
  31. 윤기옥 (1992), 교사교육에서의 기초 지식. 인천교육대학교논문집, 26(2), 713-752
  32. 윤기옥, 최희선 (1997). 수업장학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33. 조영란(1994). 유치원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관심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10(2), 131-161
  34. 조홍식 (2001). 중등 체육교사의 교직생활 관심사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35. 정재선(1989). 학교장의 변화촉진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혁신관심 정도와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36. 장은정 (2004). 무용지도자의 교수관심사가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37. 최의창(2002). 중등학교 체육수업 개선을 위한 통합적 교과 조직 및 지도 방법 개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9(1), 1-23
  38. 최의창(2003). 체육교육탐구. 서울: 태근문화사
  39. 최태호(1998).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개혁에 대한 관섬 단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40. 채정현 (1996). 미국 오하이오주의 실천적 문제중심 모형을 적용한 일과 가족생활 교육과정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도. 가정학회지, 34(4), 327-343
  41. 홍두승(1994). 사회과학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42. 한영자(2000). 현장실습이 예비 유아교사의 관심사에 미치는 영향. 충청대학논문 17, 인문사회 . 예체능편, 185-197
  43. 한형주(2004). 초등체육교수법. 충북: 협신사
  44. Biddle, S., & Goudas, M. (1993). Pupil perceptions of enjoyment in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Review, 16, 145-150
  45. Creswell, J.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Thousand Oak,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46. Fuller, F. F., & Bown, O. H (1975). Becoming a teacher. in K Ryan(Ed.), Teacher Education. Seventy-four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7. Kontos, S., & Stremmel, A. J. (1988). Care givers' perceptions of working conditions in a child care environ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3), 77-90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30-0
  48. Locke, E. A., & Latham, G. P. (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e, New Jersey: Prentice Hall
  49. Merriam, S.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0. Powell, D. R., & Dunn, L. (1990). Non-baccalaureate teach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Spodek, & O. N. Saracho (Eds.),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51. Powell, D. R., & Stremmel, A. J. (1989). The relation of early childhood training and experience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 care work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4(3), 339-355 https://doi.org/10.1016/0885-2006(89)90019-7
  52. Spodek, B., Saracho, O. N., & Peters, D. L. (1988). Professionalism and the childhood practitioner.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53. Spradle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enhart and Winston. 이희봉 역(199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4. Tsai, C. T. (199)). A survey study of childness Kindergarten teacher conc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llinois of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