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harvest Nut Quality, and Changes of Soluble Solids Content and Kernel Hardness During Cold Storage in Korean Prevailing Chestnut Cultivars

밤 재배품종의 수확 후 과실품질 및 저온저장 중 밤 과실의 당도 및 경도 변화

  • Kim, Mahn-J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Uk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Sun-Chang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Myoung-So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won, Yong-Hee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Moon-H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김선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황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권용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문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Received : 2006.08.03
  • Accepted : 2006.09.26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Postharvest nut quality, and changes of soluble solids content and kernel hardness during cold storage in 13 Korean prevailing chestnut cultivars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the chestnut grading and standardization for marketing and processing industry. Chestnut quality attributes such as nut weight, soluble solids content, kernel hardness, % with the pericarp split, and % of polyembryonic nuts were measured from 2001 to 2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ultivar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lso annual variation within same cultivar, corresponded to the high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During cold storage at $2^{\circ}C$ for 16 weeks, remarkable changes in soluble solids content were observed, and Isseumo showed the highest increase of 8% at 16 weeks of cold storage compared with postharvest. In case of most cultivars except early ripening cultivars, soluble solids content of chestnut increased until 12 weeks during cold storage, followed by decreased gradually thereafter. Kernel hardness of most cultivars except lshizuchi during cold storage increased slightl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work would be a useful reference to the quality of each chestnut cultivar for the growers and breeders alike.

밤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밤 과실의 등급화 및 규격화에 필요한 정확한 품질평가 기준을 확립하고자 대보 등 13개 주요 재배품종을 대상으로 수확직후의 과실품질 및 저온저장 기간에 따른 밤 과실의 당도와 과육정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수확 직후의 밤 과실을 대상으로 밤의 품질을 크게 좌우하는 입중, 당도, 과육경도, 열과율, 다배율을 조사한 결과, 각 형질에 있어서 품종간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동일한 품종에서도 해마다 상당한 변이가 관찰되어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circ}C$에서 16주간 저장하면서 4주 간격으로 당도변화를 조사한 결과 저장기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출운 품종의 경우 당도가 저장 16주째에 수확직후보다 8%나 증가되었다. 조생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품종에 있어 저온저장 12주까지는 당도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저온저장 중 과육정도는 석추품종을 제외하고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얻어진 주요 재배품종에 대한 과실품질 자료는 밤 재배지는 물론 육종가 등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광출,오성도,임열재,유영산,강성모,김선규,신용억,정경호. 1999 과수 전정 생리. 서원출판사. 서울. pp. 202
  2. 구교상,김갑영,김경희,김만조,김선창,박재복,신상철,안창영,이문호,이상현, 전현선,정진현,주린윈,최광식,황명수. 2001 밤나무 재배관리 기술. 임업연구원 pp. 366
  3. 권중호,이정은,이새봄,정헌식,최종욱. 2001. 수침 및 감마선 처리가 밤의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1): 9-15
  4. 권중호,정형욱,김경은,정헌식,최종욱. 2001. 수확 후 지연 감마선 조사와 CA 저장이 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1): 16-22
  5. 권중호,최종욱,변명우. 1998. 밤의 품질안정성에 대한 저장 온 . 습도 조건의 영향. 농산물저정유통학회지 5: 7-12
  6. 김만조,이 욱,황병수,김선창,이문호. 2003 밤나무 재배품종의 개화,결실 및 과실특성 한국임학회지 92(4): 321-332
  7. 김만조. 2005. 산림수종 육종현황 및 품종육성. 한국종자연구회지 2(1): 19-36
  8. 김용두,최옥자,김경제 김기만,허장기,조인경. 2005. 밤의 부위별 성분 분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2): 156-160
  9. 나영아,양차범. 1996. 밤의 저장중 성분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8(6): 1164-1170
  10. 나영아,양차범. 1997. 밤의 저정중 지방질 조성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9(3): 437-445
  11. 유영산,김정복. 1989. 포도의 열과저항성과 과피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30(1): 38-44
  12. 이상우,김주현. 2006. 이면교잡을 이용한 멜론의 당도 와 감미 유전분석. 원예과학기술지 24(1): 13-19
  13. 이종욱,김재욱. 1982. 밤 지질성분의 분석. 제1보,내과 육 및 외과육의 지질조성. 한국농화학회지 25(4): 239-247
  14. 이종욱,김은선,김동연. 1983. 밤 지질성분의 분석 . 제2보 구성 지칠 및 구성 지방산의 조성. 한국농화학회지 26(1): 19-27
  15. 주난영,안승요. 1995a. 밤 전분 및 전분겔의 성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7(6): 1017-1027
  16. 주난영,안승요. 1995b. 밤 전분의 분자구조의 변화가 전분의 생질 및 겔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7(6): 1028-1034
  17. Bernardez, M.M., De La Montana Mguelez, J., and Garca Queijeiro, J. 2004. HPLC determination of sugars in varieties of chestnut fruits from Galicia (Spain).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17: 63-67 https://doi.org/10.1016/S0889-1575(03)00093-0
  18. Burger, Y., Sa'ar, U., Katzir, N., Paris, B.S., Yeselson, Y., Levin, I. and Schaffer, A.A. 2002. A single recessive gene for sucrose accumulation in Cucumis melo frui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27(6): 938-943
  19. Callahan, A.M. 2003. Breeding for fruit quality. Acta Horticurturae 622: 295-302
  20. De La Montana Mguelez, J., Bernrdez, M. M. and Garca Queijeiro, J.M. 2004. Composition of varieties of chestnuts from Galicia (Spain). Food Chemistry 84: 401-404 https://doi.org/10.1016/S0308-8146(03)00249-8
  21. Kozlowski, T.T.(Ed.). 1972. Seed biology. Volume II. Germination control, Metabolism, and Path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p. 447
  22. Kwon, J.H., Kwon, Y.J., Byun, M.W. and Kim, K.S. 2004. Competitiveness of gamma irradiation with fumigation for chestnuts associated with quarantine and quality security.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71: 41-44
  23. Lee, S.W. 2002. Genetic analysis and detection of molecular marker linked to loci controlling sugar content in melon (Cucumis melo L.).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4. Lee, S.W. and Kim, Z.H. 2002. Inheritance of sucrose content in melon. Korean Journal of Breeding 34(3): 251-259
  25. Manolopoulou, H. and Papadopoulou, P. 1998. A study of respiratory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four kiwi fruit cultivars during cool-storage. Food Chemistry 63(4): 529-534 https://doi.org/10.1016/S0308-8146(98)00017-X
  26. Nomura, K., Ogasawara, Y., Uemukai, H. and Yoshida, M. 1995. Change of sugar content in chestnut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Acta Horticulturae 398: 265-276
  27. Pereira-Lorenzo, S., Ramos-Cabrer, A.M., Diaz-Hernandez, M.B., Ciordia-Ara, M. and Ros-Mesa, D. 2006. Chemical composition of chestnut cultivars from Spain. Scientia Horticulturae 107: 306-314 https://doi.org/10.1016/j.scienta.2005.08.008